The Commitment of the Macedonian Church – Pastor David Jang

In 2 Corinthians 8–9, the Apostle Paul highlights the generosity of the Macedonian Church. Drawing on the concrete example of the Church in Philippi, we aim here to analyz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ecclesial community when the Gospel takes root in everyday life. The passage in which Paul notes that the Macedonian churches gave their resources with overflowing joy despite their extreme poverty goes beyond mere financial support: it reveals the dynamic realization of a life shaped by the Gospel.

This commitment shows that a community born of the Gospel is not limited to doctrinal knowledge or programs; rather, it spontaneously bears the fruit of grace as soon as that grace becomes evident in real life. Building on this observation, Pastor David Jang invites the modern Church to rediscover the authenticity of the Gospel, to glorify God through a grace-based commitment, and to strengthen spiritual circulation among believers. According to him, this represents a “challenge to put the Gospel into practice” for our time.

Finally, the following study—organized around such key words as the Gospel, commitment, sharing, and spiritual circulation—encourages the Church to move beyond numerical growth or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rediscover its identity as a truly evangelical community and to clarify its direction.

1. A Challenge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the Gospel and a Devoted Community

The early church did not treat the gospel as mere head knowledge or an abstract concept. Instead, they understood it as a tangible power that permeated every facet of daily life. They strove to experience and embody the salvation brought by Jesus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in their real-world contexts. When Paul highlights the offering of the Macedonian churches (2 Corinthians 8–9), he provides an illuminating example of how a life anchored in the gospel can take visible form. Even amid poverty and hardship, these churches gave freely and joyfully, attesting that the gospel is not merely about spoken declarations or doctrinal principles. Rather, when grace-based sharing and service flow from genuine faith, it yields transformative fruit in the community.

In light of this passage, Pastor David Jang challenges the modern church with a crucial question: “What sort of attitude do we embody when the gospel takes shape in our daily lives?” He maintains that the gospel must advance beyond doctrinal knowledge, ideological slogans, or programmatic strategies. Once the gospel is woven into day-to-day living, the church comes to know grace-fueled devotion, authentic sharing, and a Spirit-driven spiritual cycle. Faced with consumer-based faith and an overemphasis on numerical growth, rediscovering the gospel’s core might serve as a genuine path forward.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logical underpinnings of Paul’s teaching on the Macedonian churches’ devotion, along with the exemplary case of the Philippian church, and further investigates the insight Pastor Jang brings to today’s church. Additionally, it examines how solidarity among churches and the structure of spiritual reciprocity function as vital forces within a gospel-centered community—and how these perspectives may be adapted to contemporary congregations responding to social and cultural shifts.

2. Understanding Paul’s Context: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and Gospel Power

Paul’s references to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in 2 Corinthians 8–9 are far more than the mere presentation of an inspiring “case study.” In the Greco-Roman era, churches in Macedonia—particularly in Philippi, Thessalonica, and Berea—endured significant socio-economic pressure. They existed as a small faith community amid expansive urban civilizations, often facing persecution and exclusion rather than comfort or status. Yet Paul underscores that despite acute poverty, these believers “overflowed in rich generosity” and gave with “exceeding joy” (2 Cor. 8:2).

Such generosity defies conventional human logic. How can those in need themselves support others in even greater need? By worldly standards, it makes little sense. Within the gospel community, however, the Holy Spirit’s work and a life founded on divine love enable precisely this kind of reversal. For Paul, the act of gathering financial aid was much more than a fundraiser; it mirrored the gospel itself—the Savior who emptied Himself and became poor (2 Cor. 8:9). Thus, the Macedonian churches’ willingness to give represents communal obedience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Christ’s self-emptying (kénosis).

Reframed in modern terms, Pastor David Jang points out the distinct features that emerge once believers begin living out the gospel in practical ways. Churches today, he contends, must be reminded that the gospel is neither an unrealistic ideal nor an abstract theory but rather a reality of grace leading to tangible devotional fruit. True devotion, he insists, does not stem from coercion or duty; it is “a grateful and loving response that flows naturally from grace already experienced.”

3. The Philippian Church as a Special Example: Demonstrating Gospel Authenticity

Paul’s letter to the Philippians reveals his deep ties to the Philippian congregation, which was notably devoted to helping him fulfill his gospel mission (Phil. 4:15–16). While Paul traveled to spread the good news, they continually supported him—financially and through other means—showing that they were more than bystanders; they were genuine coworkers in ministry.

This dedicated support testifies to the profound roots of the gospel in their community. Although Paul expresses thanks, he goes further, interpreting their service as evidence of “gospel authenticity and obedience.” Thus, these acts of service become tangible “testimonies” proving that their experience of the gospel was more than empty talk. When a congregation genuinely embraces the gospel, it voluntarily sacrifices its possessions, confirming that its faith is genuine rather than superficial.

From this, Pastor Jang draws lessons for contemporary churches. While many modern congregations shout doctrinal slogans or missionary catchphrases, the absence of demonstrable gospel impact on daily life can render those words hollow. Tangible acts of service and sharing allow faith communities to validate the sincerity of their beliefs. Churches must not be preoccupied merely with doctrinal assurances or headcount growth, but must look deeper, asking whether the gospel is transforming hearts and prompting outward expressions of compassion that affect neighbors and other fellowships.

4. Paul’s Theological View of the Offering as a “Good Work”: The Fruit of Righteousness and Spiritual Circulation

In 2 Corinthians 9, Paul calls the act of offering a “good work” (2 Cor. 9:8). Although “good work” (agathon) in Greco-Roman culture typically denoted moral or ethical benevolence, Paul transcends that meaning, depicting this act as something that prompts thanksgiving and worship toward God, while simultaneously producing an abundance of “the fruit of righteousness” in the church (2 Cor. 9:10).

“The fruit of righteousness” encompasses the total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y through the gospel. It exceeds a mere spike in offerings or greater public esteem. The notion of “righteousness” (dikaiosynē) encompasses a holistic peace and justice arising from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Consequently, a congregation that bears this fruit not only enjoys a healthy, Spirit-filled relationship with God but likewise deepens in love and justice toward one another (Gal. 5:22–23).

Pastor Jang clarifies that devotion is not a marketing ploy to enhance the church’s external appeal or to increase its achievements. Instead, it represents a spiritual chain of grace in motion. Faithful offerings exalt God, in turn inspiring believers to pray for one another with renewed passion, which again sparks further devotion. This fosters a structure of spiritual circulation that surpasses mere benevolent deeds for outsiders; it constitutes an “internal virtuous cycle” that amplifies the spiritual strength within the congregation.

At this point, Jang offers a valuable perspective for modern congregations. Today, church activities are often framed as one-time events or programs, which tend to end as soon as the activity concludes. However, authentic gospel devotion sets off a perpetual loop: grace stimulates service, which is offered back to God through praise, intensifies collective prayer, and culminates in yet more devotion. In this manner, the church transcends being a “charitable organization” and becomes a “spiritual ecosystem.”

5. Devotion Rooted in Grace: The Pivotal Step Pastor Jang Suggests for Today’s Churches

Drawing from Paul’s core theological vision, Pastor David Jang contemplates how the contemporary church can move forward. He encourages believers to look beyond doctrinal purity, administrative prowess, or new worship formats and instead evidence the truth of the gospel through devotion stemming from grace.

His focus is not merely on calls for “greater donations.” Rather, h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source of power.” Genuine devotion emerges naturally from the grace already bestowed, not from any sense of obligation or force. This underscores the task of congregations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believers truly encounter God’s grace, stand in awe, and pass on that gratitude to others. Churches must therefore lead believers to see the gospel not solely as theoretical knowledge but as a power that refashions their everyday experiences.

Pastor Jang terms this process “realizing the gospel,” highlighting how devotion offers churches an opportunity to reassert their mission and identity. If congregations lose sight of the grace bestowed on them, dedicating all their energy to scheduling activities or pursuing visible growth, the gospel’s potency fades. Conversely, a devotion grounded in grace transforms the church into a communal channel, conveying God’s love and grace to others.

6. Inter-Church Solidarity and a Spiritual Ecosystem: Mutual Dependence and Influence

One reason Paul spotlights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to the Corinthian community is to demonstrate how the commitment of one church body can galvanize and inspire another. It reveals how multiple gospel-centered congregations can energize each other, generating a chain reaction of gratitude and intercession—essentially a spiritual ecosystem.

In the era of the early church, congregation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Roman Empire, each shaped by unique 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Some were relatively prosperous, while others languished in dire need. Paul urged wealthier churches to aid poorer ones through offerings, and he instructed recipients to respond with thanksgiving and prayer, solidifying their spiritual interdependence (2 Cor. 9:12–14). This dynamic builds a spiritual “ecosystem,” where every church supplies mutually needed spiritual and physical resources, promoting the growth and maturity of the wider gospel community.

Pastor Jang applies this concept to modern times by advocating that churches strength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upporting churches on mission fields or raising emergency relief funds for crisis-stricken areas is more than an exercise in humanitarianism: it fosters a “circulatory system” through which different gospel communities share the lifeblood of faith. As a result, congregations transcend boundaries of location and culture, forging a united awareness of the global nature of Christ’s church.

7. Realizing the Gospel: Social Witness and Personal Transformation

The realization of the gospel expands beyond individuals and touches the social dimension of life. Once the gospel is enacted within the church—expressed in devotion and sharing—it inevitably flows beyond the sanctuary. In the Greco-Roman world, early Christians assisted the marginalized, including slaves, women, and the poor, offering society an alternate model of what gospel-rooted living looked like. Such community ethics clashed with prevailing Greco-Roman values yet brought the church to the attention of many in the empire.

Church Fathers of the second and third centuries underscored this point. They taught that the church’s social outreach proved that the gospel encompassed more than the salvation of souls, extending toward holistic and societal renewal. They saw that sacrificial devotion was a means of revealing clear signs of God’s kingdom here on earth.

Pastor Jang adopts these patristic insights for the contemporary church, arguing that tangible expressions of gospel devotion can help reclaim societal credibility and introduce alternative virtues. In a modern landscape dominated by consumerism,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self-emptying love appears increasingly alien—yet that is precisely why it magnifies the gospel’s power. Witnesses to a congregation’s sacrificial generosity will naturally wonder, “What drives them to act in such a different way?” Such queries can awaken curiosity and a deeper pursuit of the gospel’s truths.

8. The Modern Church’s Task: Deepening Grace and Crafting Practical Strategies for Gospel Ministry

Pastor Jang offers four practical steps for churches aspiring to reignite a grace-oriented devotion:

Deepening the Experience of Grace. Devotion cannot be upheld by sheer willpower or ethical standards. As believers truly encounter God’s grace, they spontaneously respond with gratitude. Congregations must therefore design spaces—through worship, biblical reflection, prayer disciplines, and discipleship training—where people can profoundly experience divine grace.

Forming a Learning Community. Like Paul’s mention of the Macedonian churches’ generosity to the Corinthians, today’s churches can learn from and apply the experiences of other congregations. By sharing resources through international conferences, partnerships, or exchange programs, they can address gaps and unearth fresh perspectives, advancing in mutual growth.

Implementing Practical Evangelism Strategies. Churches require clear missions that tangibly demonstrate love within local society. From providing meals to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assisting refugees, to cleaning up the environment and supporting survivors of domestic abuse, service must be seen as concrete acts of compassion, not merely abstract theology. When congregations highlight that these ministries flow out of grace, they can regain trust within their communities and publicly validate the gospel message.

Cultivating a Sustained Cycle of Devotion. Devotion is not an isolated charitable gesture; it leads to deeper prayer and gratitude, which then spark even greater dedication in a repeating cycle. Churches should harness this dynamic by organizing volunteer prayer meetings, holding regular testimony sessions, and conducting mission trips, ensuring that acts of service are woven into an ongoing process of spiritual maturation rather than left as one-off events.

9. Gospel-Focused Devotion and the Restoration of Church Identity

A gospel-focused devotion is central to renewing the church’s identity. In modern society, the church is often viewed as a sprawling institution or a purveyor of religious events. Yet acts of devotion reveal that the church is not simply a hub for programmatic activities but a community that experiences and extends God’s grace.

Pastor Jang emphasizes how these acts allow the church to rediscover its true character. The congregation’s purpose lies in living out the gospel as “God’s people,” where devotion is not a secondary choice but a core feature of its identity. The church must be defined not by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but by a network of loving relationships rooted in grace. Indeed, when a community’s gospel-based devotion flourishes, believers more fully grasp who they are and why they exist.

Jang’s teaching and insights align with a modern theological movement called “practical theology,” which investigates the church’s daily life and behavior. Sharing its commitment to connecting theology with practice, Jang moves the gospel beyond theory, urging it to be made manifest in worship, discipleship, and mission. Centered on Pauline theology, his approach motivates churches to recover a deeper sensitivity to the gospel’s essence. This goes beyond trendy church programs or management strategies, aspiring instead toward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awakening that returns to the heartbeat of the gospel. Devotion that flows from grace transforms mere ritualistic events into a vibrant spiritual reality, ensuring that the church can offer a testimony of genuine significance in today’s world.

In our age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and secularization, many churches struggle to define their purpose and identity.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breed skepticism toward sharing and devotion, while competitive pressures lure congregations into chasing “success.”

Yet Pastor Jang believes that the gospel-centered devotion highlighted above provides a counterbalance, pointing to a life shaped by self-emptying service that paradoxically yields profound joy. Such a posture reverses the cultural assumption that prizes hoarding and climbing social ladders. Instead, it embraces the Christian paradox: that deeper fulfillment emerges from sacrificial living.

By cultivating this alternative ethos, the church presents a radical proposition: “Why does this community freely offer what it has?” The very question can arouse genuine interest in the gospel and a hunger for deeper engagement with Christ’s grace.

From 2 Corinthians 8–9, we see that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s signify far more than just a campaign to collect funds. Paul uses their extraordinary generosity to showcase the practical might of the gospel, demonstrating how grace-based devotion can reform a church internally, inspire other congregations, and ultimately honor God by establishing a regenerative cycle of blessing.

Turning to the Philippian congregation’s outstanding support, we see an exemplary portrait of how the gospel is lived rather than relegated to theoretical discourse. Devotion itself verifies gospel authenticity and obedience; it extends beyond doctrinal correctness or flashy growth, revealing the deeper substance of a church’s spiritual state.

By applying Paul’s theology to our contemporary situation, Pastor David Jang underscores that reviving a gospel-shaped devotion is critical to leading the church back to its essence. He reiterates that devotion surpasses charity or philanthropy, functioning instead as part of a cyclical spiritual network through which God is honored, believers unite in fervent prayer, and global gospel connections are strengthened.

This gospel-driven devotion ultimately transforms the church into an “alternative community” that points toward God’s kingdom. In doing so, it counters the pervasiv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f the modern world, revealing the paradoxical power of the gospel. Observers are naturally led to wonder about the source of such heartfelt commitment, validating in real time that the gospel carries the power to change lives.

Finally, the pursuit of gospel realization through devotion reinforces the church within, fosters inter-church cooperation, and radiates the light of Christ in society. In Pastor Jang’s view, this process redirects congregations away from superficial metrics and top-down management, refocusing them on the grace-centered ethos of sharing and service. Consequently, the church reaffirms its identity, confirming once again that the gospel remains a living force capable of shaping our shared world. Thus, it fulfills its vocation as a community that not only proclaims the gospel but also genuinely “lives it out.”

When the gospel takes tangible root, the church transcends being a mere institution or a moral collective and becomes a spiritual community that mediates divine grace. The example set by the Macedonian congregations and the Philippian church illustrates that their generosity validates the church as a true gospel fellowship, established and nurtured by grace. According to Paul, their devotion and the resultant “fruit of righteousness” prove that offering is more than sharing material goods. It is an act that magnifies God’s glory while knitting believers into deeper spiritual fellowship—ultimately forming a “spiritual cycle.” Pastor David Jang therefore concludes that contemporary congregations must move beyond doctrinal proclamations and scripted programs, living out a grace-founded devotion that showcases the gospel’s genuine transformative power. By following this path, the church demonstrates to the world how God’s love reaches into everyday contexts, shining as salt and light. Ultimately, devotion is the vital means of reclaiming the church’s identity and making the gospel a lived reality in our time.

La entrega de la Iglesia de Macedonia – Pastor David Jang

El propósito de este estudio es reflexionar, a partir del espíritu de la ofrenda presentado en 2 Corintios 8-9 y del ejemplo de la Iglesia de Filipos, sobre el rasgo esencial que caracteriza a la comunidad eclesiástica cuando el evangelio se hace realidad en la vida cotidiana. El pasaje donde Pablo menciona a las iglesias de Macedonia, que en medio de extrema pobreza ofrecieron sus bienes con un gozo desbordante, no se limita a describir un simple respaldo económico. Antes bien, representa una escena profundamente significativa que evidencia la dinámica de vivir el evangelio de manera concreta. Este tipo de entrega deviene un fruto natural de la experiencia de la gracia de Dios y su reflejo en la vida, y trasciende tanto el simple conocimiento doctrinal como la ejecución de programas en la comunidad cristiana. Con base en ello, el pastor David Jang exhorta a la iglesia contemporánea a recobrar la autenticidad evangélica que se ha perdido, a glorificar a Dios mediante una entrega sustentada en la gracia y a fortalecer la circulación espiritual entre los creyentes, interpretando todo ello como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En definitiva, este trabajo, a través de los ejes evangelio, entrega, compartir y circulación espiritual, reta a la iglesia a redescubrir su identidad y su orientación más allá del crecimiento externo o los logros programáticos, para constituirse en una auténtica comunidad del evangelio.

1. Desafío sobre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y la comunión entregada

La iglesia primitiva no consideraba el evangelio como un conocimiento o concepto abstracto, sino como un poder real que afectaba cada ámbito de la vida. Experimentaban y encarnaban la gracia salvadora de Jesucristo, consumada en su muerte y resurrección, en la rutina diaria. El contexto en el que Pablo menciona la colect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n 2 Corintios 8-9, ilustra ese modo concreto de vivir el evangelio. Aun padeciendo pobreza y pruebas, las iglesias macedonias se gozaban y contribuían libremente con sus recursos, mostrando que el evangelio no se queda en una confesión de labios ni en una mera declaración doctrinal, sino que produce verdaderos frutos comunitarios cuando se expresa en compartir y servir basados en la gracia.

El pastor David Jang, partiendo de esta lectura, lanza a la iglesia contemporánea una pregunta esencial: “¿Qué actitud asumimos cuando el evangelio se hace real?” Sostiene que el evangelio debe ir más allá de ser simple conocimiento doctrinal, planteamiento ideológico o estrategia de programas, y recalca que, al traducirse en la vida cotidiana, la iglesia experimenta entrega surgida de la gracia, un compartir genuino y una circulación espiritual en el Espíritu Santo. En una coyuntura donde muchas iglesias se ven atrapadas en la lógica del crecimiento externo o en una fe consumista, este retorno a lo esencial supone un punto de partida para recobrar la verdadera esencia evangélica.

En este artículo se analizará a fondo el significado teológico de la entrega que Pablo destaca en las iglesias de Macedonia y el ejemplo señero de la Iglesia de Filipos, al tiempo que se pone de relieve el mensaje que el pastor David Jang transmite a la iglesia de hoy. Además, se considerará cómo la solidaridad entre iglesias y la circulación espiritual constituyen un motor esencial para la comunidad del evangelio y qué implicaciones ofrece este enfoque en medio de una realidad contemporánea marcada por cambios sociales y culturales constantes.

2. Comprender el contexto de Pablo: la ofrend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y la fuerza del evangelio

La referencia que hace Pablo a la entreg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n 2 Corintios 8 y 9 no es simplemente una muestra de “buen ejemplo”. Durante ese período, las iglesias de Macedonia (Filipos, Tesalónica, Berea) se hallaban bajo presiones económicas y sociales del mundo grecorromano. Formaban minorías creyentes, a menudo marginadas o perseguidas, lejos de disfrutar abundancia económica. Aun así, Pablo enfatiza que, pese a su extrema pobreza, daban de forma voluntaria y con “abundancia de gozo” (2 Co 8:2).

Esta conducta encierra una paradoja difícil de comprender desde una perspectiva meramente humana. Que una persona pobre ayude a otros más necesitados no se explica por cálculos sociales. No obstante, en el seno de la comunidad evangélica, la fuerza de la gracia —la intervención del Espíritu Santo y el amor de Dios— cambia la perspectiva de la vida. Para Pablo, la ofrenda no es meramente una “recaudación de dinero”, sino un espejo que refleja el acto central del evangelio: Jesucristo se despojó de sí mismo y se hizo pobre (2 Co 8:9). Por ende, la entrega de las iglesias macedonias es un acto de obediencia conjunta que replica ese despojo (kenosis) de Cristo.

Al reinterpretar este hecho en clave contemporánea, el pastor David Jang realza los rasgos distintivos de cuando el evangelio se hace tangible en la realidad. Destaca que la iglesia de hoy ha de reconocer que el evangelio no es una utopía ni una verdad puramente teórica, sino que debe manifestarse en frutos de entrega que compartan la gracia en situaciones concretas. Asimismo, recalca que la entrega no nace de la coacción, sino de “la gratitud y el amor que brotan tras haber recibido primero la gracia divina”.

3. El caso especial de la Iglesia de Filipos: demostración de la autenticidad evangélica

La Carta a los Filipenses refleja la cercana relación entre Pablo y la Iglesia de Filipos. Esta congregación, en especial dentro de Macedonia, fue sumamente diligente en apoyar el ministerio de Pablo (Fil 4:15-16). Le brindaron respaldo financiero y de otros tipos, dejando en claro que no eran meros “observadores” de la misión, sino colaboradores activos en la difusión del evangelio.

La ferviente entrega de la Iglesia de Filipos evidenciaba la hondura con la que el evangelio había arraigado en su comunidad. Para Pablo, la ayuda que recibía de los filipenses no solo suscitaba gratitud, sino que además constituía una prueba de “fidelidad y obediencia al evangelio”. Su acto de compartir no se limitaba a lo material, sino que se erigía en un “testimonio palpable” de la veracidad del mensaje de Cristo. Es decir, la comunidad que vive y cree genuinamente el evangelio se halla dispuesta a entregar sus bienes, dejando constancia de que su fe no es meramente palabrería.

El pastor Jang ve en la experiencia de Filipos una lección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En la actualidad, muchas congregaciones pregonan consignas misioneras o enfatizan convicciones doctrinales, pero si el evangelio no trasciende a la vida diaria, tales proclamas quedan sin fundamento. La entrega y el compartir se constituyen en vías para probar y robustecer la sinceridad de la fe. No basta con abocarse al crecimiento numérico o a la solidez doctrinal; hay que demostrar cómo esa fe, transformada por el evangelio, se transfiere de manera real y palpable a la vida del prójimo.

4. El significado teológico de Pablo al llamar “buena obra” a la ofrenda: fruto de justicia y circulación espiritual

En 2 Corintios 9, Pablo describe la colecta como una “buena obra” (2 Co 9:8). En el entorno grecorromano, “buena obra” (agathon) podía aludir a un acto moral o ético, pero Pablo va un paso más allá y dice que esta “buena obra” produce acciones de gracias y alabanzas a Dios, a la vez que contribuye a la multiplicación del “fruto de justicia” en la comunidad (2 Co 9:10).

Este “fruto de justicia” alude al conjunto de efectos de una comunidad y una vida que han sido transformadas por el evangelio. No se limita al aumento de fondos recaudados ni a los elogios externos. La “justicia” (dikaiosynē) abarca la paz y la rectitud derivadas de una relación correcta con Dios. Así, la comunidad que produce un fruto de justicia no se limita a vivir bien ante Dios, sino que evidencia frutos genuinos del Espíritu (Gá 5:22-23) en su trato con los demás.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que la entrega no se reduce a “mejorar la imagen de la iglesia” o a lograr “éxitos en los programas”, sino que debe entenderse como un flujo de gracia de naturaleza espiritual. La contribución hecha con sinceridad honra a Dios, aviva la oración y la comunión fraterna, y ese refuerzo en la oración y el amor conduce a más entrega, conformando un círculo espiritual de crecimiento constante. Así, la iglesia deja de ser solo un agente de “ayuda social” para convertirse en un “ecosistema espiritual” en el que se generan y difunden energías de vida.

Tal enfoque lleva al pastor Jang a orientar a la iglesia contemporánea. Con frecuencia, la actividad eclesiástica gira en torno a proyectos y programas que a menudo son efímeros. En cambio, la esencia de la entrega basada en el evangelio es un ciclo perdurable de bendición, donde la gracia divina se plasma como entrega, esa entrega despierta gratitud y alabanza a Dios, intensifica la oración y el amor mutuo, y a su vez alienta nuevas expresiones de entrega. De este modo, la iglesia no se reduce a una institución que “realiza buenas obras”, sino que funciona como un auténtico “ecosistema espiritual”.

5. La entrega basada en la gracia: el punto de inflexión que propone el pastor Jang para la iglesia actual

Tomando como base la esencia de la teología paulina, el pastor David Jang presenta un sendero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Considera que las congregaciones de hoy deben trascender la simple ortodoxia doctrinal, la eficacia organizativa o la variedad de estilos de culto, a fin de demostrar la autenticidad del evangelio a través de una entrega cimentada en la gracia.

Esto no implica solo “compartir más”. El énfasis de Jang radica en la “fuente de la motivación”. La entrega genuina no brota de la coacción ni del deber, sino de la gracia ya recibida. Por ello, la iglesia ha de fomentar un entorno en el que los creyentes experimenten la gracia de manera profunda, se dejen conmover por el amor de Dios y extiendan esa conmoción a quienes los rodean. En otras palabras, se necesita propiciar que el evangelio no sea únicamente teoría, sino fuerza transformadora de la vida.

El pastor Jang recurre a la expresión “realización del evangelio” para describir este proceso, subrayando que la entrega es decisiva en la configuración de la identidad y la orientación de la iglesia. Si la congregación olvida la gracia recibida y se centra en la gestión de programas o el crecimiento externo, el genuino poder del evangelio se diluye. En cambio, la entrega arraigada en la gracia convierte a la iglesia en una “red de provisión espiritual” que distribuye el amor y la benevolencia de Dios.

6. Solidaridad entre iglesias y ecosistema espiritual: influencia e interdependencia mutua

Una de las razones por las que Pablo comunicó a la iglesia de Corinto el ejemplo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s que la generosidad de una comunidad puede estimular el deseo de entrega en otra, creando un círculo de motivación mutua y bendición recíproca. En el siglo I, las iglesias estaban dispersas por todo el Imperio romano y afrontaban condiciones económicas y culturales dispares. Algunas tenían más medios; otras atravesaban aguda escasez. Pablo animaba a las congregaciones con recursos a socorrer a las más desfavorecidas y, por otro lado, invitaba a que aquellas que recibían apoyo respondieran con agradecimiento y oración, reforzando así la interdependencia espiritual (2 Co 9:12-14). Se trataba de un auténtico “ecosistema espiritual” en el que las distintas comunidades se apoyaban recíprocamente y maduraban juntas.

Trasladando estas pautas a la actualidad, el pastor Jang insta a las iglesias a promover intercambios y colaboraciones, tanto nacionales como internacionales. El soporte a iglesias misioneras o la movilización de ayuda económica en situaciones de desastre no son meros actos humanitarios, sino que ejercen de “red de circulación” que inyecta vida en todo el cuerpo del evangelio. Mediante este flujo, la iglesia puede superar limitaciones geográficas y culturales, y afianzar una conciencia global de unidad evangélica.

7. Realización del evangelio: transformación de la vida y testimonio social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no se circunscribe al ámbito personal, sino que se proyecta hacia la esfera social. Cuando el evangelio se expresa en la entrega y el compartir dentro de la iglesia, su repercusión se expande también fuera de ella. En la época grecorromana, la iglesia primitiva cuidaba a los sectores más vulnerables y ofrecía ayuda concreta a esclavos, mujeres y personas indigentes, generando una cultura ética inusual para esa sociedad. Este compromiso solidario despertaba el interés de la sociedad y la llevaba a mirar con nuevos ojos la propuesta de la iglesia.

Los Padres de la Iglesia, en los siglos II y III, recalcaron que, a través de esos gestos de ayuda y comunión, el evangelio no solo aborda la salvación del alma, sino que contempla la restauración integral y social de las personas. Entendían que la entrega constituía una vía para evidenciar que el reino de Dios se hace visible en este mundo.

El pastor Jang, siguiendo esa línea, afirma que la iglesia puede recobrar su credibilidad social y proponer valores alternativos mediante la entrega evangélica. En un contexto donde predomina el consumismo y el materialismo, y donde se exalta el individualismo, la entrega de la iglesia, tan contraria a la lógica del interés propio, exhibe la potencia del evangelio. Esa diferencia radical suscita preguntas como: “¿Por qué esta comunidad actúa de modo tan distinto?”, y tal interrogante puede conducir a indagar el evangelio y a despertar en la gente la inquietud de conocerlo.

8. Retos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profundizar la vivencia de la gracia y forjar estrategias de evangelización práctica

Para reactivar la entrega evangélica, el pastor Jang plantea cuatro tareas fundamentales:

Primero, profundizar la vivencia de la gracia. La entrega no se sostiene en la mera voluntad humana ni en la fuerza moral. Solo cuando el creyente experimenta intensamente la gracia divina surge la gratitud que lo impulsa a compartir y servir. Por ello, la iglesia debe brindar espacios de culto, meditación bíblica, oración y discipulado que fomenten la experiencia de la gracia.

Segundo, formar una comunidad que aprende mutuamente. Así como Pablo mostró a los corintios el ejemplo de la iglesia de Macedonia, en la actualidad también es posible conocer y asimilar experiencias de otras congregaciones, ya sean nacionales o extranjeras. A través de conferencias, asociaciones y convenios de cooperación, las iglesias pueden intercambiar recursos y aprendizajes que potencien su acción y completen sus carencias.

Tercero, diseñar estrategias de evangelización concretas. La iglesia debe demostrar de manera tangible el amor y el cuidado del evangelio: iniciativas de alimentación para niños vulnerables, apoyo a refugiados, campañas de limpieza del entorno, ayuda a víctimas de violencia doméstica y planes de educación. Estas acciones revelan que el amor cristiano no es retórico, sino práctico. Cuando la iglesia recalca que todo ello nace de la gracia, logra recuperar la confianza social y confirmar públicamente su testimonio evangélico.

Cuarto, la entrega no puede limitarse a un solo acto. Ha de prolongarse en un ciclo de gratitud y oración que genere nuevas entregas. Por ello, la iglesia debe fomentar espacios de oración colectiva, testimonios periódicos y visitas a las misiones, a fin de que la entrega deje de ser un evento aislado y se convierta en un proceso de madurez continua.

9. Entrega evangélica y recuperación de la identidad

La entrega evangélica desempeña un papel clave en la reconstrucción de la identidad eclesial. En la actualidad, se percibe a la iglesia a menudo como una “gran organización” o un “proveedor de programas”. Sin embargo, la entrega deja claro que su esencia no reside en ofrecer actividades, sino en ser un cuerpo que experimenta la gracia y la comparte.

El pastor Jang hace hincapié en la necesidad de redescubrir la razón de ser de la iglesia. Su naturaleza consiste en “vivir el evangelio” como “pueblo de Dios”, y la entrega no es una simple actividad opcional, sino un corolario inherente a dicha identidad. La iglesia ha de reformularse, no como institución que provee programas, sino como una red de gracia y amor. Cuando la entrega evangélica cobra fuerza, la iglesia redescubre quién es y con qué fin existe.

La visión del pastor Jang aporta de modo significativo a la teología práctica, que se ocupa de cómo la iglesia debe vivir y actuar. En lugar de confinar el evangelio a teorías, se busca encarnarlo en la vida y en el ministerio. El énfasis de Jang, arraigado en la interpretación de la teología paulina, ayuda a la iglesia de hoy a recuperar la sensibilidad evangélica a menudo difuminada. No se trata de introducir meros programas o estrategias de gestión, sino de promover un resurgimiento teológico y pastoral enfocado en la gracia como el eje de todo acto de entrega y servicio. La entrega vinculada a la gracia brinda autenticidad espiritual a la acción de la iglesia y la convierte en una testigo eficaz del evangelio.

La sociedad actual, inmersa en la globalización, la informatización y la secularización, pasa por cambios vertiginosos que derivan en confusiones sobre la identidad y la misión de la iglesia. El materialismo y el individualismo arraigados desincentivan la entrega, mientras la competitividad empuja a la búsqueda del “éxito”. Sin embargo, la entrega evangélica promovida por el pastor Jang confronta esas tendencias seculares, proponiendo un estilo de vida diferente. Supone despojarse de uno mismo y servir al otro para hallar la verdadera alegría, subvirtiendo la lógica que prioriza acumular y escalar, y evidenciando la paradoja cristiana de alcanzar la plenitud mediante el sacrificio.

Gracias a ello, la iglesia puede plantearle al mundo preguntas disruptivas: “¿Por qué esta comunidad decide compartir lo que posee en una sociedad donde todos compiten por su propio beneficio?” Dichas interrogantes llevan finalmente a explorar el evangelio y a experimentar la gracia de Cristo.

Como se ha analizado, la ofrenda de las iglesias macedonias en 2 Corintios 8-9 no se reduce a una simple colecta, sino que encierra un gran valor teológico. Pablo pone de relieve que esa entrega manifiesta el poder efectivo del evangelio, cimentado en la gracia y expresado por medio de la disposición a compartir, transformando internamente la comunidad e influyendo en otras iglesias para la gloria de Dios.

El ejemplo de la Iglesia de Filipos muestra cómo el evangelio, al volverse real en la vida cotidiana, se expresa en actos de entrega desinteresada que trascienden la afiliación doctrinal o la prosperidad externa y sirven como un examen y una formación del corazón eclesial. Para el pastor David Jang, retomar estas enseñanzas de Pablo constituye el sendero para que la iglesia recupere su esencia. Destaca que la entrega no se limita a ejercer caridad o filantropía, sino que genera una circulación espiritual que exalta a Dios, fortalece la comunión fraterna y expande la interacción evangélica a nivel global.

De este modo, la entrega evangélica designa a la iglesia como “comunidad alternativa” que prefigura el reino de Dios. Al compartir y servir sin reservas, la iglesia pone de relieve la fuerza paradójica del evangelio, confrontando la cultura consumista e individualista, y encendiendo la curiosidad sobre el origen y la fuente de ese poder transformador. De esta forma, la sociedad se pregunta por la procedencia de ese amor y de esa forma de vida distintas, lo cual abre la puerta para testimoniar la gracia de Jesucristo.

En suma, la entrega se presenta como la vía esencial para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fortaleciendo la vida interna de la iglesia, favoreciendo la solidaridad entre congregaciones y brindando luz a la sociedad. Según el pastor Jang, esta senda permite a las congregaciones ir más allá de la mera planificación de programas y el crecimiento numérico, y las ancla en su naturaleza primordial de servicio y comunión. Cuando está arraigada en la gracia, la entrega revitaliza la identidad de la iglesia y confirma, en el contexto actual, que el evangelio sigue siendo un poder vivo que transforma la historia personal y colectiva. Gracias a esta entrega, la iglesia no solo “habla” del evangelio, sino que lo “encarna”, erigiéndose en una comunidad santa que visibiliza el amor de Dios en el mundo. Así, siguiendo el ejemplo de las iglesias macedonias y de la Iglesia de Filipos, se ratifica que la entrega constituye el sendero esencial para la recuperación de la identidad eclesial y para la realización concreta del evangelio hoy.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  – 장재형(장다윗) 목사

장재형목사와 동역자들

고린도후서 8-9장에 제시된 마게도냐 교회의 연보 정신과 빌립보 교회의 헌신적 사례를 중심으로, 복음이 현실 속에서 구현될 때 나타나는 교회 공동체의 본질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바울 사도가 극심한 가난 가운데도 넘치는 기쁨으로 자신들의 소유를 내어놓은 마게도냐 교회들을 언급한 대목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복음적 삶의 역동적 실현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장면이다. 이러한 헌신은 복음 공동체가 교리적 지식이나 프로그램 운영을 넘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고 그 은혜를 삶으로 반영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맺히는 열매라 할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기반으로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복음적 진정성을 회복하고, 은혜에 기초한 헌신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성도 간 영적 순환을 강화하는 ‘복음의 현실화’ 과제로 초대한다. 결국 본 연구는 복음, 헌신, 나눔, 그리고 영적 순환이라는 핵심 키워드들을 통해, 교회가 외형적 성장이나 프로그램적 성취를 넘어 진정한 복음 공동체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도전한다.

1. 복음의 현실화와 헌신적 공동체성에 대한 도전

초대 교회 공동체는 복음을 단순한 지식이나 관념이 아닌,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실재적 능력으로 인식했다. 이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완성된 구원의 은총을 실제 생활 속에서 체험하고 구현하고자 했다. 바울 사도가 고린도후서 8-9장에서 마게도냐 지역 교회들의 연보(헌금) 행위를 언급하는 맥락은 바로 이러한 복음적 삶의 구체화를 보여주는 사례다. 가난과 시련 속에서도 넘치는 기쁨으로 연보하는 마게도냐 교회의 모습은 복음이 단지 입술의 고백이나 교리적 선언에 그치지 않고, 은혜에 기초한 나눔과 섬김으로 나타날 때 진정한 공동체적 열매를 맺음을 증언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런 본문 해석을 통해 현대 교회에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복음이 현실화될 때, 우리는 어떤 삶의 태도를 보이는가?” 그는 복음이 단순한 교리적 지식, 이념적 주장, 프로그램 운영 전략 이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복음이 실제 삶 속에서 구현될 때, 교회는 은혜로 출발한 헌신, 진정한 나눔, 성령 안에서 형성되는 영적 순환을 경험한다. 이는 현대 교회가 소비자 중심적 신앙이나 외형적 성장 논리에 갇혀있는 상황에서 다시금 본질을 회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바울이 강조한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 정신과 빌립보 교회의 본보기가 어떤 신학적 의미를 가지며, 장재형목사가 이를 통해 현대 교회에 던지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교회 간 상호 연대와 영적 순환 구조가 어떻게 복음 공동체의 핵심 동력이 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통찰이 사회적·문화적 환경 변화를 겪는 현대 교회에 어떤 적용 가능성을 열어주는지도 고찰한다.

2. 바울의 맥락 이해: 마게도냐 교회들의 연보와 복음의 동력

바울이 고린도후서 8장과 9장에서 언급하는 마게도냐 교회들의 헌신은 단순한 ‘모범사례’ 제시가 아니다. 당시 마게도냐(특히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레아) 지역 교회들은 헬라-로마 세계의 경제적·사회적 압력 속에 놓여 있었다. 그들은 거대한 도시 문화 속에서 소수 신앙집단으로 존재하며, 물질적 풍요를 누리기는커녕 오히려 박해나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기 일쑤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이들이 극심한 가난에도 불구하고 ‘넘치는 기쁨으로’ 자발적 헌신을 했다고 강조한다(고후 8:2).

이러한 행동은 자연인이 보여주기 어려운 역설이다. 가난한 자가 더 가난한 이들을 돕는 행동은 사회적 계산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 그러나 복음 공동체 내에서는 은혜로 말미암은 동력, 곧 성령의 역사와 하나님의 사랑에 기초한 삶의 전환이 이를 가능케 한다. 바울에게 연보는 단지 ‘돈을 모으는 일’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기 자신을 비우시고 가난하게 되신(고후 8:9) 복음의 핵심 사건을 반영하는 거울과 같다. 따라서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은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kénosis)을 추적하고 반영하는 공동체적 순종이라 할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현대적으로 해설하면서, 복음적 삶이 현실 속에서 구현될 때 나타나는 특징에 주목한다. 그는 현대 교회도 복음이 단순한 이상향이나 관념적 진리가 아님을 깨닫고, 구체적 상황에서 은혜를 나누는 헌신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헌신은 기계적 의무감이 아닌, “우리가 먼저 은혜를 받았기에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감사와 사랑의 반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3. 빌립보 교회의 특별한 사례: 복음적 진실성의 증명

바울이 쓴 빌립보서는 빌립보 교회와의 긴밀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 서신이다. 빌립보 교회는 마게도냐 지역 교회 중에서도 특히나 바울의 사역을 지원하는 데 헌신적이었다(빌 4:15-16). 이들은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 동안 끊임없이 재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단순히 바울의 사역을 관람하는 소비자가 아니라, 복음 선교의 동역자임을 입증하였다.

빌립보 교회의 이러한 헌신은 복음이 그들 내부에 얼마나 깊이 뿌리내렸는지를 반영한다. 바울은 빌립보 교회의 도움을 받으면서 단순한 감사의 차원을 넘어, 그들의 행동이 “복음적 진실성과 순종”을 증명한다고 보았다. 이는 단순히 물질을 나눈다는 차원을 넘어, 헌신 자체가 복음 메시지의 실질성을 드러내는 ‘증거물’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곧 복음을 진정으로 믿고 체험한 공동체는 자신들의 소유를 기꺼이 내어놓음으로써, 그 믿음이 공허한 말이 아님을 보여준다.

장목사는 빌립보 교회 사례를 통해 현대 교회가 배워야 할 교훈을 제시한다. 오늘날 많은 교회가 교리적 주장이나 선교 구호를 외치지만, 실제 삶에서 그 복음의 진실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면, 그 주장은 허무해질 수 있다. 헌신과 나눔은 복음에 참여한 공동체가 그 신앙의 진정성을 삶으로 검증하고 입증하는 통로다. 이는 교회가 단지 교리적 확신이나 숫자적 성장에 골몰하지 않고, 복음이 내면을 변화시킨 결과가 이웃과 다른 공동체에게 어떻게 전이되는지를 확인하는 창구가 된다.

4. 연보를 “착한 일”이라 부르는 바울의 신학적 의미: 의의 열매와 영적 순환

고린도후서 9장에서 바울은 연보 행위를 “착한 일”(고후 9:8)로 명명한다. 당시 헬라-로마 세계에서 ‘착한 일’(agathon)은 단순히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선행을 의미할 수 있지만, 바울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착한 일’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감사와 찬양을 불러일으키며, 공동체 안에서 ‘의의 열매’를 풍성하게 한다고 해석한다(고후 9:10).

‘의의 열매’는 복음 안에서 맺어지는 변화된 삶과 공동체의 총체적 결과물을 가리킨다. 이는 단순히 헌금 액수의 증가나 사회적 칭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의’(dikaiosynē)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에서 비롯되는 전인적 화평과 정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의 열매를 맺는 공동체란, 하나님과의 관계뿐 아니라, 이웃과의 관계에서도 성령의 열매(갈 5:22-23)와 같은 신령하고 풍성한 결과물이 나타나는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헌신이 단순한 ‘교회의 대외 이미지 제고’나 ‘프로그램적 성과’가 아니라, 영적으로 순환하는 은혜의 흐름임을 지적한다. 헌신적인 연보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그 영광 가운데서 성도들 간 기도와 사모함이 불타오르며, 그 기도와 사랑 속에서 다시금 더 큰 헌신으로 이어지는 영적 순환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교회가 단순히 외부 세계에 선행을 베푸는 차원을 넘어, 공동체 내부에서 영적 에너지가 재생산되고 증폭되는 ‘내적 선순환’을 경험하게 한다.

이 지점에서 장목사는 현대 교회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오늘날 교회 활동은 종종 프로젝트나 프로그램 중심으로 흐르는데, 이는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고 말기 쉽다. 반면 복음적 헌신의 본질은 영원한 선순환, 즉 하나님의 은혜가 헌신으로 표현되고, 그 헌신이 다시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와 찬양, 성도들 상호 간 기도의 증가, 그리고 재헌신으로 이어지는 끝없는 순환을 의미한다. 여기서 교회는 단순히 ‘좋은 일 하는 단체’가 아니라, ‘영적 생태계’로 기능한다.

5. 은혜에 기초한 헌신: 장목사가 제안하는 현대 교회의 전환점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바울 신학의 핵심에서 현대 교회가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그는 현대 교회가 교리적 정통성, 조직 운영 능력, 예배 형식의 다양성만을 강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은혜에 기초한 헌신으로 복음적 진실성을 증명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단순히 ‘더 많이 나누자’는 선행 권고가 아니다. 장목사가 강조하는 것은 ‘동력의 출처’다. 진정한 헌신은 억지나 의무감에서가 아니라, 이미 받은 은혜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성도들로 하여금 은혜를 깊이 체험하고, 그 은혜에 감격하며, 그 감격이 주변 사람들에게 흘러나오도록 영적 환경을 조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회는 성도들이 복음을 지식으로만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경험하도록 도와야 한다.

장목사는 이를 ‘복음의 현실화’라고 부르며, 이 현실화 과정에서 헌신은 교회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열쇠가 된다. 만약 교회가 자신이 받은 은혜를 잊고, 프로그램 운영이나 외적 성장에 치중한다면, 진정한 복음적 능력은 희미해진다. 반면 은혜에 뿌리박은 헌신은 교회를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누는 ‘영적 공급망’으로 탈바꿈시킨다.

6. 교회 간 연대와 영적 생태계: 상호 영향력과 의존성

바울이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을 고린도 교회에 알린 이유 중 하나는, 한 교회의 선행이 다른 교회 공동체에 영적 도전을 제공하고, 새로운 헌신을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이는 복음 공동체들이 서로 격려하며, 감사와 기도의 선순환을 촉진하는 영적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뜻이다.

초대 교회 시기, 지역 교회들은 로마 제국 곳곳에 흩어져 있었으며, 각 공동체는 문화적·경제적 상황이 달랐다. 어떤 교회는 상대적 풍요를 누렸지만, 다른 교회는 극심한 어려움에 시달렸다. 바울은 이런 상황에서 연보(헌금)를 통해 부유한 교회가 가난한 교회를 돕고, 수혜를 받은 교회는 감사와 기도로 화답함으로써 영적 상호 의존을 강화하도록 권면했다(고후 9:12-14). 이는 일종의 영적 ‘생태계’로, 다양한 교회들이 서로에게 필요한 영적·물질적 자원을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 복음 공동체 전체가 성숙해간다.

장목사는 이를 현대 교회의 맥락에 적용하면서, 오늘날 교회들도 국내외적으로 상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선교지의 교회를 지원하거나, 재난 상황에서 긴급 구호 헌금을 모으는 등의 행위는 단지 인도주의적 차원을 넘어, 복음 공동체 간에 흐르는 영적 피를 공급하는 ‘순환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순환을 통해 교회는 지역적·문화적 한계를 넘어, 세계적 차원의 복음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

7. 복음의 현실화: 삶의 변혁과 사회적 증언

복음의 현실화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복음이 교회 공동체 내에서 헌신과 나눔의 형태로 분출될 때, 그 영향력은 필연적으로 교회 밖으로 흘러나간다. 헬라-로마 시대의 초기 교회는 당시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노예, 여성, 빈민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에게 구체적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복음적 대안문화를 제시했다. 이는 그리스-로마 윤리 체계에서 보기 드문 공동체적 윤리였으며,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교회 공동체에 주목하게 되었다.

교부들의 해석에서도 이러한 점은 강조되었다. 예를 들어, 2~3세기 교부들은 교회의 나눔 실천을 통해 복음이 단지 영혼 구원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전인적·사회적 회복을 포괄한다는 사실을 부각시켰다. 그들은 헌신적 나눔이 궁극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표지를 세상 속에 드러내는 길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장목사는 이러한 교부들의 시각을 현대 교회에 적용하여, 교회가 복음적 헌신을 통해 사회에서 신뢰를 회복하고 대안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소비주의와 물질주의, 극단적 이기심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교회의 헌신적 나눔은 낯선 풍경이지만, 바로 그 낯섦이 복음의 능력을 증언한다. 교회가 헌신을 통해 드러내는 대안적 공동체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왜 이들은 다르게 사는가?”라는 질문을 품게 하고, 그 질문이 복음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로 이어질 수 있다.

8. 현대 교회의 과제: 은혜 경험의 심화와 실천적 복음화 전략

장목사는 현대 교회가 복음적 헌신을 회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은혜 경험의 심화다. 헌신은 인간의 결단력이나 도덕성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은혜를 깊이 체험할 때, 성도들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감사로 자연스럽게 나눔과 섬김을 실천한다. 이를 위해 교회는 예배, 말씀 묵상, 기도훈련, 제자도 훈련 등을 통해 은혜 체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서로 배우는 공동체 형성이다. 마게도냐 교회들의 연보 정신을 고린도 교회에 소개한 바울처럼, 현대 교회도 다른 지역 교회의 헌신 사례를 배우고 적용할 수 있다. 국제 컨퍼런스나 교회 간 파트너십,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과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교회는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우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셋째, 실천적 복음화 전략 수립이다. 교회는 지역사회에 구체적인 사랑을 표현하는 전략적 사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 지원, 난민 지원, 환경 정화 활동,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교육 사역 등은 복음의 사랑이 ‘추상적 개념’이 아닌 ‘실제적 도움’임을 보여준다. 이 모든 사역이 은혜에 뿌리내린 헌신이라는 점이 강조될 때, 교회는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복음을 공적으로 증언할 수 있다.

넷째, 헌신은 한 번의 선행으로 끝나지 않고, 기도와 감사로 이어져 또 다른 헌신을 유발하는 선순환을 만든다. 교회는 이 순환 구조를 적극 활용해, 헌신자 간의 기도 모임, 정기적 간증 시간, 선교지 방문 등을 통해 헌신이 단순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 성숙 과정임을 체화할 수 있다.

9. 복음적 헌신과 정체성 회복

복음적 헌신은 교회 정체성을 재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현대 교회는 종종 ‘거대한 조직’ 혹은 ‘프로그램 제공자’로 인식되곤 한다. 그러나 헌신은 교회가 단지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체가 아니라, 은혜를 경험하고 그 은혜를 나누는 공동체라는 본질을 재확인시켜준다.

장목사는 여기서 교회 정체성의 재발견을 강조한다. 교회의 본질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복음을 살아내는 것이며, 이때 헌신은 단순한 선택적 사역이 아닌 정체성 자체에 속한 결과물이다. 교회는 프로그램을 넘어 관계로, 조직을 넘어 은혜와 사랑의 네트워크로 재정의되어야 한다. 복음적 헌신이 활성화될 때, 교회는 자신이 누구이며, 왜 존재하는지를 다시금 깨닫는다.

장재형목사의 해설과 적용은 현대 신학의 한 흐름인 실천신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실천신학은 교회가 어떻게 살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성찰하며, 복음을 이론적 틀에 가두지 않고 삶과 사역의 현장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장목사의 관점은 바로 이러한 실천적 신학적 관심을 공유하며, 복음적 헌신을 통해 신학과 생활, 교리와 행동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역할을 한다.

그는 바울 신학에 근거한 성서 해석을 통해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복음적 감수성을 되찾도록 돕는다. 이것은 단순히 새로운 프로그램 제안이나 교회 경영 전략이 아닌, 복음적 본질에 대한 신학적·목회적 갱신이다. 은혜에 기초한 헌신이야말로 교회의 사역을 공허한 외형이 아닌 영적 실체로 만들며, 교회가 복음을 전하는 유의미한 존재로 거듭나게 한다.

현대 사회는 정보화, 글로벌화, 세속화 등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회는 흔히 정체성과 역할 혼란을 겪는다. 물질주의와 개별주의 문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나눔과 헌신을 부담스럽게 만들고, 경쟁 논리는 교회마저 ‘성공’을 향해 질주하도록 유혹한다.

그러나 장목사가 강조하는 복음적 헌신은 이러한 세속적 흐름에 역행하는 대안적 삶의 형태를 제공한다. 복음적 헌신은 자신을 비우고 다른 이들을 섬김으로써 진정한 기쁨을 누리는 삶을 추구한다. 이는 현대 문화가 강조하는 ‘더 많이 소유하고, 더 높이 올라가야’ 한다는 논리를 뒤집으며, 오히려 자기 희생을 통해 충만한 삶을 누리는 기독교적 역설을 생생히 드러낸다.

교회는 이러한 대안적 공동체 문화를 통해 세상에 새로운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모두가 자기 이익만을 좇는 세상에서, 왜 이 공동체는 자신들이 가진 것을 기꺼이 나누는가?” 이러한 질문은 궁극적으로 복음을 탐구하게 만들고, 그리스도의 은혜를 만나도록 이끈다.

우리는 고린도후서 8-9장에 나타난 마게도냐 교회의 연보 정신이 단순히 교회 헌금 모금 행사 이상의 깊은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음을 확인했다. 바울은 그들의 헌신을 통해 복음의 실제적 능력, 곧 은혜에 기초한 헌신이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변화시키고, 다른 교회에 선한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영적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지 보여주었다.

빌립보 교회의 특별한 헌신 사례를 통해 우리는 복음이 추상적 이론이 아닌, 실제 삶에 적용될 때 어떤 형태를 띠는지 알 수 있었다. 헌신은 복음적 진실성과 순종을 입증하는 행동으로서, 교리적 정통성과 외형적 번영을 넘어 교회의 내면을 시험하고 형성하는 잣대가 된다.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바울 신학의 통찰을 현대 교회에 적용하면서, 복음적 헌신의 회복이야말로 교회가 본질로 돌아가는 길이라고 역설한다. 그는 헌신이 단순한 선행이나 자선사업이 아닌, 은혜에 기초한 영적 순환을 형성하는 행위임을 강조한다. 헌신을 통해 교회는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올리고, 성도들 간 기도의 끈을 강화하며, 복음적 연대를 전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한다.

이러한 복음적 헌신은 교회를 하나님의 나라를 예고하는 ‘대안 공동체’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 개별주의, 소비주의를 넘어서는 복음의 역설적 능력을 드러내며, 사람들로 하여금 그 출처와 동력을 궁금해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복음이 실제로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임을 증언하는 참된 교회의 모습을 다시금 회복하는 데 헌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복음의 현실화를 위한 헌신은 교회 내부를 강화하고, 교회 간 연대를 촉진하며, 사회에 복음의 빛을 비추는 총체적인 과정이다. 장목사는 이를 통해 교회가 프로그래밍과 외형적 성장 논리를 넘어, 은혜에 기초한 섬김과 나눔이라는 본질적 차원에 서게 됨을 환기한다. 복음적 헌신은 교회의 정체성을 새롭게 하고, 복음이 여전히 살아있는 능력임을 오늘날에도 확증하는 열매이다. 이로써 교회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비추는 거룩한 공동체로서, 복음을 말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살아내는’ 증인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복음이 현실 속에 뿌리내릴 때, 교회는 단순한 종교 단체나 도덕적 선행의 집합체를 넘어, 하나님의 은혜를 매개하는 영적 공동체로 자리매김한다. 마게도냐 지역 교회들과 빌립보 교회의 헌신은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본보기로, 그들의 연보는 교회가 은혜로 시작하여 은혜로 성장하는 복음 공동체임을 증명한다. 바울 사도를 통해 드러난 이 연보 정신과 의의 열매는 헌신이 단지 재물을 나누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성도들 간 깊은 영적 연결을 이뤄내는 ‘영적 순환’임을 일깨운다. 장재형목사의 통찰에 따르면, 현대 교회 역시 복음이 진정한 능력임을 보여주기 위해 교리나 프로그램을 뛰어넘어 은혜에 기초한 헌신적 삶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회는 복음의 진실성과 생명력을 세상 앞에 증언하며, 하나님의 사랑이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변혁을 일으키는지 입증하는 빛과 소금의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다. 결국 헌신은 교회의 본질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복음의 현실화를 이루는 핵심 경로임을 우리는 다시금 확인하게 된다.

삼위일체 – 장재형목사

서론

신약성경 고린도후서(2 Corinthians) 12장 후반부(12:11 이하)부터 13장 마지막 절(13:13)까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교회를 향해 남긴 매우 인상적인 결말 부분에 해당한다. 바울은 여기서 단순히 교훈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바로잡기 위해 자신이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을 폭로하고, 사도로서의 권위와 진정성을 재확인하며, 복음의 순수성과 교회 공동체의 성숙을 호소한다. 이 본문은 그가 고린도 교회와 오랜 시간 형성한 관계의 결실이자, 동시에 마지막으로 내놓는 경고의 호령이다.

장재형(장다윗, 올리벳대학교)목사는 이 본문을 주석하고 설교하면서, 고린도교회가 겪고 있는 문제들이 2천 년이 지난 현대 교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교회의 체질은 쉽게 변하지 않으며, 복음이 역사하는 현장에는 언제나 인간적 미성숙, 재물 문제, 권위 오해, 거짓 가르침 등이 변주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바울이 눈물로 쓴 편지(tearful letter)라고 알려진 고린도후서의 후반부는 단순한 시대적 기록이 아닌, 모든 시대의 교회와 신자들에게 전달되는 생생한 경고이자 소망의 메시지이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이 고린도교회 성도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권면과 책망을 통해, 현대 교회가 어떻게 복음에 굳게 서며, 공동체의 성숙을 이루고, 교회 지도자의 권위와 성도들의 순종, 그리고 성령 안에서의 신앙 점검과 사랑의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지 집중 조명한다. 또한 교회가 재정, 거짓 교사, 인격적 충돌, 죄의 방치 등의 복합적 문제를 어떻게 신앙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아래에서는 본문의 핵심 메시지를 5개의 주제로 재구성한다. 첫째, 바울의 단호한 책망과 고린도교회의 역사적 상황 이해. 둘째, 사도적 권위와 겸손의 역설. 셋째, 재물 문제와 거짓 교사에 대한 바울의 입장과 복음의 순수성 수호. 넷째, 사랑과 인내, 권징의 균형을 통한 공동체 세움. 다섯째, 삼위일체 하나님의 축도와 교회의 온전한 성장. 이 다섯 주제는 장재형목사의 목회적 통찰과 신학적 안목을 바탕으로, 고린도후서 본문을 현대 교회가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제 1: 바울의 단호한 책망과 고린도교회의 상황 이해

1. 역사적 배경과 바울의 상심
바울은 제2차 전도여행 중 고린도에 머물며(약 1년 반 정도) 교회를 개척하고 복음의 기초를 놓았다. 그 이후 그는 다른 지역으로 떠나 선교 사역을 계속했는데, 바울의 부재 중 고린도교회 안에 거짓 교사들이 침투하여 분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바울의 사도적 권위를 부정하고, 다른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성도들의 신앙을 흔들었다. 그 결과 바울은 서신을 통해 이 문제를 수습하려 했고, 직접 방문도 시도했지만,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장재형목사는 여기서 바울이 느꼈을 인간적 상심과 영적 고뇌를 강조한다. 한때 사랑으로 양육했던 교회가 지금은 사도를 의심하고, 그의 진실성을 훼손하는 상황은 바울에게 심각한 충격이었다. 그는 복음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했건만, 지금은 자기를 변호해야 하고, 심지어 자신을 자랑하기까지 해야 하는 난처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 ‘어리석은’ 자리로 몰린 사도는, 사실 복음을 수호하기 위해 침묵할 수 없었던 것이다.

2. 현대 교회와의 평행성
장재형목사는 이 점을 통해 오늘날 교회의 현실을 짚는다. 현대 교회도 다양하게 변질된 복음이나, 지도자의 권위를 흔드는 목소리, 재정 문제로 인한 의혹, 성도들 간의 갈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교회는 구원받은 죄인들의 공동체로, 완전한 상태로서 존재하지 않고 늘 성화의 과정에 있다. 따라서 고린도교회가 경험한 문제들은 오늘의 교회도 언제든 맞닥뜨릴 수 있는 현실적인 도전이다.

3. 침묵 대신 단호함을 택한 바울
원래 복음의 이상은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 곧 이사야 53장의 어린양처럼 묵묵히 고난을 견디는 모습을 따른다. 그러나 바울은 교회가 혼란 속에 휘말리고 복음의 본질이 훼손되는 상황에서 침묵이 오히려 해가 된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어리석게” 자신을 자랑하고 변호하며, 단호한 어조로 거짓 교사들을 책망한다. 이를 통해 장재형목사는 교회의 건강을 위해 때로는 단호한 대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랑은 단지 모든 것을 덮는 변명이 아니라, 죄와 거짓을 직면하고 그것을 교정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4. 바울의 책망 속 사랑의 동기
바울의 단호한 언어 뒤에는 깊은 사랑이 숨어 있다. 그는 고린도교회가 진리 위에 굳게 서기를 바란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책망하고 변호하며, 교회를 세우기 위한 선한 싸움을 멈추지 않는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현대 지도자들에게 적용한다. 교회 지도자는 혼란한 상황에서 사랑의 이름으로 죄를 방치하거나, 세상 논리에 순응하지 말고, 단호하면서도 겸손한 자세로 공동체를 진리로 인도해야 한다.

주제 2: 사도적 권위와 겸손의 역설

1. 사도적 표징과 참된 권위의 근거
바울은 고린도교회에서 사도적 표징을 충분히 보였다(고후 12:12 참조). 그는 기적과 표적을 행하고, 인내심을 갖고 성도들을 가르쳤다. 그러나 교회는 이를 당연히 여기고 감사하기보다, 오히려 그가 급료를 받지 않은 점을 기묘하게 생각하며 그의 동기를 의심했다. “왜 사도는 부유한 우리 교회에서 봉급을 받지 않는가? 속임수가 있는 것 아닌가?” 이러한 질문은 사도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배은망덕한 태도를 드러낸다.

장재형목사는 참된 사도적 권위는 기적이나 외적인 성과만으로 입증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권위는 복음에 대한 절대 충성, 자기 희생, 인내, 그리고 공동체를 세우려는 헌신을 통해 정당화된다. 바울은 바로 이러한 본질적 요소들을 모두 보여주었다.

2. 권위의 목적: 파괴 아닌 세움
바울은 고후 13:10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권위는 “파하려 하지 않고 세우려” 하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이는 교회 권위의 목적을 명확히 한다. 지도자의 권위는 공동체를 무너뜨리거나 성도를 억압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오직 세우고 성숙케 하는 수단일 뿐이다. 장재형목사는 현대 교회의 지도자들이 이 원리를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권위 남용은 교회를 상처입히고, 권위 경시도 교회를 해체시킨다. 그러므로 권위는 본래적 목적대로, 공동체 강화와 성숙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3. 약함 속 능력: 십자가 패러독스
바울은 그리스도의 모범에서 배우듯, 자기의 약함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난다고 역설한다(고후 13:4).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약해 보였으나 실상은 부활하심으로 권능을 나타내신 것처럼, 바울도 약할 때 하나님이 강하게 역사하신다고 말한다. 이는 지도자가 스스로를 과도하게 높이거나, 교회가 성공주의 논리에 갇히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와 같다. 장재형목사는 오늘날 지도자가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고, 오직 하나님 능력에 의존하는 모습이 참된 권위를 확립하는 길임을 강조한다.

4. 현대적 함의: 권위와 겸손의 긴장관리
오늘날 교회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무권위적 방임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의 사례를 통해, 진정한 지도자는 권위와 겸손을 동시에 품어야 하며, 이는 성령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권위는 진리 수호와 공동체 성장에 필수적이지만, 이는 인간적 독선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과 예수의 겸손을 통해 발휘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설은 교회 지도자들이 신중히 곱씹을 가치가 있다.

주제 3: 재물 문제, 거짓 교사, 그리고 복음의 순수성

1. 재물에 대한 오해와 갈등
고린도교회는 부유한 공동체였고, 이로 인해 재물 문제가 민감한 쟁점이었다. 바울은 일부러 고린도교회로부터 생활비나 사례비를 받지 않았다. 이는 그가 재물로 복음을 매매하거나 오해받지 않기 위한 조치였을 것이다. 그러나 교회는 이를 역으로 의심했다. “왜 사도가 우리에게선 돈을 안 받나? 무슨 꿍꿍이가 있는 건가?” 이런 식의 반응은 교회가 복음을 재정적 거래나 이해관계로 간주하는 왜곡된 사고를 반영한다.

장재형목사는 여기서 교훈을 이끌어낸다. 재물은 교회 안에서 중요한 자원이나, 복음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지도자의 헌신을 의심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금전적 문제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면 복음의 순수성이 훼손된다.

2. 거짓 교사들의 간교한 침투
거짓 교사들은 사도를 음해하고 교회를 분열시킨다. 그들은 사단이 하와를 유혹한 뱀처럼 간교하게 행동한다. 이들은 바울의 사도직을 폄하하고, 재물 문제를 부각시키며, 다른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공동체를 흔들었다. 장재형목사는 이런 사례를 들어, 현대 교회도 유사한 도전—이단적 흐름, 번영신학, 물질적 가치 우선—을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교회는 이러한 거짓된 흐름을 철저히 경계하고 진리를 지켜내야 한다.

3. 복음의 본질 수호
바울이 격정적으로 토해내는 언어의 본질은 복음의 순수성에 있다. “우리가 진리를 거스려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오직 진리를 위할 뿐이니”(고후 13:8)라는 선언은 사도의 심장소리이다. 진리는 복음이고,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은혜의 선물이다. 이것을 돈이나 인간적 이해득실로 재단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다.

장재형목사는 복음의 본질이란 “값없이 주어진 은혜”와 “희생적 사랑”임을 상기시키며, 교회가 이 본질을 훼손하는 어떠한 세속적 사고나 거짓 가르침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재물이 먼저 앞서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진실로 추구해야 할 것은 하나님 나라의 의와 진리이다.

4. 옥합 깨뜨린 여인과 거룩한 낭비의 영성
비싼 향유를 예수께 부은 여인을 비난한 유다의 태도는 재물을 근거로 복음을 판단하려는 고린도교회와 유사한 사고를 보여준다. 예수님은 그러한 ‘합리적 비판’을 책망하시며, 사랑의 낭비 자체가 복음의 속성임을 드러내신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들어, 교회는 때로는 세상 논리로 낭비처럼 보이는 헌신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증언하고, 복음의 진수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한다. 재물을 포함한 모든 자원은 복음의 도구이지 목적이 될 수 없다. 교회의 가치는 금전적 이득이 아닌, 십자가 사랑의 실천에 있다.

주제 4: 사랑, 인내, 권징: 교회 공동체를 세우는 사도의 원리

1. 사랑의 본질과 공동체 관계
바울은 고린도교회를 깊이 사랑했다. “내가 원하는 것은 여러분의 재물이 아니라, 바로 여러분입니다”(고후 12:14)는 고백은 이를 명확히 한다. 그는 영혼을 위해 헌신하고, 자신을 희생하겠다는 자세를 보인다. 그러나 교회는 그 사랑에 응답하기는커녕, 오히려 바울을 덜 사랑하고, 의심으로 대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참된 사랑이란 상대가 반드시 보답하지 않아도 기꺼이 베푸는 희생적 태도임을 강조한다.

2. 인내의 중요성
사랑은 오래 참고 기다린다(고전 13장). 바울은 이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도 인내하고 있다. 이 인내는 결코 약함이나 비겁함이 아니라, 공동체를 살리는 전략적 기다림이다. 장재형목사는 인내를 “가슴 찢어질 듯한 상황 속에서도, 옳은 일을 위해 기다리고 버티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현대 교회도 서로를 사랑하고 세우기 위해, 때로는 고통스러운 인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인내는 결코 죄나 거짓을 무기한 방치하는 수단이 아니다. 적절한 때에 권징과 책망을 통해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

3. 권징의 필요성과 목적
바울은 13장 초반부에서 “이번에 가면 죄지은 자를 그냥 두지 않겠다”(고후 13:2)고 선언한다. 이는 사랑으로 가린다고 무조건 모든 죄를 묵인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권징은 교회 공동체를 정화하고, 죄에 빠진 성도를 회개로 이끄는 과정이다. 장재형목사는 권징이 파괴적이고 가혹한 행위가 아니라, 회복과 세움을 위한 엄중한 사랑의 표현임을 역설한다. 현대 교회가 이 원리를 놓치면, 사랑과 관용의 이름으로 죄와 거짓이 만연하게 된다.

4. 사랑·인내·권징의 균형 추구
현대 교회는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죄를 방치하거나, 반대로 엄격한 권위로 성도를 짓누르는 극단을 피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의 모범을 들어, 사랑과 인내, 권징이 적절히 균형을 이룰 때 공동체는 건강하게 성장한다고 설명한다. 교회는 죄를 회개로 이끄는 단호한 태도와, 성도를 다시 일으키는 회복적 사랑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이런 균형을 통해 교회는 세상 속에서 진리와 사랑을 통합한 공동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주제 5: 삼위일체 축도(고후 13:13)와 교회의 온전한 성장

1. 축도의 의미
바울은 편지의 끝을 장식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 13:13)라고 축도한다. 이것은 단순한 인사말이 아니다. 장재형목사는 이 축도를 통해 바울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 사랑, 교통을 고린도교회에 선물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 축도는 교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신앙의 공간, 즉 성부·성자·성령의 친교 안에 머무르라는 초대이다.

2. 삼위일체적 공동체 이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의 흐름을 닮아야 한다. 성부의 사랑, 성자의 은혜, 성령의 친교 안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한다.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성도들이 한데 모여, 삼위일체적 조화를 이룰 수 있다면, 교회는 세상과 구별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교회 공동체가 편협한 인간적 이해관계를 초월하고 하나님 중심의 관계망을 형성해야 함을 촉구한다.

3. 신앙 점검과 성장의 필요성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스스로를 살피고 믿음을 점검하라”고 명한다(고후 13:5). 이는 삼위일체 축도 안에서 성도들이 자신들의 신앙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리스도께서 자신 안에 계심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이 점검에서 실패한다면, 성도는 이름뿐인 그리스도인이며, 공동체는 내부적으로 허약한 상태에 머문다.

장재형목사는 이 신앙 점검이 교회 성장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성도들이 각자 내면을 돌아보고, 진리 위에 견고히 서 있으며, 사랑과 성령의 교통 안에 있는지 확인할 때, 교회는 점차 성숙해간다. 이러한 정기적 자기성찰은 현대 교회에도 긴요하다. 세속화, 혼합주의, 물질주의가 난무하는 시대에 참된 믿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신앙 점검이 필요하다.

4. 현대 교회에 주는 축도의 메시지
오늘날에도 예배의 끝에는 축도가 선포된다. 장재형목사는 이 축도가 일상적으로 반복되지만 결코 형식적 요소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축도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이 성도의 삶, 교회의 삶 속에 현실화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영적 선언이다. 매주 축도를 통해 교회는 자신이 누구에게 속해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다시금 점검하고, 진리와 사랑 안에서 재무장하는 기회를 갖는다.

삼위일체 축도는 혼란한 세상 한복판에서 교회가 흔들리지 않고 복음 위에 서 있을 수 있는 근거이며, 진리의 중심점이다. 교회는 이 축도를 통해 십자가와 부활의 은혜를 재발견하고, 하나님의 사랑에 힘입어 서로 사랑하며, 성령의 교통하심으로 다양한 은사를 조화롭게 결합시켜 한 몸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공동체야말로 바울이 그토록 바라고, 장재형목사가 현대 교회에 제안하는 이상적 교회의 모습이다.

결론 및 현대적 적용

장재형목사는 고린도후서 12~13장을 통해 고대 교회와 현대 교회가 맞닥뜨린 문제들을 깊이 파헤치고, 바울의 가르침을 오늘날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이 본문이 드러내는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진리 수호와 복음의 순수성: 교회는 어떤 상황에서도 복음의 본질을 훼손하는 거짓 가르침과 타협해서는 안 된다. 재물, 세속적 지혜, 정치적 이해관계로 복음을 재단할 수 없다.
  2. 지도자의 권위와 겸손: 지도자의 권위는 공동체를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이며, 지도자는 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해야 한다. 권위남용이나 권위경시는 모두 공동체 파괴를 초래한다.
  3. 사랑과 인내, 그리고 권징의 조화: 교회 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랑으로 인내하되, 죄를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회개와 정화를 통해 공동체를 세우는 권징을 실시해야 한다. 사랑은 진리를 희생하지 않는다.
  4. 삼위일체 하나님의 임재와 성장: 축도를 통해 드러난 성부·성자·성령의 은혜, 사랑, 교통하심 안에서 교회는 신앙 점검과 성숙을 이룬다. 교회는 끊임없이 자기성찰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고, 세상을 향해 복음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5. 현대 교회의 도전과 소망: 2천 년 전 고린도교회의 문제는 오늘의 교회에도 반영된다. 그러나 바울의 가르침과 장재형목사의 해설은 현대 교회가 진리와 사랑, 권위와 겸손, 인내와 권징을 조화롭게 구현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이것은 교회가 시대를 초월해 갖추어야 할 근본적 영적 자질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오늘날 교회 안에 만연한 세속화, 상업화, 권위 남용, 오해와 다툼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신자들은 이 가르침을 통해 진리를 수호하고, 지도자의 권위를 존중하며, 사랑으로 서로를 세워나가는 선한 싸움을 이어갈 수 있다.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성령의 교통하심을 깊이 묵상하며, 교회가 단순한 조직이 아닌, 영적 공동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된다.

장재형목사 –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

서론: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과 초대 교회 사랑의 원형
바울 사도의 서신들 중 빌립보서는 특별히 사도와 교회 간의 긴밀한 사랑, 신뢰, 헌신적 관계를 진하게 드러낸다. 그 중 빌립보서 1:8에서 바울이 “내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너희 무리를 사모한다”고 고백하는 장면은, 교회 공동체가 어떠한 사랑의 기초 위에 서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 표현에서 바울은 단순한 인간적 호감이나 정서적 애착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비움과 희생적 사랑에 근거한 영적 관계를 강조한다. 장재형(장다윗, 올리벳대학교설립) 목사는 이러한 본문 해설을 통해, 초대 교회 공동체가 단순히 조직적·제도적 형식이나 교리적 합의 위에 서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며 결속된 “영적 가족”임을 상기시킨다.

본 글에서는 바울이 보여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 개념을 빌립보 교회뿐 아니라, 다른 바울 서신들에서 나타난 사랑과 공동체 이해와 연결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는 사랑, 헌신적 나눔, 복음적 가치관의 실천, 그리고 현대 교회 공동체가 되새겨야 할 사랑의 본질을 재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의 의미: 사랑의 신학적 토대
바울이 빌립보서 1:8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이라는 표현을 쓸 때, 이는 헬라·로마 문화권에서 감정과 애정을 내장(창자)으로 비유하는 관용적 표현을 넘어서, 복음의 핵심을 드러내는 신학적 선언이다.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 감정은 종종 내장으로 표현되었지만, 바울은 여기서 단순히 감정 차원을 넘는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특히 십자가에서 드러난 희생적 사랑을 언급함으로써, 인간적 차원의 애정을 초월하는 신적 차원의 사랑을 지향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은 곧 예수께서 보여주신 자기비움(kenosis), 즉 빌립보서 2:5-8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낮아지심과 희생을 그 원형으로 한다. 예수는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않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입고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순종하셨다. 그 사랑은 조건이나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 무조건적이며 희생적인 사랑이다. 바울은 바로 이 사랑을 빌립보 교회를 향한 자신의 사랑의 모델로 삼고 있다. 장재형 목사는 이 점을 강조하며, 교회 공동체의 사랑은 단순히 인간적 호감이 아닌, 그리스도의 구속사적 희생과 마음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성령의 역사임을 밝힌다.

II. 영적 가족으로서의 교회 공동체: 힘 논리의 대안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관계라면, 이는 교회 공동체가 세상의 힘 논리나 이해관계에 따라 구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세상은 혈연, 이익, 권력, 지위, 제도, 문화적 취향 등에 따라 인간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세속적 관계는 변하기 쉽고, 이해관계가 깨질 때 쉽게 붕괴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맺어진 교회 공동체는 전혀 다른 기초를 가진다.

장재형 목사는, 예수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하는 교회는 “영적 가족(spiritual family)”이라고 설명한다. 이 가족은 복음을 통해 거듭난 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에 의해 서로를 품는 관계이다. 혈연보다 깊고, 이익보다 튼튼하며, 문화적 차이조차 넘어서게 하는 이 사랑은, 성령의 역사로 인해 가능한 신적 결속력이다. 이러한 결속은 지리적 거리나 경제적 한계도 뛰어넘는다. 빌립보 교회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로마의 감옥에 갇힌 바울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이 사랑은 세속적 거래로 설명할 수 없는 복음적 관계의 증거다.

III.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는 사랑: 빌립보 교회와 바울의 예
바울의 옥중 상황은 교회 공동체의 사랑이 얼마나 순수하고 강인한지 시험하는 무대가 되었다. 만약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단순히 유능한 지도자로 여기고, 교리 지식을 전달해주는 선생 정도로만 생각했다면, 위험한 상황에서 그를 지원하는 일은 꺼렸을 것이다. 그러나 빌립보 교회는 바울을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했고, 이는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깊은 헌신을 가능케 했다.

바울의 다른 서신들도 이러한 고난 속 사랑의 역설을 잘 보여준다. 로마서 5:3-5에서 바울은 고난이 인내를, 인내가 연단을, 연단이 소망을 낳으며, 성령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진다고 말한다. 고난은 사랑을 약화하는 대신 오히려 정화하고 강화한다. 고린도후서 1:3-7에서는 바울이 환난 중에 받은 위로를 통해 다른 성도들을 위로하는 사랑의 순환을 보여준다. 이처럼 고난은 사랑을 시험하지만, 또한 사랑의 진가를 드러낸다. 장재형 목사는 이 과정을 “정화된 사랑의 여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

빌립보 교회의 사례에서, 고난은 결코 공동체의 약점을 드러내는 장벽이 아니었다. 오히려 사랑의 탄광 속에서 금광을 찾아내듯, 고난은 빌립보 성도들의 사랑을 더욱 순수하고 빛나게 만드는 촉매 역할을 했다.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는 외부적 역경 앞에서 주저앉지 않고, 오히려 결속력이 강화된다. 이것은 복음적 사랑의 특징이기도 하다.

IV. 복음으로 변화된 가치관: 사랑의 근본 동력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품은 사랑은 단순히 도덕적 아름다움이나 윤리적 훈계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복음이라는 실체에 뿌리내린 가치관 전환의 결과이다. 바울의 서신들에서 반복되는 메시지는, 우리가 복음을 믿을 때 단지 죄 사함을 받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삶 전체가 뒤집히는 변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에베소서에서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묘사하며, 각 지체가 사랑 안에서 함께 자라나도록 부름받았다고 말한다(엡 4:15-16). 사랑은 윤리적 명령이기 이전에, 교회의 존재 양식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은, 교회 안에서 개인주의나 경쟁 논리를 철저히 무너뜨리고, 상호 돌봄과 협력을 통해 공동체가 성장하게 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통해 사랑이란 단순히 느끼는 감정이 아니라, 복음이 부여한 새로운 정체성에 따라 움직이는 실천적 동력이라고 역설한다.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바울은 사랑을 정의하면서 사랑이 인내하고, 온유하며, 시기하거나 교만하지 않고,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고전 13:4-5). 이러한 사랑의 특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형성된 공동체가 어떤 행동양식을 보여야 하는지를 잘 나타낸다. 현대 교회가 세속적 가치관에 물들어 프로그램이나 규모, 재정, 영향력 등에 치중하기 쉽지만, 바울과 장재형 목사는 이 본문들을 통해 교회의 진정한 힘은 사랑에서 나온다고 경고한다.

V. 다른 바울 서신에 나타난 사랑의 확장: 위로와 공감, 상호부담의 관계
바울은 빌립보서뿐 아니라 다른 서신서에서도 사랑으로 결속된 공동체 관계를 거듭 강조한다. 데살로니가전후서에서 그는 환난 중에도 믿음, 사랑, 소망을 굳게 지키는 데살로니가 교회를 칭찬한다(살전 1:3, 살후 1:3-4). 이러한 공동체는 고난 속에서도 상호 위로와 지원을 통해 서로를 격려한다. 마치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감옥에서도 잊지 않고 돕듯, 데살로니가 성도들도 박해와 환난 중에 서로를 돌보며 견뎠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가진 교회는 환난 앞에서 흩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단단히 묶인다.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은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고(갈 5:13), 서로의 짐을 지라고 권고한다(갈 6:2). 이는 사랑이 단순한 선한 감정이 아니라 구체적 행위, 곧 서로의 부담을 함께 나누는 실천임을 보여준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는 필요한 곳에 기꺼이 손을 내밀며, 세상의 성취 지향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희생과 봉사를 기쁨으로 감당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사랑의 실천이야말로 교회를 단순한 종교 단체 이상으로 만들고, 복음의 생명력을 사회 속에 드러내는 통로라고 해설한다.

VI. 사랑의 지속성과 성장: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어지는 착한 일
바울은 빌립보서 1:6에서 “너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룰 줄을 확신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착한 일’은 빌립보 교회가 보여준 헌신과 사랑, 복음적 교제 모두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사랑은 한 순간의 열정으로 끝나지 않고, 종말론적 전망까지 이어지는 지속적 과정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성숙해간다. 로마서 8장에서 바울은 창조물이 탄식하는 가운데, 성도가 소망 중에 기다리는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자유를 언급한다(롬 8:18-25). 이 소망의 과정 속에서 사랑은 단순히 현세적 이익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님의 구원 역사 전체를 배경으로, 사랑은 종말론적인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공동체의 걸음걸이를 지탱한다. 이는 사랑이 감정적 소비재가 아니라, 영원한 가치에 뿌리를 두고 성장하는 유기체적 힘임을 시사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종말론적 시각을 통해, 현대 교회가 사랑을 단순한 이벤트나 캠페인으로 바라보는 한계를 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하는 공동체는,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계속 자라고 완성되어 갈 것이다. 이는 교회가 일시적 인기나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긴 안목을 가지고 복음적 사랑을 실천하도록 권면한다.

VII. 현대 교회에 주는 시사점: 제도·프로그램보다 앞서는 사랑의 회복
오늘날 교회는 종종 규모의 성장, 프로그램 다양화, 세련된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집중한다. 그러나 이런 외적 요소들이 결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대체할 수 없다. 장재형 목사는 빌립보서를 비롯한 바울 서신 해설을 통해, 현대 교회가 다시 복음의 본질인 사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한다는 것은, 교회 내 갈등이나 오해가 생겼을 때 이를 무관심이나 힘의 논리로 해결하지 않고, 십자가 사랑의 관점에서 풀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겸손과 희생, 용서와 화해를 전제로 한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서도, 교회가 단순히 봉사 활동을 행사처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지역을 품고, 진정한 관심과 돌봄으로 삶을 나누는 사랑을 실천해야 함을 뜻한다.

고난은 현대 교회에도 온다.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비난, 내부 분열, 신앙적 무관심 등 다양한 형태로 다가오는 고난 속에서 교회는 사랑이 시험받는다. 이때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공동체는, 문제를 단순히 조직 개편이나 제도 개선으로 풀지 않고, 복음적 사랑의 관점에서 서로를 붙들고 자라나게 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런 접근이 교회의 참된 회복과 성숙을 이끌 것이라 전망한다.

VIII. 고난은 사랑의 정화 과정: 21세기 교회가 배울 점
21세기 교회는 포스트모던 문화, 다원주의, 물질주의, 소비주의적 사고방식, 교회의 신뢰도 하락 등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가 단순히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것에 그친다면, 복음의 본질을 놓칠 우려가 크다. 반면 고난을 사랑의 정화 과정으로 수용한다면,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다시금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장재형 목사는, 고난이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형벌이 아니라, 사랑을 더 깊고 순수하게 만들기 위한 정련의 불일 수 있다고 말한다면 과장은 아닐 것이다.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돕는 과정에서 보여준 사랑은, 고난을 만났을 때 교회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가 공동체의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진리를 말해준다. 만약 빌립보 교회가 편안함과 안전을 택했다면, 복음적 사랑의 진면목은 드러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바울에게 도움을 보냈고, 이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이 말뿐이 아니라 실제임을 증명했다.

이는 현대 교회에도 통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갈등, 환경 위기 등 오늘날의 고난은 교회가 사랑을 추상적 개념으로만 간직할 것이냐, 아니면 실질적 행동으로 옮겨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보여줄 것이냐를 시험한다. 사랑은 이익이 없는 곳에서 오히려 빛을 발한다. 사회가 교회를 향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느냐’고 묻는 상황에서,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이웃을 돌보고, 약자를 보호하며, 공동체적 치유를 위해 헌신한다면, 그 사랑은 고난 속에서 더 견고해질 것이다.

IX. 사랑의 결과: 하나님의 영광과 공동체 성숙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은 단지 공동체 내부의 따뜻함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이 사랑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복음의 능력을 세상에 증언하는 통로가 된다. 빌립보서 1:11에서 바울은 의의 열매가 가득해 하나님께 영광과 찬송이 돌아간다고 했다. 이는 사랑의 실천이 단순히 윤리적 선행으로 끝나지 않고, 신학적·영적 완성을 지향한다는 뜻이다.

장재형 목사는 이런 영적 역학을 강조하며, 사랑이 단지 개인의 미덕이나 공동체의 내부 결속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 더 나아가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참여하는 핵심 동력임을 상기시킨다. 이 사랑은 공동체를 성숙하게 하고, 믿지 않는 이들에게 복음의 설득력을 부여한다. 현대 교회가 이 점을 회복한다면, 프로그램이나 수치적 성과에 치우치기보다 진정한 복음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다.

결론: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하는 교회, 희망의 원형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바울은 빌립보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이라는 표현을 통해 교회 사랑의 영적 본질을 선명히 제시했다. 이 사랑은 세상의 논리를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자기비움을 근간으로 하며,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고, 공동체를 영적 가족으로 묶어주며, 하나님의 구원 역사 안에서 종말까지 지속적으로 자라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바울의 가르침을 해설하면서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첫사랑, 즉 복음적 사랑을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할 때, 교회는 단순한 기관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을 체현하는 살아있는 공동체가 된다. 고난이 오더라도 이 사랑은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더 정결하고 빛나는 형태로 정련된다. 이러한 사랑은 세상에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며, 복음을 단지 말이나 이론이 아니라 삶으로 증명한다.

현대 교회가 제도와 프로그램, 전략적 사고나 권위주의적 구조에 매몰될 때, 복음의 본질인 사랑은 희미해진다. 그러나 바울의 옥중 편지와 빌립보 교회의 사례, 그리고 장재형 목사의 해설을 다시금 깊이 묵상한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가 될 수 있다. 이는 교회가 단순히 ‘믿는 이들의 모임’ 수준을 넘어, 세상 가운데서 복음의 빛을 발하는 영적 가족이 되는 길을 열어준다.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하는 교회야말로 희망의 원형이다. 세상은 변화무쌍하고, 문화와 가치관은 끊임없이 바뀌지만, 그리스도의 사랑은 영원히 변치 않는다. 이 사랑 안에서 교회는 고난을 통과하며 정화되고, 성도들은 서로를 돌보며 성장하며, 하나님께서는 그 사이에서 의의 열매를 맺게 하신다. 그 열매는 단지 교회 내부의 만족이 아닌, 온 세상 앞에 드러나는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다. 이것이 바울이 빌립보 교회에 바라고, 장재형 목사가 현대 교회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신학 학생들은 기독교 변증학 과정을 성찰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Olivet Theological College and Seminary(OTCS)는 샌프란시스코, 리버사이드,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 DC 등 다양한 캠퍼스에서 학사 및 석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변증학 과정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이 과정은 온라인으로도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비롯한 주제를 기반으로 하여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전달하는 방법 등을 다루었습니다. 기독교 변증학은 상대방에게 신앙을 옹호하면서도 긍정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증론(Apologetics)”은 그리스어 “변증론(Apologetics)”에서 유래하며, 이는 주장이나 주제를 최선의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정을 마친 학생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반성했습니다.

“하나님의 존재,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 성경의 권위 등이 내 신앙의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이 수업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가 명확하게 증명 가능한 방식으로 가르쳐졌습니다. 또한 성경은 참으로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라는 온라인 학생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한 학생은 “이 강좌를 공부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기다렸습니다. 최근 3주 동안 전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가을학기 내내 이 강좌를 이끌어주신 하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감사드리며, 신학 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원합니다.”라고 코스 강사인 Dr. Joseph J. Lee가 말했습니다.

OTCS는 학생들이 이 과정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선교와 사역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그들을 응원하고 기도합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포카다도키아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JCM 학생들은 14세기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연구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서양 음악사 세미나에서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주빌리 음대 학생들은 14세기 교회에 대한 태도 변화가 음악에 미친 영향에 대해 배웠습니다.

아르스 노바(Ars Nova)는 중세 후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음악 스타일입니다. 이 기간 동안 유럽 사회에서는 교회가 최고 권위자로 여겨지지 않았고, 정치적 권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작곡가들은 종교 음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리듬 방식을 벗어나 독자적인 음악을 작곡할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아이소리듬, 아이소리듬 모테트 등 새로운 음악 형식이 널리 퍼졌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로 종교 음악은 약화되었습니다.

이 세미나에서는 주목할 만한 작곡가인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와 프란체스코 란디니(Francesco Landini)의 음악을 사례로 활용했습니다. 학생들은 이 두 작곡가의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이 세미나는 또한 학생들이 음악사 지식을 현대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서양 음악사의 오선보와 스타일에서 유래한 현대 음악의 요소를 조사했습니다. 교회 음악의 영향을 받은 서양 음악사를 통해 종교적이고 세속적인 전문 음악가의 발자취를 쫓으며 음악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확립했습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포카다도키아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리버사이드 R&D 센터, 여름학기에 실무 교육 프로그램 제공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메인 캠퍼스 R&D 센터는 이번 여름 분기에 온라인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Olivet Institute of Technology(OIT)의 학생들에게 기업가적 기회와 함께 현장 실습 경험을 제공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정보기술(IT) 연구의 핵심 가치를 반영합니다. 여기에는 이론과 실제의 조화, 그리고 코딩 언어를 배우는 것과 더불어 문제 해결 및 응용 능력의 향상이 포함됩니다. R&D 센터는 학생들에게 이론과 기술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도전적인 프로젝트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전에서 적용하고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센터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사명에 기술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IT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학생들과의 협력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술적 역량을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신앙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리버사이드 메인 캠퍼스 R&D 센터의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에게 학문적이고 도전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실무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목사의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포카다도키아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Jubilee College of Music 지휘 수업으로 합창 앙상블 리더십 향상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Jubilee College of Music에서 제공하는 지휘 수업은 음악 학생들을 훌륭한 합창단 지휘자로 양성합니다.

지휘는 음악가들이 함께 음악을 연주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신체 언어로, 합창 앙상블은 교회 예배 등 다양한 공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지휘 기술은 모든 음악 목회자들에게 필수적인 기법으로 간주됩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주로 자세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오른손 및 왼손의 기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학생들은 일정한 템포에서의 일관된 박자 패턴을 유지하고, 진입, 프레이징, 템포 변경, 강약 변화 등에 대한 명확한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을 연습했습니다. 이러한 연습은 음악의 이해를 높이고, 악보 준비 및 리허설 진행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장되었습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학생들이 실제 앙상블 리허설에서 자신의 기술을 적용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수업 중에 연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연습의 공백을 메우고, 지속적으로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아포카다도키아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아트 앤 디자인 스쿨, 여름 디지털 드로잉 워크숍 개최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예술 디자인 학교(OSAD)는 다가오는 여름 학기에 디지털 드로잉 워크숍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워크숍은 현재 학생들과 잠재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OSAD의 샘플 수업을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드로잉 워크숍은 주로 스마트 태블릿과 Adobe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캐릭터를 그리는 기술을 다룰 예정입니다. 이 워크숍은 최근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기획되었는데, 이를 통해 대다수의 학생들이 디지털 드로잉에 대한 관심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OSAD의 현재 학생들은 이미 연필로 스케치하고 그림을 그리는 경험이 있어, 디지털 도구를 익힘으로써 창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예비 학생들에게는 이 워크숍이 학교를 더 잘 이해하고 학습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워크숍의 강사로는 OSAD 출신이자 현재 일본에서 다양한 기업, 교회, 사역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 중인 올리비아 구씨가 참여합니다.

OSAD는 이번 주에 워크숍에 관한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니, 관심 있는 학생들은 꼭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디지털 드로잉의 세계를 탐험하고 창의성을 키우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아포가다도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