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vid Jang – L’engagement de l’Église de Macédoine

Dans 2 Corinthiens 8-9, l’apôtre Paul met en lumière la générosité de l’Église de Macédoine. En s’appuyant sur l’exemple concret de l’Église de Philippes, nous souhaitons ici analyser la caractéristique essentielle de la communauté ecclésiale lorsque l’Évangile s’enracine dans le quotidien. Le passage où Paul souligne que les Églises macédoniennes ont offert leurs biens avec une joie débordante malgré leur extrême pauvreté dépasse le simple soutien financier : il dévoile la réalisation dynamique d’une vie évangélique. Cet engagement montre que la communauté issue de l’Évangile ne se limite pas à une connaissance doctrinale ou à des programmes, mais qu’elle porte spontanément le fruit de la grâce, dès lors que cette grâce se reflète dans la vie concrète. À partir de ce constat, le pasteur David Jang invite l’Église moderne à retrouver l’authenticité de l’Évangile, à glorifier Dieu par un engagement fondé sur la grâce et à renforcer la circulation spirituelle parmi les croyants. C’est, selon lui, un « défi de mise en pratique de l’Évangile » pour notre époque. Enfin, l’étude qui suit — articulée autour de mots-clés tels que l’Évangile, l’engagement, le partage et la circulation spirituelle — exhorte l’Église à dépasser la croissance numérique ou la réalisation de programmes, pour mieux redécouvrir son identité de véritable communauté évangélique et en préciser la direction.

1. Le défi de la mise en pratique de l’Évangile et de la communauté engagée

Au sein de l’Église primitive, l’Évangile n’était pas un savoir ou un concept abstrait, mais une force concrète imprégnant toute l’existence. Les premiers chrétiens avaient reçu, par la mort et la résurrection de Jésus-Christ, la grâce du salut qu’ils cherchaient à expérimenter et à incarner dans leur quotidien. Lorsque Paul parle, en 2 Corinthiens 8-9, de la collecte (ou offrande) des Églises de Macédoine, il donne un exemple précis de cette mise en pratique de la vie évangélique. Malgré la pauvreté et l’adversité, les Macédoniens ont contribué avec une joie surabondante, montrant que l’Évangile, au lieu de se limiter à une proclamation doctrinale ou à une confession verbale, se manifeste par le partage et le service fondés sur la grâce.

Dans son interprétation de ce texte, le pasteur David Jang formule une question cruciale pour l’Église contemporaine : « Quelle attitude adoptons-nous quand l’Évangile devient concret ? » Selon lui, l’Évangile doit dépasser la connaissance doctrinale, l’argumentation idéologique ou le simple pilotage de programmes. Lorsqu’il est réellement vécu, l’Église fait l’expérience d’un engagement qui jaillit de la grâce, d’un partage sincère et d’une circulation spirituelle dans l’Esprit. Dans une situation ecclésiale parfois centrée sur le consumérisme et la recherche de croissance externe, cela peut constituer un retour vers l’essentiel.

Nous allons donc examiner la portée théologique de l’engagement des Églises de Macédoine et l’exemplarité de l’Église de Philippes. Ensuite, nous verrons quel message le pasteur David Jang propose à partir de ces textes pour l’Église d’aujourd’hui. Enfin, nous réfléchirons à la manière dont la solidarité interecclésiale et la circulation spirituelle deviennent un moteur clé de la communauté évangélique, et nous chercherons des pistes pour appliquer ces principes aux bouleversements sociaux et culturels de notre temps.

2. Contexte de Paul : la collecte des Églises de Macédoine et la dynamique de l’Évangile

Lorsque Paul met en avant l’élan généreux des Églises de Macédoine dans 2 Corinthiens 8 et 9, il ne se borne pas à exposer un « exemple édifiant ». En effet, ces Églises (Philippes, Thessalonique, Bérée), plongées dans la civilisation gréco-romaine, subissaient de multiples pressions économiques et sociales. Minoritaires dans d’importantes cités, elles enduraient souvent exclusion et persécution, bien loin de toute aisance matérielle. Pourtant, Paul souligne qu’elles ont fait preuve d’une « extrême pauvreté » alliée à une « joie surabondante » dans leurs offrandes volontaires (2 Co 8.2).

Humanement parlant, il semble presque absurde qu’un pauvre puisse aider autrui encore plus démuni. Mais dans la communauté issue de l’Évangile, la grâce divine, l’action de l’Esprit et l’amour de Dieu rendent possibles de tels renversements. Aux yeux de Paul, la collecte n’est pas un simple « appel de fonds », mais un miroir du cœur de l’Évangile : le Christ qui, bien que riche, s’est fait pauvre (2 Co 8.9). Dès lors, l’engagement des Macédoniens illustre l’obéissance communautaire au Christ qui « s’est anéanti » (kénosis).

Dans sa relecture de ce passage, le pasteur David Jang souligne les caractéristiques de la vie évangélique quand elle se concrétise. Il invite l’Église d’aujourd’hui à ne pas se contenter d’un Évangile idéalisé ou conceptuel, mais à participer concrètement au partage, lequel naît spontanément de la grâce. Il met l’accent sur le fait que le véritable engagement ne relève pas d’une obligation rigide, mais découle de la reconnaissance et de l’amour que suscite la grâce déjà reçue.

3. Le cas particulier de l’Église de Philippes : la preuve d’une sincérité évangélique

L’Épître aux Philippiens révèle la relation étroite entre Paul et l’Église de Philippes. Parmi les communautés de Macédoine, celle-ci se distingue par son soutien permanent au ministère de Paul (Ph 4.15-16). Financièrement et par d’autres formes d’aide, les Philippiens l’ont épaulé sans relâche, prouvant qu’ils ne demeuraient pas de simples spectateurs, mais qu’ils s’associaient pleinement à la mission de l’Évangile.

Aux yeux de Paul, ce soutien continu démontre la profondeur de l’enracinement de l’Évangile dans leur vie. Tout en exprimant sa gratitude, il y voit aussi une marque de « sincérité » et d’« obéissance » évangéliques. Autrement dit, l’offrande ne consiste pas seulement à donner quelque chose de matériel, mais devient un acte qui authentifie la réalité de l’Évangile. Ainsi, quand une communauté croit et vit l’Évangile, elle n’hésite pas à partager ce qu’elle a, prouvant que sa foi n’est pas un discours vide.

Le pasteur Jang invite l’Église moderne à méditer l’exemple de Philippes. Aujourd’hui, bien des Églises proclament des convictions doctrinales et annoncent des slogans missionnaires, mais si la vie concrète ne reflète pas la sincérité évangélique, ces proclamations perdent leur crédibilité. L’engagement et le partage sont des moyens concrets par lesquels la communauté ancrée dans l’Évangile vérifie et démontre l’authenticité de sa foi. Au-delà d’une orthodoxie affichée ou d’une poursuite de la croissance statistique, il convient de considérer la transformation intérieure produite par l’Évangile et la manière dont elle se diffuse au sein du tissu social et ecclésial.

4. La « bonne œuvre » selon Paul : fruit de la justice et circulation spirituelle

Dans 2 Corinthiens 9, Paul qualifie la collecte de « bonne œuvre » (2 Co 9.8). Dans le monde gréco-romain, cette notion (agathon) renvoyait à une action moralement louable. Cependant, Paul va plus loin : cette « bonne œuvre » déclenche la reconnaissance et la louange envers Dieu, produisant chez les croyants un « fruit de justice » (2 Co 9.10).

Par « fruit de justice », Paul entend la moisson de transformations que l’Évangile engendre dans la vie d’une communauté. Le mot dikaiosynē évoque la relation juste avec Dieu, la paix et la justice en profondeur. Lorsque ces « fruits de justice » sont récoltés, la communauté ne se contente pas d’augmenter le montant des offrandes, mais manifeste également les fruits de l’Esprit (Ga 5.22-23), visibles aussi bien dans sa relation à Dieu que dans ses interactions humaines.

Le pasteur David Jang insiste sur la dimension de « circulation spirituelle » inhérente à ce processus. L’offrande, née de la grâce, honore Dieu, enflamme la prière et l’amour entre les croyants, puis suscite un engagement renouvelé. On sort de la logique du « faire de bonnes actions » pour entrer dans un circuit de grâce, un élan continu. L’Église ne se réduit plus à un groupe qui accomplit des œuvres caritatives : elle devient un véritable « écosystème spirituel ».

Cette vision de Jang constitue une orientation cruciale pour l’Église contemporaine. Souvent centrée sur des programmes ponctuels, elle s’expose au risque de l’essoufflement. L’âme de l’engagement évangélique réside au contraire dans un cercle infini : la grâce de Dieu suscite la consécration, laquelle fait naître reconnaissance et louange, stimule la prière communautaire et génère un regain d’engagement. Ainsi, l’Église fonctionne moins comme un organisme de bienfaisance que comme un lieu où la grâce se propage en permanence.

5. Un engagement basé sur la grâce : le tournant que propose Jang à l’Église d’aujourd’hui

Pour esquisser la voie que doit prendre l’Église moderne, David Jang se réfère au noyau de la théologie de Paul. Il encourage l’Église à ne pas se limiter à l’orthodoxie doctrinale, à la bonne gestion organisationnelle ou à la multiplicité des styles de culte, mais à démontrer la vérité de l’Évangile au travers d’un engagement sous-tendu par la grâce.

Ce n’est pas un simple appel à « faire davantage de bien ». Jang souligne plutôt la « source » de cette dynamique. Un véritable dévouement ne provient ni de la contrainte ni d’une morale imposée, mais jaillit de la gratitude pour la grâce déjà reçue. D’où la nécessité, pour l’Église, de créer des conditions où les croyants peuvent expérimenter cette grâce en profondeur et, ainsi, la laisser déborder sur autrui. L’Évangile n’est alors plus un savoir conceptuel, mais bien une puissance de transformation.

Le pasteur Jang appelle ce mouvement la « mise en pratique de l’Évangile ». Dans ce processus, l’engagement forme la clé qui redéfinit l’identité et la vocation de l’Église. Si elle oublie la grâce qui la porte et se concentre sur la réalisation de programmes ou l’expansion extérieure, l’Évangile perd de sa force. En revanche, un engagement enraciné dans la grâce fait de l’Église un « canal de distribution spirituelle », où circulent amour et bienveillance.

6. Solidarité entre Églises et écosystème spirituel : influences et interdépendances

Si Paul évoque l’offrande des Églises de Macédoine devant celle de Corinthe, c’est qu’il veut montrer comment l’élan d’une communauté peut stimuler et encourager une autre. C’est ainsi qu’émerge un écosystème spirituel où les Églises s’édifient mutuellement, favorisant la prière et l’action de grâce.

Au temps de l’Église primitive, les communautés s’épanouissaient dans tout l’Empire romain. Certaines disposaient d’un certain bien-être, tandis que d’autres connaissaient la misère. Paul a donc encouragé la collecte afin que celles qui étaient plus prospères soutiennent celles qui manquaient, et que ces dernières leur répondent par la prière et la reconnaissance (2 Co 9.12-14). Il visait à consolider une interdépendance spirituelle, fortifiant ainsi l’unité du corps de Christ.

Le pasteur Jang réactualise ce principe dans le contexte moderne. Les Églises d’aujourd’hui peuvent nouer des partenariats, échanger des ressources, coopérer à l’échelle nationale ou internationale. Soutenir des Églises dans des zones de mission, collecter des dons en cas de catastrophe, ou développer des rencontres intercommunautaires enrichit ce « flux sanguin » de la communion évangélique. Au bout du compte, l’Église se découvre comme une réalité universelle et multiculturelle, au-delà des barrières régionales.

7. La mise en pratique de l’Évangile : transformations personnelles et témoignage social

La mise en pratique de l’Évangile ne se réduit pas à la sphère individuelle : elle a aussi une portée sociale. Quand l’engagement et le partage se diffusent dans la communauté ecclésiale, leur impact s’étend naturellement au-dehors. Déjà dans le monde gréco-romain, l’Église primitive se singularisait en prenant soin des plus vulnérables (esclaves, femmes, pauvres), instaurant une sorte de culture alternative imprégnée d’Évangile. Cette solidarité, inhabituelle dans la tradition gréco-romaine, suscitait l’attention de beaucoup.

Les Pères de l’Église des IIe et IIIe siècles insistaient également sur cet aspect. Aux yeux de ces théologiens anciens, la pratique de la charité démontrait que l’Évangile ne touchait pas seulement l’âme, mais opérait une restauration globale et sociale. Ils percevaient l’engagement communautaire comme une mise en lumière du Royaume de Dieu sur terre.

Le pasteur Jang, reprenant l’éclairage des Pères, souligne qu’aujourd’hui encore, l’Église peut restaurer son crédit auprès de la société et offrir une alternative concrète face au consumérisme, au matérialisme ou à l’égocentrisme. Le caractère « déroutant » de la solidarité chrétienne interroge : « Pourquoi agissent-ils ainsi alors que tout incite à l’intérêt personnel ? » Et cette question peut ouvrir la porte à une exploration de l’Évangile.

8. Défis actuels : approfondir l’expérience de la grâce et concevoir des stratégies d’évangélisation concrètes

Pour que l’engagement évangélique puisse renaître, le pasteur Jang identifie quatre points clés :

Approfondir l’expérience de la grâce. L’engagement n’est pas maintenu par la simple volonté humaine ou la moralité. Quand un croyant prend pleinement conscience de la grâce qui lui est faite, il s’ouvre au partage et au service. L’Église doit donc créer un cadre propice à l’expérience de la grâce : la célébration du culte, l’étude de la Parole, la prière, la formation de disciples, etc.

Façonner une communauté d’apprentissage mutuel. Comme Paul présentant les Macédoniens à Corinthe, les Églises actuelles peuvent s’encourager par des exemples concrets d’engagement. Partenariats, conférences, programmes d’échange : autant d’occasions d’enrichir et d’activer la solidarité.

Élaborer des stratégies d’évangélisation pratiques. L’Église doit manifester l’amour évangélique d’une manière tangible : distribution de repas pour les enfants défavorisés, assistance aux réfugiés, éco-responsabilité, aide aux victimes de violences conjugales, soutien scolaire, etc. Quand ces actions s’enracinent dans la grâce, elles donnent une crédibilité nouvelle au témoignage chrétien.

Encourager la pérennité de l’engagement par la prière et la gratitude. Il ne suffit pas d’un acte ponctuel de solidarité : il importe de lancer un processus ininterrompu. L’Église peut y contribuer via des rencontres de prière en faveur des engagés, des partages de témoignages, des visites de mission. Ainsi, l’engagement devient un itinéraire de maturation spirituelle.

9. Engagement évangélique et recouvrement de l’identité

L’engagement évangélique joue un rôle déterminant dans la redécouverte de l’identité de l’Église. Trop souvent, celle-ci est perçue comme une « grande institution » ou un « fournisseur d’activités ». Pourtant, lorsqu’elle s’investit dans le partage et le don de soi, elle redevient la communauté qui ne se définit pas seulement par des programmes, mais par la grâce qu’elle vit et transmet.

Le pasteur Jang souligne la nécessité de redéfinir la raison d’être de l’Église. Elle est, par essence, « le peuple de Dieu », façonné pour vivre l’Évangile, et l’engagement se présente comme un prolongement naturel de cette identité. Il ne s’agit pas simplement de structures humaines, mais bien d’un réseau de solidarité tissé par la grâce et l’amour. Par le biais d’un engagement évangélique renouvelé, l’Église retrouve la conscience de ce qu’elle est et de pourquoi elle existe.

La réflexion de Jang s’inscrit dans la théologie pratique, qui s’interroge sur la manière de mettre l’Évangile en acte. Il ne s’agit pas pour lui de proposer un nouveau modèle de management ou un programme supplémentaire, mais de provoquer un renouveau théologique et pastoral, centré sur la réalité de l’Évangile. Lorsqu’il est ancré dans la grâce, l’engagement préserve l’Église du piège de l’activisme vide et la reconstitue en tant que témoin crédible de la Bonne Nouvelle.

Dans un monde soumis à la mondialisation, à l’essor numérique et à la sécularisation, l’Église traverse des incertitudes quant à sa mission et son identité. Le matérialisme et l’individualisme contemporains rendent le partage délicat, et la quête de performance peut faire oublier l’essentiel.

Pourtant, Jang souligne qu’un engagement véritablement évangélique offre une voie alternative : une existence fondée sur le renoncement à soi et le service, source d’une joie authentique. Cette posture s’oppose à la logique ambiante consistant à « posséder toujours plus », et illustre la « force paradoxale » de la foi chrétienne : c’est dans le don que l’on atteint la plénitude.

Portée par cette contre-culture communautaire, l’Église interroge profondément la société : « Pourquoi ces croyants partagent-ils ce qu’ils ont, alors que tant d’autres s’attachent à accumuler et à se distinguer ? » Cette question oriente alors le regard vers l’Évangile et la grâce de Dieu.

En fin de compte, l’étude de 2 Corinthiens 8-9 montre que la collecte des Macédoniens n’était pas une simple collecte de fonds, mais incarnait la puissance transformatrice de l’Évangile, capable de remodeler la vie communautaire, de rayonner sur d’autres Églises et de créer un cycle spirituel qui honore Dieu.

L’exemple de l’Église de Philippes révèle que l’Évangile, lorsqu’il se concrétise, se manifeste par un engagement qui atteste la profondeur de la foi. Au-delà de la stricte orthodoxie doctrinale ou des succès apparents, cet engagement sert de baromètre pour forger et éprouver la vie intérieure de la communauté.

En reprenant la théologie paulinienne, le pasteur David Jang en présente une application pour l’Église moderne : la restauration de l’engagement évangélique est la voie par excellence pour revenir à l’essentiel. Loin de n’être qu’une simple charité, cet engagement crée un « cycle spirituel » où Dieu est glorifié, où les croyants se soutiennent dans la prière et où l’unité s’étend à l’Église universelle.

Ainsi, l’engagement évangélique définit l’Église comme une « communauté alternative » anticipant le Royaume de Dieu. Il s’oppose à l’individualisme et au matérialisme de notre époque, tout en suscitant la curiosité de ceux qui en observent la source. L’Église démontre à nouveau que l’Évangile demeure une puissance agissante là où il est accueilli. En définitive, l’engagement se révèle le chemin principal par lequel l’Église recouvre son identité essentielle et concrétise la vie de l’Évangile dans le présent.

马其顿教会的奉献 —— 张大卫牧师

当我们回溯哥林多后书第8-9章这两章时,可以看到保罗对于马其顿教会(尤其腓立比教会)的高度推崇。马其顿教会不但在经济匮乏、社会边缘化的情况下依然甘心乐意地奉献,甚至能够以“极度贫乏却满溢喜乐”的状态将自己所有的资源与恩赐贡献给他人。这一场景,远远超越了某种形式上的募捐活动或单纯经济支援的范畴,它所彰显的是真正被福音更新过的人生态度与价值观。

本文的主旨,便在于围绕哥林多后书8-9章所呈现的马其顿教会奉献精神,以及腓立比教会奉献行为的特殊事例,探讨教会在福音“现实化”进程中所展现的本质属性。我们发现,保罗并非只是在夸奖马其顿教会的慷慨大方,而是通过他们的榜样,使其他地区教会乃至后世信徒看见:当福音真正渗入并重塑人的生命时,便会自然流露出自愿牺牲与分享的行为。张大卫牧师在当代神学与牧会脉络中,以此为蓝本,进一步指出:当代教会若要活出福音的真实力量,必须重拾“恩典之流”带来的奉献精神。只有当奉献建立在“先蒙受恩典”的自发回应上,教会才足以在社会和文化的洪流之中,见证福音的大能与真理。

下文将从多个角度——历史背景、神学诠释、教会实践、社会影响、属灵循环等——展开论述,并透过张大卫牧师的牧会与神学洞见,为现代教会所面临的张力与挑战提供新的可能路径。

1. 福音的现实化与献身群体性的挑战

1.1 初代教会对福音的“真实大能”理解

初代教会之所以与我们当下许多教会有所不同,部分在于他们并未将福音只看作一套教义或宗教哲学,而是视为能改变现实世界的真理与力量。在使徒行传(参徒2:42-47; 4:32-37)里,我们读到早期基督徒“凡物公用”“彼此分给所需”,正是因为他们确信耶稣基督的死与复活不仅仅是个神学概念,而且是创造历史新篇章的神圣事件。

保罗在哥林多后书8-9章进一步阐释此观念,指出马其顿诸教会在贫穷与逼迫中,依然让福音的喜乐流溢出来,化作甘心奉献的善行。由此可见,福音若真在现实扎根,它所带来的必然不仅是理性层面的知识增添,更是情感、态度乃至生活方式的彻底更新。对于当时的马其顿教会(包含腓立比、帖撒罗尼迦、庇哩亚等),他们身处社会主流之外,在罗马帝国的政治与经济高压下,缺少平等机会。然而,正是这样的弱势群体,在福音所赋予的新生命力之下,展现了逆向的慷慨。

1.2 福音化的教会:超越教义宣传与项目运营

张大卫牧师反复强调,现代教会常陷入的一大危险,即把福音等同于教义宣传,把教会的功能等同于“项目规划中心”。换言之,教会可能因为资源丰富或组织完备,而过于看重数字增长和流程管理,却忽视了教会是否仍切实地、全人地回应福音带来的生命更新。福音被迫“被动地”存在于讲台上的话语或文宣资料中,却难以落实到教会的整体文化和每个信徒的日常抉择里。

在哥林多后书8:1-5,保罗描述马其顿教会的情形时,用了极具冲击力的对比:“他们在极大患难中受到考验的时候,仍然满有快乐;在极穷之间,还格外显出他们乐捐的厚恩。”(节略意)这样的一种“患难与快乐”并行、“贫穷与慷慨”共存的图景,显明了福音真实进入生命之后所带来的“超常状态”。这并非人性本能所能轻易达成,而是出于对耶稣基督降卑与舍己之道的效法。保罗在同一段经文也特别补充说:“这原不是我们所盼望的,他们竟把自己先献给主,又归附了我们。”(节略意)暗示马其顿信徒先将自己完整地交给上帝,然后再以奉献行为顺服使徒的带领。

反观现代教会,虽然外部有更大的资源、技术与社会平台,但很可能缺乏内在的动力或灵性根基。张牧师批评的“消费主义信仰”正好与马其顿教会的“自我舍弃”形成鲜明对照。消费主义意味着个体只想获取价值,却不愿意付出;意味着人们只在宗教活动中寻求满足个人需求,却未必经历“先把自己献给主”的彻底降服。

1.3 回到本质:从“恩典之源”出发的生命改变

哥林多后书8-9章的核心线索在于“恩典”。保罗一再提到,在奉献的行动上,马其顿教会所行的是“出于恩典”,也是“在恩典中彼此分享”。“恩典”在新约中常译作“charis”,其含义不单指“恩惠”,还包括一种内在动力,即人因蒙受上帝的恩赐与饶恕,而对上帝产生的“感谢与爱”的回应。若没有对“恩典”的深切体认,人很容易沦于“交易式奉献”,即想用奉献换取祝福或名誉。但马其顿教会的见证告诉我们:真奉献乃在于对神极深的感恩,且是因爱所生的自然果实。

因此,张大卫牧师提醒当代教会:福音现实化的关键,并不在于设定多少个宣教项目或慈善部委,而在于每个信徒是否先在恩典中被更新,并在这样被更新的状态下,自发渴望与他人分享。这是对当今“体制化教会”或“项目导向教会”的强烈呼声,呼唤大家回归教会最初的本质:一个在恩典中共享、彼此服事、见证神爱的灵性团体。

2. 保罗的语境理解:马其顿教会的奉献与福音动力

2.1 经济与社会的双重压力:马其顿地区的处境

要进一步理解马其顿教会在奉献时所面临的真实状况,我们可以从历史社会背景入手。马其顿地区位于希腊北部,那里在保罗时代虽然有一些重要城市(如腓立比、帖撒罗尼迦等),但在罗马帝国整体版图中,马其顿在经济与政治实力上并非第一梯队。尤其是腓立比在建城之初虽有重要地位,但到了保罗时代,当地基督徒面临较多社会冷漠甚至排斥,部分原因与他们拒绝参与皇帝崇拜、对罗马帝国主流文化持守某种程度的距离等因素相关。帖撒罗尼迦教会也曾遭遇“犹太人控告保罗传另一位王”(徒17:7)的政治陷害,可见他们的生存环境并不宽松。

贫穷与患难交织,原本足以使一个群体“自顾不暇”,甚至在经济上难以自立。然而马其顿教会却以超凡的信心和爱心自愿帮助其他教会,比如耶路撒冷教会以及保罗正在服事的各处需要(参林后9:1-4)。这种“穷者再济贫者”的反常现象,彰显了福音所开启的颠覆性秩序,也极大地鼓舞了保罗本人。

2.2 保罗神学中的“基督的倒空”与奉献

在林后8:9,保罗写道:“你们知道我们主耶稣基督的恩典,他本来富足,却为你们成为贫穷,叫你们因他的贫穷,可以成为富足。”(节略意)这里保罗直接把基督的“自我倒空” (kénosis) 与马其顿教会的奉献联系起来。对保罗而言,奉献不仅是道德层面的“行善”,更是对基督降卑舍己之道的具体效法。基督原本拥有天上丰盛,却甘愿取了奴仆的形象(参腓2:6-8),由富足变为贫穷,为要使罪人藉此获得灵魂与生命的富足。

这种神学逻辑解释了为何马其顿教会能如此“慷慨”:他们在贫乏中奉献,不是因为他们“天生慷慨”,而是他们深切领悟了基督为他们所做的巨大牺牲。换言之,马其顿教会在奉献上所体现的,无非是基督之爱的“镜像翻版”。保罗称赞他们,因为他们让基督的爱在“具体行动”上显明出来。

张大卫牧师将之与现代场景连结,指出:当教会或信徒真正默想并接受基督的牺牲,就会在内心产生深切的感恩与负担,进而乐于奉献时间、金钱、才能、情感来帮助他人。此过程若只停留在理性知识层面,不足以激发真“给出”;唯有心灵因福音苏醒,真正遇见基督十字架之爱时,奉献才会成为甜美且自然的举动。

2.3 “不只是筹款”:奉献在保罗眼中的多重意义

有时,人们会把“奉献”简单理解为“教会向信徒募集金钱”,甚至当成宗教性的“税收”。然而,保罗在哥林多后书第8-9章揭示了“奉献”的多重神学维度。比如:

联结教会合一:通过捐助耶路撒冷教会,外邦信徒与犹太信徒之间的鸿沟得到修复,象征教会普世合一(参罗15:25-27)。

彰显福音之恩:奉献之时,强调的是基督降卑自己所带来的“恩典连续”。马其顿教会只是把他们先从基督处领受的恩典“回流”出去。

见证神荣耀:当基督徒慷慨奉献时,受助者会把感谢归给上帝(参林后9:12),使上帝的名得荣。

激励彼此:保罗在对哥林多教会写信时,用马其顿的榜样激励哥林多。不同教会间以此“相互刺激”,形成灵命和服事的正向循环。

因此,在保罗神学脉络中,“奉献”远不止财务,而是包含了教会生态、群体合一、灵性更新以及基督徒个体见证多个层面。这正是马其顿教会的故事为何在后世一直被反复讲述、称颂的原因。张大卫牧师也特别提醒,当代教会切忌把奉献简化成“收会费”“完成预算”的手段,而要回归保罗的教导:它是教会与福音活力互相呼应的“属灵通道”。

3. 腓立比教会的特别案例:福音真实性的印证

3.1 腓立比书中的教会与保罗互动

在新约书信中,腓立比书尤为温暖,字里行间充满保罗对腓立比教会的感激与喜爱。腓立比教会不仅在保罗被囚时常常为他祷告,也多次以物质资助其宣教之旅(参腓4:15-16)。他们与保罗之间的关系,类似于亲密的“合伙人”或者“同工”,而不只是“受教群体”与“师者”的关系。这展示出初代教会“同工式”的福音连结,也反映出腓立比信徒对保罗事工无条件的支持。

值得注意的是,腓立比不一定是经济最富庶的城市,相比罗马或以弗所也许并不突出。但是,腓立比教会“竭力供应”保罗,不仅证明他们珍视保罗传讲的福音,更证明福音在他们心里扎根之深。他们明白,那份与保罗的同工关系并非“旁观式援助”,乃是实实在在地把自己的财物、心力、资源投入到保罗的使命中。

3.2 “奉献即真实见证”:超越口头宣示

在腓立比书中,保罗并没有只把腓立比教会的帮助当作“金钱捐赠”来称谢。他更看重的是他们“在福音上与我有分”(参腓1:5)的伙伴关系。保罗在腓2:17-18说到自己如同“奠祭”般浇奠在信徒的信心之上,显示双方的奉献其实是一种共同走十字架道路的见证。

张大卫牧师在诠释这段经文时,强调了“奉献”的另一个面向:它不仅证明福音的真理性,更证明信徒对福音的顺服与实践程度。有些教会也许侃侃而谈神学理论,却在实际需要面前裹足不前;腓立比教会却选择在有限的资源里把宝贵的部分“交托出来”,让保罗和其他同工得以继续宣讲福音。对于张牧师而言,腓立比教会正是践行“福音现实化”的典范:因为真正经历了上帝的恩典,所以他们的日常优先次序和资源分配都深受福音影响,不惜付上代价去参与神国事业。

3.3 当代启示:真奉献与空口号的差别

当回看腓立比教会与保罗的互动,无疑是一面镜子,反射出现代教会的处境:

今日许多教会宣称“重视宣教”“重视社会事工”,但在具体行动(经费、人员、资源)上却投放寥寥。

有些信徒也热衷于神学讨论或教义辩论,却对身边有需要的人漠然,对异地肢体的困难无感。

腓立比教会用奉献这一“实在行动”,证明了自己所信的福音不是口号,而是真实在生命中发芽、开花、结果。他们可能也有自己的需求,也面临生存压力,却依然选择慷慨与付出,这种超越“个人利益最大化”的价值观正是福音的最直接外显。

在牧会层面,张大卫牧师总结说:教会需要时常回到“腓立比模式”来省察:我们是否仅仅在规划表格中写下多少预算用于宣教、慈善或外展,却没有真正触及信徒心灵深处对福音的认知与情感?若教会无法在灵性深处培养“对上帝恩典的感恩与敬畏”,那么所有奉献倡议或公益项目,只会沦为“一次性活动”或满足自我形象的手段,而非长久的“属灵循环”。腓立比教会提醒我们,奉献绝不是单纯的数额或统计,而是福音在“心意更新”的见证。

4. 保罗称奉献为“善行”的神学含义:义的果子与属灵循环

4.1 “善行”的多维度诠释

哥林多后书9章中,保罗使用“善行”(agathon)来形容奉献。对熟悉希腊—罗马修辞传统的人而言,“善行”可以与“美德”(virtue)或“道德义举”相联系。然而,保罗显然为“善行”赋予了更深层的神学意义。他在9:8-11之间,一再提到奉献会带出“感谢神”“荣耀神”以及“结出许多果子”等后果。

张大卫牧师在此处引用了初代教父和后世改革宗神学家的阐释,指出:保罗之所以以“善行”形容奉献,并不只是讴歌个人美德,而是指向更高一层的“属灵实质”:奉献是信徒与上帝“同工”去彰显神公义与慈爱的方式。保罗甚至相信,借着如此“善行”,教会能在罪恶横行、人心冷漠的世代里展示基督之光。

4.2 “义的果子”:超越奉献金额与社会称赞

保罗强调,“这‘善行’不是出于勉强,而是出于甘心;神爱乐捐的人。”(林后9:7,节略意)他也谈到,借此会在群体中结出“义的果子”(林后9:10)。这里的“义”(dikaiosynē)并非仅仅指个人道德优越,也意含人与神之间、人与人之间正确关系的建立。从整本圣经的脉络看,当一个群体与神保持正义、和好、顺服的关系时,也必然在彼此互动和对外见证上结出善果。

马其顿教会的奉献行为之所以“义果累累”,在于他们不仅帮助了耶路撒冷教会或福音事工,更在教会内部带起祷告和赞美的热潮,激发其他地方教会的共鸣与羡慕,也让不信的人看见基督教信仰的真实力量。如此看来,“义的果子”是一种多层次的属灵收益,它涵盖教会的合一、神对奉献者的眷顾与赐福,以及非信徒对福音信息的关注与敞开。

4.3 属灵循环:奉献-感恩-祈祷-再奉献

在哥林多后书9:12-14,保罗提到“许多人因此献上感恩”“他们因你们的供给而归荣耀给神”,并且“他们也切切地想念你们,为你们祈求”。由此我们看到一个循环链:

当奉献发生,受助者感恩上帝与捐助者;

他们回以祷告与爱心,使奉献者受到属灵激励;

继而发动更多的奉献与善行;

循环往复,使得神的荣耀更广被彰显。

张牧师强调,此“循环”正是教会在世上延续福音火焰的关键机制。若教会仅仅靠几次大型活动或节目支撑,缺乏这个属灵循环,可能很快就陷入“活动后的真空期”,甚至引发人们的冷漠和倦怠。但若能不断重复“奉献—感恩—祈祷—再奉献”的模式,就能形成强大的内部凝聚力与外部见证力。这也是为何保罗不厌其烦地在不同教会间传播“马其顿的见证”,希望把这种良性循环推广到更广的教会网络中。

5. 基于恩典的奉献:张大卫牧师所提倡的当代教会转折点

5.1 “动力的源头”:从强迫到甘心

许多时候,现代教会会面临奉献动员不足的问题,教牧同工或领袖会不时呼吁信徒“多奉献”“支持事工”,甚至在某些情况下把奉献上纲到“属灵操练”,给人造成压力或愧疚。张大卫牧师的神学观与保罗的教导一致:真正的奉献必须发自内心的感恩与自愿,而非出自教会机制的强制或道德挟持。否则,奉献虽完成了数字目标,却无法带来真心灵更新。

早期马其顿教会之所以能够令保罗感到“意外”,正是因为保罗“原本并未指望他们有能力奉献,但他们却自发地、多次地,甚至‘力所不能及之外’来捐助”(参林后8:3-4)。这是典型的“甘心奉献”,远离制度约束,也没有任何私利交换。张牧师认为,这种“超自然的慷慨”只会出现在真正被福音和恩典抓住的心灵当中。

5.2 教会如何重拾“恩典为基”的生态

要在当代教会落实现代版“马其顿奉献”,张牧师给出多项牧养与实践建议:

回归敬拜与默想:教会要加强对福音本质的宣讲,包括基督十字架牺牲的意义、恩典与赦罪的宝贵等。让信徒在敬拜与灵修中深刻体会“我们原本不配,神却白白赐予”,以此激发对神的感恩与敬爱。

突破项目导向思维:若教会只把奉献看作一种募款任务,就会忽视培养信徒心灵深处的感动。应多分享见证、邀请宣教士或事工代表现身说法,让信徒体认奉献所带来的实际果效和福音的扩展。

鼓励个人与群体见证:通过小组聚会或公开礼拜环节,让那些因奉献而经历祝福的人分享故事。既包括物质层面的,更要有属灵与生命见证,使教会真正看见“奉献—神垂听—神供应—再奉献”的活生生链条。

建立“属灵循环”机制:如保罗倡导的,各教会之间、不同事工之间要保持互动与互助。今天透过短期宣教、差传会议、网络社群等,更可实现跨区域、跨文化的资源共享。借此深化教会间联结,使“彼此代祷、彼此分享”成为常态。

总结而言,张大卫牧师将“基于恩典的奉献”视为当代教会的转折点:若能够集体从“为教会项目募款”转向“因感恩而同心浇灌”,教会将重新获取福音真实而深沉的感染力。

6. 教会间的连结与属灵生态:互动影响与彼此依靠

6.1 保罗为何在哥林多教会中举荐马其顿见证

保罗在林后8-9章中特意向哥林多教会介绍马其顿教会的慷慨,不仅仅是想让哥林多教会“惭愧”或“竞争奉献金额”。他更深的用意在于:

教导彼此分享的价值:哥林多教会相对富有,更要明白自己在神国经济学中并非“自行其是”,而要与缺乏的教会配合。

激发属灵相互刺激:以马其顿为“好榜样”让哥林多人省察:在物质更丰厚时,你们是否也愿意显出相同的慷慨?

保持普世合一:当外邦教会彼此支持时,也在回应耶路撒冷教会等其他地方的需要,实现“凡物公用”的普世维度。

张牧师认为这一策略同样适用于当代:某些地区或大城市的教会资金雄厚、信徒专业水平高,却缺少看见更大合一的视野;反之,资源不足的教会虽困境重重,但可能在“信心与热情”上具有独到恩典。当双方彼此连接,就能像早期教会一样形成“多样性却互补”的属灵联盟。

6.2 “属灵生态”的内涵与价值

今日有些神学家用“生态学”来比喻教会之间、事工之间的关系。生态系统的核心是相互依存、彼此供养。在保罗的时代,不同地区教会在文化、社会、语言等诸方面差异显著,却能通过共享奉献来形成一个“福音生态”。比如:

耶路撒冷教会象征信仰源头,却在经济和粮食供应上遭遇困难;

外邦教会相对自由或资源稍多,但需要耶路撒冷使徒的教导与属灵权柄;

保罗等使徒作为“连接者”,带着奉献款往返,维系了这张跨区域的“属灵网络”。

张大卫牧师指出,现代教会在全球化背景下,拥有更便利的交通和资讯条件。若能以同样的心志去“连结与共享”,我们就能在更广阔的舞台上见证福音的力量。通过短宣队、网络联盟、宣教伙伴关系等方式,各地教会皆可发挥自己的独特恩赐,一同投入神国工作。正如保罗时期的生态一样,这类“连结”不是单向的恩慈,而是双向、乃至多向的彼此支持。

6.3 支持与感恩的循环:跨文化与跨教派的延伸

保罗的属灵循环并非只局限在同一语言、同一族群内部。事实上,外邦信徒与犹太信徒之间本就存在文化差异、饮食规条差别等。但正是通过奉献这项“爱的行动”,把原本可能引发冲突或隔阂的地方,转化为合一与感恩的契机。

在当代处境中,基督徒也常因教派差异、政治立场或社会阶层不同而彼此隔膜。但张大卫牧师认为:“马其顿奉献精神”可以跨越这些障碍,当教会真正因福音感到彼此紧密相连,并在实际金钱与资源方面彼此帮助时,那些抽象的“教派壁垒”往往能被打破,因爱与感恩所生的合一反而更强。由此可见,“属灵生态”并不单是神学理念,也是一种实践策略——通过彼此奉献与分享,使各种差异与缝隙都能在基督之爱里得到修补和整合。

7. 福音的现实化:生命转化与社会见证

7.1 从内到外:个人重生与群体文化更新

当保罗在书信中提及马其顿教会或腓立比教会的奉献,实际上也强调了一个原则:福音若只停留在个人“属灵体验”或“宗教情感”,并不足以改变世界;只有当内在重生与外在行动结合时,福音才能在社会环境中发挥影响力。初代教会并没有通过政治斗争或武力宣传来扩大版图,而是通过“在日常生活中活出福音真谛”逐步赢得周围人的尊重和好奇。

马其顿信徒愿意在贫困中帮助更贫困者,这种稀奇之举恰恰击中了当时希腊—罗马社会的心灵:他们不懂,为何这些人宁可自己在艰难中,却仍坚持要帮助别人?这种“反常”背后的力量,自然会引发对基督福音的兴趣与探究。

7.2 教父时代与“教会社会服务”的萌芽

张大卫牧师在其讲道与著作中时常引述教父时代的案例。例如特土良(Tertullian)、居普良(Cyprian)等教父,都曾论及教会对贫困、病患、孤儿寡妇的照料。这些早期教父将慈善与分享视为教会“彰显神国度公义与怜悯”的主要通道,同时也视之为吸引异教徒、说服怀疑者的重要证据。在教父文献里常见类似的话语:“看哪,他们是如何彼此相爱,又如何帮助有需要的人!”

这种“替代性文化”的建立,正是福音对社会伦理与价值观的强有力挑战。罗马帝国本身有其公益事业,但多半服务于维护帝国秩序或笼络人心;而教会的奉献与关怀是基于“所有人都有神的形象,都应得到尊重与帮助”的神学理念,与帝国的功利主义显著不同。到了君士坦丁大帝以后,教会在政治层面也获得某种合法地位,教父们进一步推动医院、慈善院、孤儿院等设施的建立,极大提升了教会在社会层面的影响力。

7.3 当代应用:教会如何在世俗社会中重塑影响力

张牧师指出,今天的教会同样面临周遭社会的审视,尤其在高度世俗化、消费主义和个人主义盛行的大环境下,人们往往对宗教团体带有偏见或怀疑:究竟教会在现代社会扮演什么角色?有些人或许认为教会只是“老旧的道德维护者”或“自娱自乐的宗教圈子”,与主流社会的实际需求脱节。

然而,若教会能恢复马其顿式的“奉献与分享”精神,切实地关怀社区弱势、为贫困家庭或无家可归者提供帮助、资助边远地区教育医疗等,便可展现“福音并非只关乎灵魂,更关乎全人”。这时社会才会注意到:教会真能带来不同的价值观与生活方式,且这价值观值得探究。张牧师形容这是一种“福音的陌生性”,即教会透过舍己与爱人的反常行动,使世人惊讶并渴望了解福音背后的动力。

8. 当代教会的课题:深化恩典体验与实践性福音策略

8.1 深化恩典体验:从头脑知识到心灵觉醒

正如前文所言,奉献的源头在于对“恩典”的体验。很多时候,教会的教育课程或主日学,聚焦在系统神学、教义条目或圣经知识,却忽略了让信徒实际经历与默想恩典的重要性。若只是让人“知道”基督为人死而复活,却缺少更多的祷告、默想、灵修操练,难以触动人心最深层的情感和意志。

张大卫牧师鼓励教会牧者或小组长设计更丰富的灵性操练,让信徒能沉浸式地体会到“耶稣如何在我完全不配时仍拯救了我”,以及“圣灵如何在我软弱时不断扶持我”。惟有人越发感受到自己被神无限地爱与饶恕,他奉献的时候才会发自内心的感激与喜乐,而非例行公事。

8.2 彼此学习:分享“奉献见证”与“恩典故事”

对照保罗向哥林多教会举荐马其顿例子,当代教会也可学习更多跨教会或跨文化的见证分享。一些经济有限却在宣教上付出极大热情的小型教会、一群年轻人白手起家却办起社区关怀站的故事,这些真实案例都能激发其他教会或信徒的思考与仿效。

“他们如何在看似无能为力的处境下仍有心力帮助别人?”

“为什么他们会舍得牺牲个人时间、财力,为陌生人服务?”

这些见证所传递的正是“主先爱了我,我也愿爱人”的福音逻辑。张牧师强调,这种见证分享需要经常化、系统化,不能只停留在年会或特别活动的几分钟报告。应让所有信徒在日常聚会、团契中都有机会听闻并彼此交流,让奉献的榜样在教会中“常驻”,进而触发更大回应。

8.3 实践性福音策略:从慈善项目到长期陪伴

在现代社会,“社会服务”或“公益慈善”有时会沦为教会的对外“形象工程”。虽然办活动、发物资也可以带来短暂的社会好评,但若缺乏长久的陪伴与投入,就难以真正帮助受助者脱离困境,也无法让教会与社会建立深入联系。

保罗在与各教会来往时,不只是单次行程,而是多次返回、信函往复,建立起经久不衰的沟通渠道。现代教会若要推动“福音现实化”,也需类似的持续性策略。

资助一所贫困地区的学校,不只是一笔款项,更应安排定期的师资培训、远程关怀或带队回访,让当地教师与学生看见真挚且稳固的关系。

帮助受灾地区,不只是一时捐钱,还要考虑灾后重建的中长期支持,以免“热潮过后”就没人管。

关心弱势群体(如孤儿、伤残人士、瘾君子、边缘少数族群),需要教会多方投入人力资源,与专业机构合作,以体现真诚与耐心。

上述种种都需大量持续投入,这只有在“恩典”驱动下才不至于中途冷却。若以人类理性或情感为动力,往往无法坚持;唯有福音的力量——时刻提醒我们自己先白白得救、时刻供应我们灵力——才能让奉献与慈善变得持久且富有深度。

8.4 奉献的“属灵循环”应用:祷告与差传并行

当教会实践大规模奉献或社会关怀时,若缺乏配套的祷告支持和属灵督促,亦可能迅速消散在物质或管理环节中。张牧师建议,每一次重大奉献、慈善或宣教行动,都要以祷告为始终,让全体信徒知道并参与;事后也要继续进行祷告记念、感谢见证与新的部署。这是一种“动态循环”,让教会每位成员都保持对神的敬畏心,并留意神在整个过程中的带领。只有当奉献被不间断地放在祷告之中,我们才能更敏锐地发现神迹,也才能在下一个阶段更好地行动与调整。

9. 福音性奉献与身份恢复

9.1 忘却身份的危险:当教会沦为“组织”或“俱乐部”

在社会转型和全球化浪潮下,教会容易变得越来越“组织化”:有专门的行政团队、表格会议、绩效评估、市场营销手段等等。这些举措固然能提升效率,却也埋下教会“迷失身份”的风险。若教会将自身定位为一个“自我循环”的机构,只关注内部设施、会友活动与财务报表,那么福音就被局限在“宗教区域”,失去对社会和灵魂的实质影响。

有些教会还会因不当使用资源而遭到社会质疑,甚至有人把教会看成“敛财机构”或“脱离现实的宗教俱乐部”。张牧师郑重提醒我们,要从哥林多后书8-9章中取回“原初的教会身份”:即我们是一群蒙恩者,因神奇妙的爱而结合在一起,通过分享与服事见证神的荣耀。若失去奉献与恩典,教会就仿佛树木失去根系,只剩下外表茂密却不堪一击的“组织外壳”。

9.2 以“奉献”为教会自我更新的契机

回顾马其顿教会与腓立比教会的榜样,我们发现:当奉献真正被落实时,教会身份便会“自然而然”地被刷新。马其顿教会在贫穷中感到自己“无所不能”的同时,也让外界看见“上帝无所不能”的大能。腓立比教会在支持保罗的行动中,越来越确信“自己是福音同工”,不再只是被动聆听的受众。

同理,现代教会若在奉献与社会参与中投入更多精力与祷告,也将经历类似的“自我更新”:

从内省到外展:教会开始在意周边社区与世界的需要,而非只在意自身礼拜体验或堂会经济。

从守成到创新:为更好地服务与奉献,教会乐于学习新技术、新方式,培育更多多元恩赐。

从彼此分隔到跨教会连接:由于大型项目或地区合作的需要,教会更积极与其他教会或机构建立伙伴关系,彼此借鉴与扶持。

9.3 实践神学的再思:从理论到行动的桥梁

张大卫牧师的神学立场可视为当代实践神学的一种体现。他指出:“若神学只能在书本或象牙塔里讨论,却无法落地到教会的实际生活与社会见证,这样的神学就失去了存在意义。”保罗在哥林多后书8-9章中运用大量篇幅谈“奉献”的神学与具体操作细节(如如何收集、如何按次序带去耶路撒冷等),正是实践神学的典范。

在张牧师看来,当教会回归“奉献”,也就回归了基督徒生活最核心的要素:对基督舍己之爱的模仿,对“爱邻舍如同自己”诫命的落实,以及对“大使命”的积极回应。这一切都不只是“遥远理想”,而是借着每一次爱的行动,每一份捐献,每一次关怀探访等,逐步在日常生活中开花结果。

9.4 福音真实能力的今世见证

现今世界快速信息化、经济全球化与世俗化,对于基督教会既是机遇也是挑战。一方面,教会可借助网络和媒体更快地触及需要帮助的人;另一方面,物质主义与个人主义极易瓦解教会的奉献文化,使人陷入自我封闭或“忙碌无暇顾他”。由此,更凸显“福音性奉献”的紧迫性。唯有教会率先打破个体主义藩篱,用实际行为活出“同受苦难,同享喜乐”的群体形态,才能让社会看到:原来在这人情淡漠、竞争加剧的环境里,还存在一批人深受天国价值观驱动,愿意彼此背负重担。

马其顿教会、腓立比教会当年以令人惊讶的“贫者助贫”行为震撼世界。如今,当代教会是否也能在残酷竞争、利己至上的大环境下,再次用“宁可自己吃亏也要扶持他人”的奉献举动让世人震撼?若答案是肯定的,那么保罗在哥林多后书8-9章中所勾画的蓝图,就不只是一段古代历史,而会成为现今活生生的福音见证。

结 语

综观哥林多后书8-9章以及腓立比书,我们能清楚地看到:马其顿教会的奉献不仅是一场简易的“募捐活动”,更是基督福音在现实生活中迸发力量的明证。保罗热切颂扬他们,正是要让各处教会明白,福音所赐予的内在动力能使贫乏者贡献出远超其能力的资源,而这种奉献又进一步开启“属灵循环”,让更多人因他们的见证向神献上感恩与赞美。

腓立比教会的典范更让我们看到:奉献不只在于金钱,更在于教会身份和方向的确认。当腓立比人与保罗同工时,他们不再只是“听道与聚会”的团体,而成了真正“参与神国度拓展”的伙伴。奉献本身检验了教会对福音真理的实际顺服程度,也激励其他教会跟进。

张大卫牧师总结指出,若当代教会要真正回归福音的大能与真实性,就必须超越教义知识与项目经营的层面,重新学习马其顿与腓立比的“恩典奉献之道”。当教会自觉地活出这种“舍己与分享”的群体气质,社会必会留意并感到惊异:“为什么这些人肯牺牲自己的利益、时间、舒适,去服事那些和自己毫无瓜葛的对象?” 这种带着“福音陌生感”的见证,将成为打动人心的关键,引发世人对耶稣基督之爱的探寻。

最后,我们可以确信,奉献不仅关乎教会内部的资金或资源流转,更是一条通往上帝荣耀的圣途。教会借此经历神迹奇事,信徒因彼此扶持而在爱心与信心上不断成长。纵观历史与当下,唯有当我们像马其顿教会那样,以感恩与喜乐为基石,将己身先献给主,然后在顺服与爱里“甘心奉献”,才会见证到神在我们中间丰丰富富地动工。也愿更多教会与信徒能在这一“恩典流动”中彼此激励、彼此成全,共同在风雨变幻的时代中展现上帝国度的盼望与荣美。阿们。

マケドニア教会の献身 – 張ダビデ牧師

本稿は『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8-9章)に示されるマケドニア教会の献金精神と、ピリピ教会の献身的事例に焦点を当て、福音が現実の中で具体的に花開く際に示される教会共同体の本質的特徴を考察する。パウロが深刻な貧困のただ中にあっても、あふれる喜びをもって自身の所有を捧げたマケドニアの諸教会を取り上げる場面は、単なる財政支援を超えて、福音的生がどのように動的に実現するかを雄弁に物語る象徴的なシーンである。このような献身は、福音共同体が教理的知識やプログラム運営に終始せず、神の恵みを実感して日常に反映するプロセスで、自然に結ばれる実りといえる。張ダビデ牧師はこれらに基づき、現代教会が失いかけた福音的真実性を取り戻し、恵みに根ざした献身を通じて神に栄光を帰し、信徒間の霊的循環を強化するという「福音の現実化」課題へと招く。要するに、本研究は「福音・献身・分かち合い・霊的循環」という主要キーワードを手がかりに、教会が外面的成長やプログラム的達成を超えて、真の福音共同体としての自覚と方向性をいかに新たに見出すかを問いかける試みでもある。

  • 1. 福音の現実化と献身的共同体性への挑戦

初代教会共同体は、福音を単なる知識や観念ではなく、生活全体を変革する現実的な力としてとらえていた。イエス・キリストの死と復活がもたらす救いの恵みを、具体的な日常の中で体験し、形にしたいという願いがあったのである。パウロが『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8-9章で、マケドニア地域の諸教会の献金活動に言及する意図は、そうした福音的生がどう具体化されるかを示す明瞭な手本を示すことにあった。貧困と試練を抱えながらも、あふれる喜びで献金するマケドニア教会の姿は、福音が単なる口頭の告白や教理声明にとどまらず、恵みによる仕え合いと分かち合いへと具現化されるときこそ、教会共同体の真なる結実がもたらされると教えている。

張ダビデ牧師はこの聖書箇所を現代に当てはめながら、「福音が具体的な日常へと落とし込まれたとき、私たちは何をどのように行うのか」と問いかける。彼は福音が教理的知識や理念的標語、あるいはプログラム企画の枠を超えて、実生活で力を持つとき、そこにこそ恵みに基づく献身、真の分かち合い、そして聖霊によって生まれる霊的循環が現れると指摘する。そして、消費者的な信仰や外面的成功ばかりを追いがちな現代の教会が、改めてその本質を取り戻すきっかけになるのだと強調する。

本稿では、パウロが強調するマケドニア教会の献身精神と、ピリピ教会の具体例が持つ神学的意義を深く掘り下げると同時に、張ダビデ牧師がこれらを通して現代教会にどのようなメッセージを送っているかを検討する。また、教会間の連帯と霊的循環構造が福音共同体の原動力としてどのように作用するか、そしてこの洞察が社会や文化の激しい変化の中にある現代教会にどんな可能性をもたらすかについても論じていく。

  • 2. パウロの文脈理解:マケドニア教会の献金と福音の原動力

パウロが『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8章と9章で言及しているマケドニア教会の献身は、単なる“すぐれた実例”として提示されているのではない。マケドニア地方(特にピリピ、テサロニケ、ベレア)に存在した教会は、ヘレニズム-ローマ文化圏の社会的・経済的重圧に直面していた。大都市文化の中の少数派共同体である彼らは、迫害や社会的排除に苦しむことも多く、むしろ物質的には決して恵まれた状況に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パウロは彼らがきわめて厳しい貧しさの中にありながらも、「あふれるばかりの喜び」を伴う自発的な献身を成し遂げたと強調している(Ⅱコリント8:2)。

こうした姿は、人間的な常識では測り難い逆説である。貧しい人がさらに貧しい者を助けるような行いは、社会的合理性を超えた行為ともいえる。しかし福音共同体においては、恵みを原動力とする聖霊のはたらきと神の愛に基づく価値観の転換が、それを可能にするのだ。パウロにとって献金とは「単に金銭を集める行為」ではなく、イエス・キリストがご自身を空しくして貧しくなられた(Ⅱコリント8:9)という福音の根源的出来事を映し出す鏡のようなものである。したがって、マケドニア教会の献身はキリストの自己放棄(ケノーシス)を追随し、反映する共同体的な従順として捉えられる。

張ダビデ牧師はこれを現代の視点で再解釈し、福音的な生が具体的な社会や生活環境で具現化されるときに生まれる特徴を考察する。現代教会もまた、福音を空論や概念的真理として扱うのではなく、具体的な生活の現場で恵みを分かち合う献身の実りを結ばねばならない、と牧師は指摘する。さらに、その献身は「強制や義務」ではなく、「すでに受けた恵みゆえに自然とあふれ出る感謝と愛の行為」であることを繰り返し強調する。

  • 3. ピリピ教会の特別な事例:福音的誠実さの証明

パウロが書いた「ピリピの信徒への手紙」は、ピリピ教会との緊密な関係をよく示している。ピリピ教会はマケドニア各地の教会の中でも特に、パウロの宣教を支える献身性が際立っていた(ピリピ4:15-16)。彼らはパウロが福音宣教を続ける過程で、財政面を含むあらゆる形で応援を惜しまず、そのおかげでパウロの働きは単なる“観客”ではなく、実質的な“同労者”としての結束を強めるに至ったのである。

このピリピ教会の献身ぶりは、福音がどれほど彼らの内に深く根付いていたかを如実に示している。パウロは彼らからの支援を受け取りながら、単なる個人的謝意にとどまらず、その行為自体が「福音的な誠実さと従順」を証明していると論じた。それは物質的な援助を超え、献身そのものが福音の現実性を立証する“証拠”としてはたらくという意味である。すなわち、福音を真に信じ、体験した共同体は、喜んで所有を投げ出すことによって、その信仰の真実性が空疎な言葉ではないことを示すのだ。

張牧師はピリピ教会の例から、現代教会が学ぶべきレッスンを提示する。現在、多くの教会が教理的声明や宣教スローガンを掲げても、日常生活の中で福音の真実性が見えなければ、それらの主張は空虚なものとなりかねない。献身と分かち合いこそ、福音を受けとめる共同体がその信仰の真実さを生活によって示し、また検証する場である。これは教会が単に教理の正しさや信徒数の増加にこだわるのではなく、福音によって内面が変化した結果が周囲の人々や他の教会にどう影響を与えるかを見極めるためのきっかけともなる。

  • 4. 献金を「善いわざ」と呼ぶパウロの神学的意義:義の実と霊的循環

パウロは『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9章において、献金行為を「善いわざ」(Ⅱコリント9:8)と呼んでいる。ヘレニズム-ローマ世界で“善いわざ”(ἀγαθόν)とはしばしば道徳的・倫理的な善行を指しうるが、パウロはそれをさらに深い意味で捉え、「神への感謝と賛美を誘発し、共同体の中に『義の実』を豊かに生み出す行為」と解釈している(Ⅱコリント9:10)。

「義の実」とは、福音のもとでもたらされる生活と共同体の包括的変容を指し、単なる募金総額の増加や世間の称賛にとどまらない。すなわち“義”(δικαιοσύνη)とは、神との正しい関係から滲み出る平和と正義を含んでおり、そこから生じる共同体全体の姿が「義の実」として結実する。ゆえに義の実を結ぶ教会とは、神との関係だけでなく、隣人との関係においても聖霊の実(ガラテヤ5:22-23)のように霊的で豊かな結果が花開く場所なのである。

張ダビデ牧師は、献身が単なる「教会の対外イメージ向上」や「成果主義的イベント」に終わらない点を強調する。献身に裏付けられた献金は、神に栄光を帰し、その栄光のもとで信徒たちの祈りや互いへの思いが深まり、それがさらに新たな献身へとつながる「霊的循環構造」を形づくる。ここにおいて教会は、外部に善行を施すだけでなく、内部においても霊的エネルギーが増幅され続ける「内面的好循環」を経験する共同体となる。

こうした観点から、張牧師は現代教会が歩むべき道を示唆する。今日、教会活動の多くはプロジェクトやプログラムを軸に展開され、単発イベントで終了しがちである。しかし福音的献身の核心は、神の恵みが献身という形で表れ、それが祈りや賛美を通じてまた新たな献身を生む、尽きない好循環のプロセスを生きることにある。そこで教会は「善い行いの団体」という枠を超え、「霊的生態系」として機能するようになるのだ。

  • 5. 恵みに基づく献身:張牧師が提起する現代教会の転換点

張ダビデ牧師は、パウロ神学の本質を踏まえつつ、現代教会が向かうべきビジョンを模索する。彼は現代教会が教理的正統や組織運営能力、礼拝形式の多様さのみを強調するのではなく、恵みによる献身を通して福音の真実性を示す段階に進まねばならないと説く。

それは単に「もっと分かち合いを増やそう」という道徳的勧めにとどまらない。張牧師が注視するのは「原動力の源泉」である。真の献身は無理強いや義務感からではなく、すでにいただいた恵みへの感謝として自然に湧き上がるものである。つまり教会は信徒がその恵みを深く味わい、感動し、その感謝が周囲へ波及していくための霊的空間を整える必要がある。言い換えれば、教会は信徒が福音を単なる知識や観念ではなく、生活を変革する力として受けとめられるよう手助けしなければならない。

張牧師はこれを「福音の現実化」と呼び、その過程における献身が教会のアイデンティティや方向性を再確認させる鍵であると強調する。もし教会が与えられた恵みを忘れ、プログラム運営や表面的拡大にのみ邁進するなら、福音の力は色あせてしまう。しかし恵みに根ざした献身が実践されるなら、教会は神の愛と恵みを分かち合う「霊的サプライチェーン」へと変貌するのだ。

  • 6. 教会間の連帯と霊的生態系:相互の影響力と依存性

パウロがマケドニア教会の献身をコリント教会に伝えた意図の一つには、ある教会の善行が他の教会に霊的刺激を与え、新たな献身を誘発する可能性を示す意図があった。それは福音共同体が互いに励まし合い、感謝と祈りの好循環を引き出す霊的生態系を創り上げ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

初代教会の時代、各地域教会はローマ帝国内の多様な場所に点在し、文化的・経済的背景も大きく異なっていた。ある教会は比較的豊かであったのに対し、他は深刻な苦境に苦しんでいた。パウロはこうした現実の中で、献金を通じて富む教会が貧しい教会を支え、受け取った側は感謝と祈りによって応え、霊的相互依存を強化するよう勧めた(Ⅱコリント9:12-14)。これは福音共同体における「霊的生態系」の一形態であり、異なる教会が互いに必要な霊的・物質的資源を補い合うことで、全体として成長と成熟が促進されるのである。

張牧師はこうした初代教会の事例を現代教会に当てはめ、現在の教会も国内外における協働と交流をさらに推進すべきだと説く。宣教地の教会へのサポートや、大規模災害時の緊急支援募金などは、単なる人道的行為ではなく、福音共同体同士が霊的血流を共有する“循環系”の役割を果たす。この霊的循環を通じて教会は地域的・文化的境界を越え、世界的視野をもつ福音共同体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培うことが可能となる。

  • 7. 福音の現実化:生活の変革と社会的証し

福音の現実化は、個人の内面にとどまらず、社会全体にも広がりをもつ。福音が教会共同体の内で献身と分かち合いという形で具現化されるとき、その影響力は必然的に教会外部にも波及する。ヘレニズム-ローマ社会下の初期教会は、当時の弱者や貧困層、奴隷や女性に具体的な助けを提供し、結果として福音に基づく代案的文化を示した。これはギリシア-ローマ倫理が持つ常識を超える行為と見なされ、多くの人々の注目を集めた。

教父たちの解釈でも同様の視点が強調されている。たとえば2~3世紀の教父は、教会の分かち合いの実践を通じて、福音が魂の救済だけにとどまらず、人間存在の全体的・社会的回復をも包含することを浮き彫りにした。彼らは献身的な分かち合いが、最終的にこの世に神の国の印を示す道と理解していたのである。

張牧師はこの教父の視点を現代に当てはめ、教会が福音的献身によって社会の信頼を回復し、代替的価値観を示す重要性を力説する。消費主義や物質主義、利己主義が蔓延する今日、教会の献身的な分かち合いは一見して奇異にも映るかもしれないが、その「奇異性」こそ福音の力を示すバロメーターとなる。教会が献身を通じて表す共同体性と愛の姿勢は、人々に「なぜ彼らはこのように行動するのか?」と問いを抱かせ、そこから福音への関心と探求が芽生えるきっかけになるという。

  • 8. 現代教会の課題:恵み体験の深化と実践的福音化戦略

張牧師は、現代教会が福音的献身を復権させるために、以下のような課題を挙げる。

恵み体験の深化

献身は、人の意志や道徳性だけでは支えきれない。深い恵みの体験こそが、神への感謝を促し、自然な分かち合いと仕え合いへと導く。ゆえに教会は、礼拝・御言葉の黙想・祈り・弟子訓練などを通じて信徒が恵みを体験できる場を整えねばならない。

互いに学び合う共同体形成

パウロがマケドニア教会の献金精神をコリント教会に紹介したように、現代教会も他地域教会の献身事例を学び、それを取り入れることができる。国際カンファレンスや教会間パートナーシップ、交流プログラムを通して経験やリソースを共有すれば、相互の不足を補い、新たな可能性を探ることが可能だ。

実践的福音化戦略の策定

教会は地域社会への具体的な愛の発信として、戦略的なアプローチを組み立てるべきだ。たとえば、給食支援、難民保護、環境保全活動、家庭内暴力被害者の救済、教育サポートなどを通じて、福音の愛が単なる抽象概念ではなく、実際の助力として機能することを示せる。こうした働きが恵みに根ざした献身であると強調されるとき、教会は社会的信用を回復し、福音を公の場で証しする土台を築ける。

祈りと感謝による連鎖的な好循環

献身は一度の行為で終わるのではなく、祈りと感謝を経て新たな献身を呼び込む好循環を作り出す。教会はこの循環を積極的に活用し、献身者どうしの祈り会や証しの集会、宣教地への訪問などを設けて、献身が一過性のイベントではなく、継続的成熟のプロセスであることを学ばせる。

  • 9. 福音的献身とアイデンティティ回復

福音的献身は教会のアイデンティティ再構築に重要な役割を担う。今日の教会はしばしば“巨大組織”あるいは“プログラム実施者”として見られがちだが、献身は教会が単なるプログラム提供の場ではなく、恵みを体験し互いに分かち合う共同体であることを強く再確認させる契機となる。

張牧師はこの点において教会アイデンティティの再発見を呼びかける。教会の本質とは“神の民”として福音に生きることであり、そこにおいて献身はプログラムの一選択肢ではなく、教会が本来もつアイデンティティから自ずと湧き出る行為なのである。教会は組織やシステムを超えて、人と人との結びつき、そして恵みと愛のネットワークへと再定義されるべきだ。福音的献身が活性化するとき、教会は自分たちが何者で、なぜ存在するのかを改めて認識するようになる。

張ダビデ牧師の見解と応用は、実践神学の領域にも大きく貢献する。実践神学は教会の具体的行動や生活の在り方を模索し、福音を理論枠に閉じ込めるのでなく、現場での体現へと導くことを目指す学問分野である。張牧師の論点はまさにこのような実践神学の視座と響き合い、福音的献身によって神学と生活、教理と行動の距離を縮め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パウロ神学に基づいたこの聖書解釈は、現代教会が失いつつある福音的感受性を取り戻す手がかりとなり得る。それは単なる新規プログラムの提案や教会経営の戦略ではなく、福音の根源へ立ち返る神学的・牧会的な刷新の呼びかけである。恵みによる献身こそ、教会の働きを空虚な外面ではなく、実体的な霊的力へと転換し、世界において福音を効果的に証しする生きた存在へ変容させる原動力となる。

現代社会は情報化・グローバル化・世俗化の進行によって、教会もまたアイデンティティや役割の混乱に直面しがちである。物質主義や個人主義の風潮は、しばしば分かち合いと献身を「負担」と見なし、さらには競争優位を目指して“成功”という名目を追求する誘惑に教会も巻き込まれかねない。

しかし張牧師の主張する福音的献身は、こうした世俗的潮流に対するオルタナティブを提示する。福音的献身とは、自分を空しくして他者を仕え、そこにこそ本当の喜びが見いだされるという逆説の道を歩むことである。それはより多くを所有し、より高い地位を目指す現代文化のロジックに反し、むしろ自己犠牲を通じて満ち足りた生を得るというキリスト教の逆説を躍動的に示す。

教会はこのような代案的共同体文化をもって、世に新たな問いを投げかけることができる。「誰もが自分の利得ばかりを追う時代に、なぜこの共同体は自分たちの財や時間を惜しまず分かち合うのか」。その問いは、最終的に福音への探求へと人々を誘い、やがてキリストの恵みとの出会いへと導く可能性を秘めている。

私たちは『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8-9章に見えるマケドニア教会の献金精神が、単なる募金イベントにとどまらず、深い神学的意義を含むことを改めて確かめた。パウロは彼らの献身を通じて、福音がもたらす具体的な力──恵みに基づく献身が教会共同体をどのように変革し、他教会にも良い影響を及ぼし、最終的には神を崇める霊的好循環をもたらすか──を明確に示したのである。

ピリピ教会の顕著な献身事例を通じて、福音が抽象的理屈ではなく、日常の実際として実装されるときどのように機能するかが浮き彫りになった。献身は教理的正統性や外面的豊かさを超えて、教会の内面を吟味・形成する基準であり、福音的誠実さと従順が本物か否かを計る物差しでもある。

張ダビデ牧師は、パウロ神学が提示するこの視点を現代に応用し、福音的献身の回復こそ教会が本質へ立ち返る道だと強く訴える。献身は単なる善意活動や慈善事業ではなく、恵みにもとづく霊的循環の行為であり、そのプロセスを通じて教会は神に感謝と賛美を捧げ、信徒間の祈りの絆を深め、さらには福音的連帯を地球規模に拡張できるのだ。

こうした福音的献身は、教会を神の国の先触れとなる「代案共同体」へと導く。これは物質主義・個人主義・消費主義に挑戦する福音の逆説的力を際立たせ、周囲の人々に「その源泉は何か」と問いを抱かせる。最終的には、福音が今なお生きて働く力であることを現代に証明し、真の意味での教会の姿を取り戻す要となるのである。

最後に、福音の現実化のための献身は、教会内部の結束を強め、教会間の連帯を促進し、社会に福音の光をもたらす包括的プロセスといえる。張牧師はそれを通じて、教会がプログラムや外面的成長の論理を超え、恵みに基づく仕え合いと分かち合いという根本的次元に立ち戻る必要性を強調する。福音的献身こそ、教会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再び確立させ、福音が今なお有効な力であることをこの時代に証明する結実である。こうして教会は神の愛を示す聖なる共同体として、単に「語る」だけでなく、それを「生きる」存在として立ち上がることができるのだ。

福音が現実の只中に根を下ろしたとき、教会はもはや単なる宗教団体や道徳的善行の集合体ではなく、神の恵みを分かち合う霊的共同体として存在することになる。マケドニア地域の諸教会とピリピ教会の献身は、その過程で生まれる大きな転換を代表する例証であり、彼らの献金行為は恵みによって始まり、恵みによって成長する福音共同体の真骨頂を示している。パウロが指し示したこの献金精神と義の実は、献身が単なる財の分かち合いではなく、神への崇敬と信徒間のより深い結束を生み出す「霊的循環」であることを改めて思い起こさせる。張ダビデ牧師の視点によれば、現代教会もまた福音が真に力あることを示すために、教理やプログラムを超えて恵みに基づく献身の歩みを深めるべきであり、その先にこそ、福音の真実性と生命力を世に証しし、神の愛が具体的生活の中でいかに変革を起こすかを示す「光と塩の共同体」への道が開かれるのだ。結局、献身は教会の本質的アイデンティティを再確認し、福音を現実化する主要な経路であると、私たちは再び確信することになる。

The Commitment of the Macedonian Church – Pastor David Jang

In 2 Corinthians 8–9, the Apostle Paul highlights the generosity of the Macedonian Church. Drawing on the concrete example of the Church in Philippi, we aim here to analyz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ecclesial community when the Gospel takes root in everyday life. The passage in which Paul notes that the Macedonian churches gave their resources with overflowing joy despite their extreme poverty goes beyond mere financial support: it reveals the dynamic realization of a life shaped by the Gospel.

This commitment shows that a community born of the Gospel is not limited to doctrinal knowledge or programs; rather, it spontaneously bears the fruit of grace as soon as that grace becomes evident in real life. Building on this observation, Pastor David Jang invites the modern Church to rediscover the authenticity of the Gospel, to glorify God through a grace-based commitment, and to strengthen spiritual circulation among believers. According to him, this represents a “challenge to put the Gospel into practice” for our time.

Finally, the following study—organized around such key words as the Gospel, commitment, sharing, and spiritual circulation—encourages the Church to move beyond numerical growth or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rediscover its identity as a truly evangelical community and to clarify its direction.

1. A Challenge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the Gospel and a Devoted Community

The early church did not treat the gospel as mere head knowledge or an abstract concept. Instead, they understood it as a tangible power that permeated every facet of daily life. They strove to experience and embody the salvation brought by Jesus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in their real-world contexts. When Paul highlights the offering of the Macedonian churches (2 Corinthians 8–9), he provides an illuminating example of how a life anchored in the gospel can take visible form. Even amid poverty and hardship, these churches gave freely and joyfully, attesting that the gospel is not merely about spoken declarations or doctrinal principles. Rather, when grace-based sharing and service flow from genuine faith, it yields transformative fruit in the community.

In light of this passage, Pastor David Jang challenges the modern church with a crucial question: “What sort of attitude do we embody when the gospel takes shape in our daily lives?” He maintains that the gospel must advance beyond doctrinal knowledge, ideological slogans, or programmatic strategies. Once the gospel is woven into day-to-day living, the church comes to know grace-fueled devotion, authentic sharing, and a Spirit-driven spiritual cycle. Faced with consumer-based faith and an overemphasis on numerical growth, rediscovering the gospel’s core might serve as a genuine path forward.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logical underpinnings of Paul’s teaching on the Macedonian churches’ devotion, along with the exemplary case of the Philippian church, and further investigates the insight Pastor Jang brings to today’s church. Additionally, it examines how solidarity among churches and the structure of spiritual reciprocity function as vital forces within a gospel-centered community—and how these perspectives may be adapted to contemporary congregations responding to social and cultural shifts.

2. Understanding Paul’s Context: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and Gospel Power

Paul’s references to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in 2 Corinthians 8–9 are far more than the mere presentation of an inspiring “case study.” In the Greco-Roman era, churches in Macedonia—particularly in Philippi, Thessalonica, and Berea—endured significant socio-economic pressure. They existed as a small faith community amid expansive urban civilizations, often facing persecution and exclusion rather than comfort or status. Yet Paul underscores that despite acute poverty, these believers “overflowed in rich generosity” and gave with “exceeding joy” (2 Cor. 8:2).

Such generosity defies conventional human logic. How can those in need themselves support others in even greater need? By worldly standards, it makes little sense. Within the gospel community, however, the Holy Spirit’s work and a life founded on divine love enable precisely this kind of reversal. For Paul, the act of gathering financial aid was much more than a fundraiser; it mirrored the gospel itself—the Savior who emptied Himself and became poor (2 Cor. 8:9). Thus, the Macedonian churches’ willingness to give represents communal obedience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Christ’s self-emptying (kénosis).

Reframed in modern terms, Pastor David Jang points out the distinct features that emerge once believers begin living out the gospel in practical ways. Churches today, he contends, must be reminded that the gospel is neither an unrealistic ideal nor an abstract theory but rather a reality of grace leading to tangible devotional fruit. True devotion, he insists, does not stem from coercion or duty; it is “a grateful and loving response that flows naturally from grace already experienced.”

3. The Philippian Church as a Special Example: Demonstrating Gospel Authenticity

Paul’s letter to the Philippians reveals his deep ties to the Philippian congregation, which was notably devoted to helping him fulfill his gospel mission (Phil. 4:15–16). While Paul traveled to spread the good news, they continually supported him—financially and through other means—showing that they were more than bystanders; they were genuine coworkers in ministry.

This dedicated support testifies to the profound roots of the gospel in their community. Although Paul expresses thanks, he goes further, interpreting their service as evidence of “gospel authenticity and obedience.” Thus, these acts of service become tangible “testimonies” proving that their experience of the gospel was more than empty talk. When a congregation genuinely embraces the gospel, it voluntarily sacrifices its possessions, confirming that its faith is genuine rather than superficial.

From this, Pastor Jang draws lessons for contemporary churches. While many modern congregations shout doctrinal slogans or missionary catchphrases, the absence of demonstrable gospel impact on daily life can render those words hollow. Tangible acts of service and sharing allow faith communities to validate the sincerity of their beliefs. Churches must not be preoccupied merely with doctrinal assurances or headcount growth, but must look deeper, asking whether the gospel is transforming hearts and prompting outward expressions of compassion that affect neighbors and other fellowships.

4. Paul’s Theological View of the Offering as a “Good Work”: The Fruit of Righteousness and Spiritual Circulation

In 2 Corinthians 9, Paul calls the act of offering a “good work” (2 Cor. 9:8). Although “good work” (agathon) in Greco-Roman culture typically denoted moral or ethical benevolence, Paul transcends that meaning, depicting this act as something that prompts thanksgiving and worship toward God, while simultaneously producing an abundance of “the fruit of righteousness” in the church (2 Cor. 9:10).

“The fruit of righteousness” encompasses the total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y through the gospel. It exceeds a mere spike in offerings or greater public esteem. The notion of “righteousness” (dikaiosynē) encompasses a holistic peace and justice arising from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Consequently, a congregation that bears this fruit not only enjoys a healthy, Spirit-filled relationship with God but likewise deepens in love and justice toward one another (Gal. 5:22–23).

Pastor Jang clarifies that devotion is not a marketing ploy to enhance the church’s external appeal or to increase its achievements. Instead, it represents a spiritual chain of grace in motion. Faithful offerings exalt God, in turn inspiring believers to pray for one another with renewed passion, which again sparks further devotion. This fosters a structure of spiritual circulation that surpasses mere benevolent deeds for outsiders; it constitutes an “internal virtuous cycle” that amplifies the spiritual strength within the congregation.

At this point, Jang offers a valuable perspective for modern congregations. Today, church activities are often framed as one-time events or programs, which tend to end as soon as the activity concludes. However, authentic gospel devotion sets off a perpetual loop: grace stimulates service, which is offered back to God through praise, intensifies collective prayer, and culminates in yet more devotion. In this manner, the church transcends being a “charitable organization” and becomes a “spiritual ecosystem.”

5. Devotion Rooted in Grace: The Pivotal Step Pastor Jang Suggests for Today’s Churches

Drawing from Paul’s core theological vision, Pastor David Jang contemplates how the contemporary church can move forward. He encourages believers to look beyond doctrinal purity, administrative prowess, or new worship formats and instead evidence the truth of the gospel through devotion stemming from grace.

His focus is not merely on calls for “greater donations.” Rather, h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source of power.” Genuine devotion emerges naturally from the grace already bestowed, not from any sense of obligation or force. This underscores the task of congregations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believers truly encounter God’s grace, stand in awe, and pass on that gratitude to others. Churches must therefore lead believers to see the gospel not solely as theoretical knowledge but as a power that refashions their everyday experiences.

Pastor Jang terms this process “realizing the gospel,” highlighting how devotion offers churches an opportunity to reassert their mission and identity. If congregations lose sight of the grace bestowed on them, dedicating all their energy to scheduling activities or pursuing visible growth, the gospel’s potency fades. Conversely, a devotion grounded in grace transforms the church into a communal channel, conveying God’s love and grace to others.

6. Inter-Church Solidarity and a Spiritual Ecosystem: Mutual Dependence and Influence

One reason Paul spotlights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 to the Corinthian community is to demonstrate how the commitment of one church body can galvanize and inspire another. It reveals how multiple gospel-centered congregations can energize each other, generating a chain reaction of gratitude and intercession—essentially a spiritual ecosystem.

In the era of the early church, congregation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Roman Empire, each shaped by unique 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Some were relatively prosperous, while others languished in dire need. Paul urged wealthier churches to aid poorer ones through offerings, and he instructed recipients to respond with thanksgiving and prayer, solidifying their spiritual interdependence (2 Cor. 9:12–14). This dynamic builds a spiritual “ecosystem,” where every church supplies mutually needed spiritual and physical resources, promoting the growth and maturity of the wider gospel community.

Pastor Jang applies this concept to modern times by advocating that churches strength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upporting churches on mission fields or raising emergency relief funds for crisis-stricken areas is more than an exercise in humanitarianism: it fosters a “circulatory system” through which different gospel communities share the lifeblood of faith. As a result, congregations transcend boundaries of location and culture, forging a united awareness of the global nature of Christ’s church.

7. Realizing the Gospel: Social Witness and Personal Transformation

The realization of the gospel expands beyond individuals and touches the social dimension of life. Once the gospel is enacted within the church—expressed in devotion and sharing—it inevitably flows beyond the sanctuary. In the Greco-Roman world, early Christians assisted the marginalized, including slaves, women, and the poor, offering society an alternate model of what gospel-rooted living looked like. Such community ethics clashed with prevailing Greco-Roman values yet brought the church to the attention of many in the empire.

Church Fathers of the second and third centuries underscored this point. They taught that the church’s social outreach proved that the gospel encompassed more than the salvation of souls, extending toward holistic and societal renewal. They saw that sacrificial devotion was a means of revealing clear signs of God’s kingdom here on earth.

Pastor Jang adopts these patristic insights for the contemporary church, arguing that tangible expressions of gospel devotion can help reclaim societal credibility and introduce alternative virtues. In a modern landscape dominated by consumerism,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self-emptying love appears increasingly alien—yet that is precisely why it magnifies the gospel’s power. Witnesses to a congregation’s sacrificial generosity will naturally wonder, “What drives them to act in such a different way?” Such queries can awaken curiosity and a deeper pursuit of the gospel’s truths.

8. The Modern Church’s Task: Deepening Grace and Crafting Practical Strategies for Gospel Ministry

Pastor Jang offers four practical steps for churches aspiring to reignite a grace-oriented devotion:

Deepening the Experience of Grace. Devotion cannot be upheld by sheer willpower or ethical standards. As believers truly encounter God’s grace, they spontaneously respond with gratitude. Congregations must therefore design spaces—through worship, biblical reflection, prayer disciplines, and discipleship training—where people can profoundly experience divine grace.

Forming a Learning Community. Like Paul’s mention of the Macedonian churches’ generosity to the Corinthians, today’s churches can learn from and apply the experiences of other congregations. By sharing resources through international conferences, partnerships, or exchange programs, they can address gaps and unearth fresh perspectives, advancing in mutual growth.

Implementing Practical Evangelism Strategies. Churches require clear missions that tangibly demonstrate love within local society. From providing meals to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assisting refugees, to cleaning up the environment and supporting survivors of domestic abuse, service must be seen as concrete acts of compassion, not merely abstract theology. When congregations highlight that these ministries flow out of grace, they can regain trust within their communities and publicly validate the gospel message.

Cultivating a Sustained Cycle of Devotion. Devotion is not an isolated charitable gesture; it leads to deeper prayer and gratitude, which then spark even greater dedication in a repeating cycle. Churches should harness this dynamic by organizing volunteer prayer meetings, holding regular testimony sessions, and conducting mission trips, ensuring that acts of service are woven into an ongoing process of spiritual maturation rather than left as one-off events.

9. Gospel-Focused Devotion and the Restoration of Church Identity

A gospel-focused devotion is central to renewing the church’s identity. In modern society, the church is often viewed as a sprawling institution or a purveyor of religious events. Yet acts of devotion reveal that the church is not simply a hub for programmatic activities but a community that experiences and extends God’s grace.

Pastor Jang emphasizes how these acts allow the church to rediscover its true character. The congregation’s purpose lies in living out the gospel as “God’s people,” where devotion is not a secondary choice but a core feature of its identity. The church must be defined not by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but by a network of loving relationships rooted in grace. Indeed, when a community’s gospel-based devotion flourishes, believers more fully grasp who they are and why they exist.

Jang’s teaching and insights align with a modern theological movement called “practical theology,” which investigates the church’s daily life and behavior. Sharing its commitment to connecting theology with practice, Jang moves the gospel beyond theory, urging it to be made manifest in worship, discipleship, and mission. Centered on Pauline theology, his approach motivates churches to recover a deeper sensitivity to the gospel’s essence. This goes beyond trendy church programs or management strategies, aspiring instead toward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awakening that returns to the heartbeat of the gospel. Devotion that flows from grace transforms mere ritualistic events into a vibrant spiritual reality, ensuring that the church can offer a testimony of genuine significance in today’s world.

In our age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and secularization, many churches struggle to define their purpose and identity.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breed skepticism toward sharing and devotion, while competitive pressures lure congregations into chasing “success.”

Yet Pastor Jang believes that the gospel-centered devotion highlighted above provides a counterbalance, pointing to a life shaped by self-emptying service that paradoxically yields profound joy. Such a posture reverses the cultural assumption that prizes hoarding and climbing social ladders. Instead, it embraces the Christian paradox: that deeper fulfillment emerges from sacrificial living.

By cultivating this alternative ethos, the church presents a radical proposition: “Why does this community freely offer what it has?” The very question can arouse genuine interest in the gospel and a hunger for deeper engagement with Christ’s grace.

From 2 Corinthians 8–9, we see that the Macedonian churches’ offerings signify far more than just a campaign to collect funds. Paul uses their extraordinary generosity to showcase the practical might of the gospel, demonstrating how grace-based devotion can reform a church internally, inspire other congregations, and ultimately honor God by establishing a regenerative cycle of blessing.

Turning to the Philippian congregation’s outstanding support, we see an exemplary portrait of how the gospel is lived rather than relegated to theoretical discourse. Devotion itself verifies gospel authenticity and obedience; it extends beyond doctrinal correctness or flashy growth, revealing the deeper substance of a church’s spiritual state.

By applying Paul’s theology to our contemporary situation, Pastor David Jang underscores that reviving a gospel-shaped devotion is critical to leading the church back to its essence. He reiterates that devotion surpasses charity or philanthropy, functioning instead as part of a cyclical spiritual network through which God is honored, believers unite in fervent prayer, and global gospel connections are strengthened.

This gospel-driven devotion ultimately transforms the church into an “alternative community” that points toward God’s kingdom. In doing so, it counters the pervasiv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f the modern world, revealing the paradoxical power of the gospel. Observers are naturally led to wonder about the source of such heartfelt commitment, validating in real time that the gospel carries the power to change lives.

Finally, the pursuit of gospel realization through devotion reinforces the church within, fosters inter-church cooperation, and radiates the light of Christ in society. In Pastor Jang’s view, this process redirects congregations away from superficial metrics and top-down management, refocusing them on the grace-centered ethos of sharing and service. Consequently, the church reaffirms its identity, confirming once again that the gospel remains a living force capable of shaping our shared world. Thus, it fulfills its vocation as a community that not only proclaims the gospel but also genuinely “lives it out.”

When the gospel takes tangible root, the church transcends being a mere institution or a moral collective and becomes a spiritual community that mediates divine grace. The example set by the Macedonian congregations and the Philippian church illustrates that their generosity validates the church as a true gospel fellowship, established and nurtured by grace. According to Paul, their devotion and the resultant “fruit of righteousness” prove that offering is more than sharing material goods. It is an act that magnifies God’s glory while knitting believers into deeper spiritual fellowship—ultimately forming a “spiritual cycle.” Pastor David Jang therefore concludes that contemporary congregations must move beyond doctrinal proclamations and scripted programs, living out a grace-founded devotion that showcases the gospel’s genuine transformative power. By following this path, the church demonstrates to the world how God’s love reaches into everyday contexts, shining as salt and light. Ultimately, devotion is the vital means of reclaiming the church’s identity and making the gospel a lived reality in our time.

La entrega de la Iglesia de Macedonia – Pastor David Jang

El propósito de este estudio es reflexionar, a partir del espíritu de la ofrenda presentado en 2 Corintios 8-9 y del ejemplo de la Iglesia de Filipos, sobre el rasgo esencial que caracteriza a la comunidad eclesiástica cuando el evangelio se hace realidad en la vida cotidiana. El pasaje donde Pablo menciona a las iglesias de Macedonia, que en medio de extrema pobreza ofrecieron sus bienes con un gozo desbordante, no se limita a describir un simple respaldo económico. Antes bien, representa una escena profundamente significativa que evidencia la dinámica de vivir el evangelio de manera concreta. Este tipo de entrega deviene un fruto natural de la experiencia de la gracia de Dios y su reflejo en la vida, y trasciende tanto el simple conocimiento doctrinal como la ejecución de programas en la comunidad cristiana. Con base en ello, el pastor David Jang exhorta a la iglesia contemporánea a recobrar la autenticidad evangélica que se ha perdido, a glorificar a Dios mediante una entrega sustentada en la gracia y a fortalecer la circulación espiritual entre los creyentes, interpretando todo ello como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En definitiva, este trabajo, a través de los ejes evangelio, entrega, compartir y circulación espiritual, reta a la iglesia a redescubrir su identidad y su orientación más allá del crecimiento externo o los logros programáticos, para constituirse en una auténtica comunidad del evangelio.

1. Desafío sobre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y la comunión entregada

La iglesia primitiva no consideraba el evangelio como un conocimiento o concepto abstracto, sino como un poder real que afectaba cada ámbito de la vida. Experimentaban y encarnaban la gracia salvadora de Jesucristo, consumada en su muerte y resurrección, en la rutina diaria. El contexto en el que Pablo menciona la colect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n 2 Corintios 8-9, ilustra ese modo concreto de vivir el evangelio. Aun padeciendo pobreza y pruebas, las iglesias macedonias se gozaban y contribuían libremente con sus recursos, mostrando que el evangelio no se queda en una confesión de labios ni en una mera declaración doctrinal, sino que produce verdaderos frutos comunitarios cuando se expresa en compartir y servir basados en la gracia.

El pastor David Jang, partiendo de esta lectura, lanza a la iglesia contemporánea una pregunta esencial: “¿Qué actitud asumimos cuando el evangelio se hace real?” Sostiene que el evangelio debe ir más allá de ser simple conocimiento doctrinal, planteamiento ideológico o estrategia de programas, y recalca que, al traducirse en la vida cotidiana, la iglesia experimenta entrega surgida de la gracia, un compartir genuino y una circulación espiritual en el Espíritu Santo. En una coyuntura donde muchas iglesias se ven atrapadas en la lógica del crecimiento externo o en una fe consumista, este retorno a lo esencial supone un punto de partida para recobrar la verdadera esencia evangélica.

En este artículo se analizará a fondo el significado teológico de la entrega que Pablo destaca en las iglesias de Macedonia y el ejemplo señero de la Iglesia de Filipos, al tiempo que se pone de relieve el mensaje que el pastor David Jang transmite a la iglesia de hoy. Además, se considerará cómo la solidaridad entre iglesias y la circulación espiritual constituyen un motor esencial para la comunidad del evangelio y qué implicaciones ofrece este enfoque en medio de una realidad contemporánea marcada por cambios sociales y culturales constantes.

2. Comprender el contexto de Pablo: la ofrend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y la fuerza del evangelio

La referencia que hace Pablo a la entrega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n 2 Corintios 8 y 9 no es simplemente una muestra de “buen ejemplo”. Durante ese período, las iglesias de Macedonia (Filipos, Tesalónica, Berea) se hallaban bajo presiones económicas y sociales del mundo grecorromano. Formaban minorías creyentes, a menudo marginadas o perseguidas, lejos de disfrutar abundancia económica. Aun así, Pablo enfatiza que, pese a su extrema pobreza, daban de forma voluntaria y con “abundancia de gozo” (2 Co 8:2).

Esta conducta encierra una paradoja difícil de comprender desde una perspectiva meramente humana. Que una persona pobre ayude a otros más necesitados no se explica por cálculos sociales. No obstante, en el seno de la comunidad evangélica, la fuerza de la gracia —la intervención del Espíritu Santo y el amor de Dios— cambia la perspectiva de la vida. Para Pablo, la ofrenda no es meramente una “recaudación de dinero”, sino un espejo que refleja el acto central del evangelio: Jesucristo se despojó de sí mismo y se hizo pobre (2 Co 8:9). Por ende, la entrega de las iglesias macedonias es un acto de obediencia conjunta que replica ese despojo (kenosis) de Cristo.

Al reinterpretar este hecho en clave contemporánea, el pastor David Jang realza los rasgos distintivos de cuando el evangelio se hace tangible en la realidad. Destaca que la iglesia de hoy ha de reconocer que el evangelio no es una utopía ni una verdad puramente teórica, sino que debe manifestarse en frutos de entrega que compartan la gracia en situaciones concretas. Asimismo, recalca que la entrega no nace de la coacción, sino de “la gratitud y el amor que brotan tras haber recibido primero la gracia divina”.

3. El caso especial de la Iglesia de Filipos: demostración de la autenticidad evangélica

La Carta a los Filipenses refleja la cercana relación entre Pablo y la Iglesia de Filipos. Esta congregación, en especial dentro de Macedonia, fue sumamente diligente en apoyar el ministerio de Pablo (Fil 4:15-16). Le brindaron respaldo financiero y de otros tipos, dejando en claro que no eran meros “observadores” de la misión, sino colaboradores activos en la difusión del evangelio.

La ferviente entrega de la Iglesia de Filipos evidenciaba la hondura con la que el evangelio había arraigado en su comunidad. Para Pablo, la ayuda que recibía de los filipenses no solo suscitaba gratitud, sino que además constituía una prueba de “fidelidad y obediencia al evangelio”. Su acto de compartir no se limitaba a lo material, sino que se erigía en un “testimonio palpable” de la veracidad del mensaje de Cristo. Es decir, la comunidad que vive y cree genuinamente el evangelio se halla dispuesta a entregar sus bienes, dejando constancia de que su fe no es meramente palabrería.

El pastor Jang ve en la experiencia de Filipos una lección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En la actualidad, muchas congregaciones pregonan consignas misioneras o enfatizan convicciones doctrinales, pero si el evangelio no trasciende a la vida diaria, tales proclamas quedan sin fundamento. La entrega y el compartir se constituyen en vías para probar y robustecer la sinceridad de la fe. No basta con abocarse al crecimiento numérico o a la solidez doctrinal; hay que demostrar cómo esa fe, transformada por el evangelio, se transfiere de manera real y palpable a la vida del prójimo.

4. El significado teológico de Pablo al llamar “buena obra” a la ofrenda: fruto de justicia y circulación espiritual

En 2 Corintios 9, Pablo describe la colecta como una “buena obra” (2 Co 9:8). En el entorno grecorromano, “buena obra” (agathon) podía aludir a un acto moral o ético, pero Pablo va un paso más allá y dice que esta “buena obra” produce acciones de gracias y alabanzas a Dios, a la vez que contribuye a la multiplicación del “fruto de justicia” en la comunidad (2 Co 9:10).

Este “fruto de justicia” alude al conjunto de efectos de una comunidad y una vida que han sido transformadas por el evangelio. No se limita al aumento de fondos recaudados ni a los elogios externos. La “justicia” (dikaiosynē) abarca la paz y la rectitud derivadas de una relación correcta con Dios. Así, la comunidad que produce un fruto de justicia no se limita a vivir bien ante Dios, sino que evidencia frutos genuinos del Espíritu (Gá 5:22-23) en su trato con los demás.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que la entrega no se reduce a “mejorar la imagen de la iglesia” o a lograr “éxitos en los programas”, sino que debe entenderse como un flujo de gracia de naturaleza espiritual. La contribución hecha con sinceridad honra a Dios, aviva la oración y la comunión fraterna, y ese refuerzo en la oración y el amor conduce a más entrega, conformando un círculo espiritual de crecimiento constante. Así, la iglesia deja de ser solo un agente de “ayuda social” para convertirse en un “ecosistema espiritual” en el que se generan y difunden energías de vida.

Tal enfoque lleva al pastor Jang a orientar a la iglesia contemporánea. Con frecuencia, la actividad eclesiástica gira en torno a proyectos y programas que a menudo son efímeros. En cambio, la esencia de la entrega basada en el evangelio es un ciclo perdurable de bendición, donde la gracia divina se plasma como entrega, esa entrega despierta gratitud y alabanza a Dios, intensifica la oración y el amor mutuo, y a su vez alienta nuevas expresiones de entrega. De este modo, la iglesia no se reduce a una institución que “realiza buenas obras”, sino que funciona como un auténtico “ecosistema espiritual”.

5. La entrega basada en la gracia: el punto de inflexión que propone el pastor Jang para la iglesia actual

Tomando como base la esencia de la teología paulina, el pastor David Jang presenta un sendero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Considera que las congregaciones de hoy deben trascender la simple ortodoxia doctrinal, la eficacia organizativa o la variedad de estilos de culto, a fin de demostrar la autenticidad del evangelio a través de una entrega cimentada en la gracia.

Esto no implica solo “compartir más”. El énfasis de Jang radica en la “fuente de la motivación”. La entrega genuina no brota de la coacción ni del deber, sino de la gracia ya recibida. Por ello, la iglesia ha de fomentar un entorno en el que los creyentes experimenten la gracia de manera profunda, se dejen conmover por el amor de Dios y extiendan esa conmoción a quienes los rodean. En otras palabras, se necesita propiciar que el evangelio no sea únicamente teoría, sino fuerza transformadora de la vida.

El pastor Jang recurre a la expresión “realización del evangelio” para describir este proceso, subrayando que la entrega es decisiva en la configuración de la identidad y la orientación de la iglesia. Si la congregación olvida la gracia recibida y se centra en la gestión de programas o el crecimiento externo, el genuino poder del evangelio se diluye. En cambio, la entrega arraigada en la gracia convierte a la iglesia en una “red de provisión espiritual” que distribuye el amor y la benevolencia de Dios.

6. Solidaridad entre iglesias y ecosistema espiritual: influencia e interdependencia mutua

Una de las razones por las que Pablo comunicó a la iglesia de Corinto el ejemplo de las iglesias de Macedonia es que la generosidad de una comunidad puede estimular el deseo de entrega en otra, creando un círculo de motivación mutua y bendición recíproca. En el siglo I, las iglesias estaban dispersas por todo el Imperio romano y afrontaban condiciones económicas y culturales dispares. Algunas tenían más medios; otras atravesaban aguda escasez. Pablo animaba a las congregaciones con recursos a socorrer a las más desfavorecidas y, por otro lado, invitaba a que aquellas que recibían apoyo respondieran con agradecimiento y oración, reforzando así la interdependencia espiritual (2 Co 9:12-14). Se trataba de un auténtico “ecosistema espiritual” en el que las distintas comunidades se apoyaban recíprocamente y maduraban juntas.

Trasladando estas pautas a la actualidad, el pastor Jang insta a las iglesias a promover intercambios y colaboraciones, tanto nacionales como internacionales. El soporte a iglesias misioneras o la movilización de ayuda económica en situaciones de desastre no son meros actos humanitarios, sino que ejercen de “red de circulación” que inyecta vida en todo el cuerpo del evangelio. Mediante este flujo, la iglesia puede superar limitaciones geográficas y culturales, y afianzar una conciencia global de unidad evangélica.

7. Realización del evangelio: transformación de la vida y testimonio social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no se circunscribe al ámbito personal, sino que se proyecta hacia la esfera social. Cuando el evangelio se expresa en la entrega y el compartir dentro de la iglesia, su repercusión se expande también fuera de ella. En la época grecorromana, la iglesia primitiva cuidaba a los sectores más vulnerables y ofrecía ayuda concreta a esclavos, mujeres y personas indigentes, generando una cultura ética inusual para esa sociedad. Este compromiso solidario despertaba el interés de la sociedad y la llevaba a mirar con nuevos ojos la propuesta de la iglesia.

Los Padres de la Iglesia, en los siglos II y III, recalcaron que, a través de esos gestos de ayuda y comunión, el evangelio no solo aborda la salvación del alma, sino que contempla la restauración integral y social de las personas. Entendían que la entrega constituía una vía para evidenciar que el reino de Dios se hace visible en este mundo.

El pastor Jang, siguiendo esa línea, afirma que la iglesia puede recobrar su credibilidad social y proponer valores alternativos mediante la entrega evangélica. En un contexto donde predomina el consumismo y el materialismo, y donde se exalta el individualismo, la entrega de la iglesia, tan contraria a la lógica del interés propio, exhibe la potencia del evangelio. Esa diferencia radical suscita preguntas como: “¿Por qué esta comunidad actúa de modo tan distinto?”, y tal interrogante puede conducir a indagar el evangelio y a despertar en la gente la inquietud de conocerlo.

8. Retos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profundizar la vivencia de la gracia y forjar estrategias de evangelización práctica

Para reactivar la entrega evangélica, el pastor Jang plantea cuatro tareas fundamentales:

Primero, profundizar la vivencia de la gracia. La entrega no se sostiene en la mera voluntad humana ni en la fuerza moral. Solo cuando el creyente experimenta intensamente la gracia divina surge la gratitud que lo impulsa a compartir y servir. Por ello, la iglesia debe brindar espacios de culto, meditación bíblica, oración y discipulado que fomenten la experiencia de la gracia.

Segundo, formar una comunidad que aprende mutuamente. Así como Pablo mostró a los corintios el ejemplo de la iglesia de Macedonia, en la actualidad también es posible conocer y asimilar experiencias de otras congregaciones, ya sean nacionales o extranjeras. A través de conferencias, asociaciones y convenios de cooperación, las iglesias pueden intercambiar recursos y aprendizajes que potencien su acción y completen sus carencias.

Tercero, diseñar estrategias de evangelización concretas. La iglesia debe demostrar de manera tangible el amor y el cuidado del evangelio: iniciativas de alimentación para niños vulnerables, apoyo a refugiados, campañas de limpieza del entorno, ayuda a víctimas de violencia doméstica y planes de educación. Estas acciones revelan que el amor cristiano no es retórico, sino práctico. Cuando la iglesia recalca que todo ello nace de la gracia, logra recuperar la confianza social y confirmar públicamente su testimonio evangélico.

Cuarto, la entrega no puede limitarse a un solo acto. Ha de prolongarse en un ciclo de gratitud y oración que genere nuevas entregas. Por ello, la iglesia debe fomentar espacios de oración colectiva, testimonios periódicos y visitas a las misiones, a fin de que la entrega deje de ser un evento aislado y se convierta en un proceso de madurez continua.

9. Entrega evangélica y recuperación de la identidad

La entrega evangélica desempeña un papel clave en la reconstrucción de la identidad eclesial. En la actualidad, se percibe a la iglesia a menudo como una “gran organización” o un “proveedor de programas”. Sin embargo, la entrega deja claro que su esencia no reside en ofrecer actividades, sino en ser un cuerpo que experimenta la gracia y la comparte.

El pastor Jang hace hincapié en la necesidad de redescubrir la razón de ser de la iglesia. Su naturaleza consiste en “vivir el evangelio” como “pueblo de Dios”, y la entrega no es una simple actividad opcional, sino un corolario inherente a dicha identidad. La iglesia ha de reformularse, no como institución que provee programas, sino como una red de gracia y amor. Cuando la entrega evangélica cobra fuerza, la iglesia redescubre quién es y con qué fin existe.

La visión del pastor Jang aporta de modo significativo a la teología práctica, que se ocupa de cómo la iglesia debe vivir y actuar. En lugar de confinar el evangelio a teorías, se busca encarnarlo en la vida y en el ministerio. El énfasis de Jang, arraigado en la interpretación de la teología paulina, ayuda a la iglesia de hoy a recuperar la sensibilidad evangélica a menudo difuminada. No se trata de introducir meros programas o estrategias de gestión, sino de promover un resurgimiento teológico y pastoral enfocado en la gracia como el eje de todo acto de entrega y servicio. La entrega vinculada a la gracia brinda autenticidad espiritual a la acción de la iglesia y la convierte en una testigo eficaz del evangelio.

La sociedad actual, inmersa en la globalización, la informatización y la secularización, pasa por cambios vertiginosos que derivan en confusiones sobre la identidad y la misión de la iglesia. El materialismo y el individualismo arraigados desincentivan la entrega, mientras la competitividad empuja a la búsqueda del “éxito”. Sin embargo, la entrega evangélica promovida por el pastor Jang confronta esas tendencias seculares, proponiendo un estilo de vida diferente. Supone despojarse de uno mismo y servir al otro para hallar la verdadera alegría, subvirtiendo la lógica que prioriza acumular y escalar, y evidenciando la paradoja cristiana de alcanzar la plenitud mediante el sacrificio.

Gracias a ello, la iglesia puede plantearle al mundo preguntas disruptivas: “¿Por qué esta comunidad decide compartir lo que posee en una sociedad donde todos compiten por su propio beneficio?” Dichas interrogantes llevan finalmente a explorar el evangelio y a experimentar la gracia de Cristo.

Como se ha analizado, la ofrenda de las iglesias macedonias en 2 Corintios 8-9 no se reduce a una simple colecta, sino que encierra un gran valor teológico. Pablo pone de relieve que esa entrega manifiesta el poder efectivo del evangelio, cimentado en la gracia y expresado por medio de la disposición a compartir, transformando internamente la comunidad e influyendo en otras iglesias para la gloria de Dios.

El ejemplo de la Iglesia de Filipos muestra cómo el evangelio, al volverse real en la vida cotidiana, se expresa en actos de entrega desinteresada que trascienden la afiliación doctrinal o la prosperidad externa y sirven como un examen y una formación del corazón eclesial. Para el pastor David Jang, retomar estas enseñanzas de Pablo constituye el sendero para que la iglesia recupere su esencia. Destaca que la entrega no se limita a ejercer caridad o filantropía, sino que genera una circulación espiritual que exalta a Dios, fortalece la comunión fraterna y expande la interacción evangélica a nivel global.

De este modo, la entrega evangélica designa a la iglesia como “comunidad alternativa” que prefigura el reino de Dios. Al compartir y servir sin reservas, la iglesia pone de relieve la fuerza paradójica del evangelio, confrontando la cultura consumista e individualista, y encendiendo la curiosidad sobre el origen y la fuente de ese poder transformador. De esta forma, la sociedad se pregunta por la procedencia de ese amor y de esa forma de vida distintas, lo cual abre la puerta para testimoniar la gracia de Jesucristo.

En suma, la entrega se presenta como la vía esencial para la realización del evangelio, fortaleciendo la vida interna de la iglesia, favoreciendo la solidaridad entre congregaciones y brindando luz a la sociedad. Según el pastor Jang, esta senda permite a las congregaciones ir más allá de la mera planificación de programas y el crecimiento numérico, y las ancla en su naturaleza primordial de servicio y comunión. Cuando está arraigada en la gracia, la entrega revitaliza la identidad de la iglesia y confirma, en el contexto actual, que el evangelio sigue siendo un poder vivo que transforma la historia personal y colectiva. Gracias a esta entrega, la iglesia no solo “habla” del evangelio, sino que lo “encarna”, erigiéndose en una comunidad santa que visibiliza el amor de Dios en el mundo. Así, siguiendo el ejemplo de las iglesias macedonias y de la Iglesia de Filipos, se ratifica que la entrega constituye el sendero esencial para la recuperación de la identidad eclesial y para la realización concreta del evangelio hoy.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  – 장재형(장다윗) 목사

장재형목사와 동역자들

고린도후서 8-9장에 제시된 마게도냐 교회의 연보 정신과 빌립보 교회의 헌신적 사례를 중심으로, 복음이 현실 속에서 구현될 때 나타나는 교회 공동체의 본질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바울 사도가 극심한 가난 가운데도 넘치는 기쁨으로 자신들의 소유를 내어놓은 마게도냐 교회들을 언급한 대목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복음적 삶의 역동적 실현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장면이다. 이러한 헌신은 복음 공동체가 교리적 지식이나 프로그램 운영을 넘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고 그 은혜를 삶으로 반영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맺히는 열매라 할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기반으로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복음적 진정성을 회복하고, 은혜에 기초한 헌신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성도 간 영적 순환을 강화하는 ‘복음의 현실화’ 과제로 초대한다. 결국 본 연구는 복음, 헌신, 나눔, 그리고 영적 순환이라는 핵심 키워드들을 통해, 교회가 외형적 성장이나 프로그램적 성취를 넘어 진정한 복음 공동체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도전한다.

1. 복음의 현실화와 헌신적 공동체성에 대한 도전

초대 교회 공동체는 복음을 단순한 지식이나 관념이 아닌,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실재적 능력으로 인식했다. 이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완성된 구원의 은총을 실제 생활 속에서 체험하고 구현하고자 했다. 바울 사도가 고린도후서 8-9장에서 마게도냐 지역 교회들의 연보(헌금) 행위를 언급하는 맥락은 바로 이러한 복음적 삶의 구체화를 보여주는 사례다. 가난과 시련 속에서도 넘치는 기쁨으로 연보하는 마게도냐 교회의 모습은 복음이 단지 입술의 고백이나 교리적 선언에 그치지 않고, 은혜에 기초한 나눔과 섬김으로 나타날 때 진정한 공동체적 열매를 맺음을 증언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런 본문 해석을 통해 현대 교회에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복음이 현실화될 때, 우리는 어떤 삶의 태도를 보이는가?” 그는 복음이 단순한 교리적 지식, 이념적 주장, 프로그램 운영 전략 이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복음이 실제 삶 속에서 구현될 때, 교회는 은혜로 출발한 헌신, 진정한 나눔, 성령 안에서 형성되는 영적 순환을 경험한다. 이는 현대 교회가 소비자 중심적 신앙이나 외형적 성장 논리에 갇혀있는 상황에서 다시금 본질을 회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바울이 강조한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 정신과 빌립보 교회의 본보기가 어떤 신학적 의미를 가지며, 장재형목사가 이를 통해 현대 교회에 던지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교회 간 상호 연대와 영적 순환 구조가 어떻게 복음 공동체의 핵심 동력이 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통찰이 사회적·문화적 환경 변화를 겪는 현대 교회에 어떤 적용 가능성을 열어주는지도 고찰한다.

2. 바울의 맥락 이해: 마게도냐 교회들의 연보와 복음의 동력

바울이 고린도후서 8장과 9장에서 언급하는 마게도냐 교회들의 헌신은 단순한 ‘모범사례’ 제시가 아니다. 당시 마게도냐(특히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레아) 지역 교회들은 헬라-로마 세계의 경제적·사회적 압력 속에 놓여 있었다. 그들은 거대한 도시 문화 속에서 소수 신앙집단으로 존재하며, 물질적 풍요를 누리기는커녕 오히려 박해나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기 일쑤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이들이 극심한 가난에도 불구하고 ‘넘치는 기쁨으로’ 자발적 헌신을 했다고 강조한다(고후 8:2).

이러한 행동은 자연인이 보여주기 어려운 역설이다. 가난한 자가 더 가난한 이들을 돕는 행동은 사회적 계산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 그러나 복음 공동체 내에서는 은혜로 말미암은 동력, 곧 성령의 역사와 하나님의 사랑에 기초한 삶의 전환이 이를 가능케 한다. 바울에게 연보는 단지 ‘돈을 모으는 일’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기 자신을 비우시고 가난하게 되신(고후 8:9) 복음의 핵심 사건을 반영하는 거울과 같다. 따라서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은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kénosis)을 추적하고 반영하는 공동체적 순종이라 할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현대적으로 해설하면서, 복음적 삶이 현실 속에서 구현될 때 나타나는 특징에 주목한다. 그는 현대 교회도 복음이 단순한 이상향이나 관념적 진리가 아님을 깨닫고, 구체적 상황에서 은혜를 나누는 헌신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헌신은 기계적 의무감이 아닌, “우리가 먼저 은혜를 받았기에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감사와 사랑의 반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3. 빌립보 교회의 특별한 사례: 복음적 진실성의 증명

바울이 쓴 빌립보서는 빌립보 교회와의 긴밀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 서신이다. 빌립보 교회는 마게도냐 지역 교회 중에서도 특히나 바울의 사역을 지원하는 데 헌신적이었다(빌 4:15-16). 이들은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 동안 끊임없이 재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단순히 바울의 사역을 관람하는 소비자가 아니라, 복음 선교의 동역자임을 입증하였다.

빌립보 교회의 이러한 헌신은 복음이 그들 내부에 얼마나 깊이 뿌리내렸는지를 반영한다. 바울은 빌립보 교회의 도움을 받으면서 단순한 감사의 차원을 넘어, 그들의 행동이 “복음적 진실성과 순종”을 증명한다고 보았다. 이는 단순히 물질을 나눈다는 차원을 넘어, 헌신 자체가 복음 메시지의 실질성을 드러내는 ‘증거물’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곧 복음을 진정으로 믿고 체험한 공동체는 자신들의 소유를 기꺼이 내어놓음으로써, 그 믿음이 공허한 말이 아님을 보여준다.

장목사는 빌립보 교회 사례를 통해 현대 교회가 배워야 할 교훈을 제시한다. 오늘날 많은 교회가 교리적 주장이나 선교 구호를 외치지만, 실제 삶에서 그 복음의 진실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면, 그 주장은 허무해질 수 있다. 헌신과 나눔은 복음에 참여한 공동체가 그 신앙의 진정성을 삶으로 검증하고 입증하는 통로다. 이는 교회가 단지 교리적 확신이나 숫자적 성장에 골몰하지 않고, 복음이 내면을 변화시킨 결과가 이웃과 다른 공동체에게 어떻게 전이되는지를 확인하는 창구가 된다.

4. 연보를 “착한 일”이라 부르는 바울의 신학적 의미: 의의 열매와 영적 순환

고린도후서 9장에서 바울은 연보 행위를 “착한 일”(고후 9:8)로 명명한다. 당시 헬라-로마 세계에서 ‘착한 일’(agathon)은 단순히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선행을 의미할 수 있지만, 바울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착한 일’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감사와 찬양을 불러일으키며, 공동체 안에서 ‘의의 열매’를 풍성하게 한다고 해석한다(고후 9:10).

‘의의 열매’는 복음 안에서 맺어지는 변화된 삶과 공동체의 총체적 결과물을 가리킨다. 이는 단순히 헌금 액수의 증가나 사회적 칭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의’(dikaiosynē)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에서 비롯되는 전인적 화평과 정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의 열매를 맺는 공동체란, 하나님과의 관계뿐 아니라, 이웃과의 관계에서도 성령의 열매(갈 5:22-23)와 같은 신령하고 풍성한 결과물이 나타나는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헌신이 단순한 ‘교회의 대외 이미지 제고’나 ‘프로그램적 성과’가 아니라, 영적으로 순환하는 은혜의 흐름임을 지적한다. 헌신적인 연보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그 영광 가운데서 성도들 간 기도와 사모함이 불타오르며, 그 기도와 사랑 속에서 다시금 더 큰 헌신으로 이어지는 영적 순환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교회가 단순히 외부 세계에 선행을 베푸는 차원을 넘어, 공동체 내부에서 영적 에너지가 재생산되고 증폭되는 ‘내적 선순환’을 경험하게 한다.

이 지점에서 장목사는 현대 교회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오늘날 교회 활동은 종종 프로젝트나 프로그램 중심으로 흐르는데, 이는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고 말기 쉽다. 반면 복음적 헌신의 본질은 영원한 선순환, 즉 하나님의 은혜가 헌신으로 표현되고, 그 헌신이 다시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와 찬양, 성도들 상호 간 기도의 증가, 그리고 재헌신으로 이어지는 끝없는 순환을 의미한다. 여기서 교회는 단순히 ‘좋은 일 하는 단체’가 아니라, ‘영적 생태계’로 기능한다.

5. 은혜에 기초한 헌신: 장목사가 제안하는 현대 교회의 전환점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바울 신학의 핵심에서 현대 교회가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그는 현대 교회가 교리적 정통성, 조직 운영 능력, 예배 형식의 다양성만을 강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은혜에 기초한 헌신으로 복음적 진실성을 증명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단순히 ‘더 많이 나누자’는 선행 권고가 아니다. 장목사가 강조하는 것은 ‘동력의 출처’다. 진정한 헌신은 억지나 의무감에서가 아니라, 이미 받은 은혜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성도들로 하여금 은혜를 깊이 체험하고, 그 은혜에 감격하며, 그 감격이 주변 사람들에게 흘러나오도록 영적 환경을 조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회는 성도들이 복음을 지식으로만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경험하도록 도와야 한다.

장목사는 이를 ‘복음의 현실화’라고 부르며, 이 현실화 과정에서 헌신은 교회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열쇠가 된다. 만약 교회가 자신이 받은 은혜를 잊고, 프로그램 운영이나 외적 성장에 치중한다면, 진정한 복음적 능력은 희미해진다. 반면 은혜에 뿌리박은 헌신은 교회를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누는 ‘영적 공급망’으로 탈바꿈시킨다.

6. 교회 간 연대와 영적 생태계: 상호 영향력과 의존성

바울이 마게도냐 교회의 헌신을 고린도 교회에 알린 이유 중 하나는, 한 교회의 선행이 다른 교회 공동체에 영적 도전을 제공하고, 새로운 헌신을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이는 복음 공동체들이 서로 격려하며, 감사와 기도의 선순환을 촉진하는 영적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뜻이다.

초대 교회 시기, 지역 교회들은 로마 제국 곳곳에 흩어져 있었으며, 각 공동체는 문화적·경제적 상황이 달랐다. 어떤 교회는 상대적 풍요를 누렸지만, 다른 교회는 극심한 어려움에 시달렸다. 바울은 이런 상황에서 연보(헌금)를 통해 부유한 교회가 가난한 교회를 돕고, 수혜를 받은 교회는 감사와 기도로 화답함으로써 영적 상호 의존을 강화하도록 권면했다(고후 9:12-14). 이는 일종의 영적 ‘생태계’로, 다양한 교회들이 서로에게 필요한 영적·물질적 자원을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 복음 공동체 전체가 성숙해간다.

장목사는 이를 현대 교회의 맥락에 적용하면서, 오늘날 교회들도 국내외적으로 상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선교지의 교회를 지원하거나, 재난 상황에서 긴급 구호 헌금을 모으는 등의 행위는 단지 인도주의적 차원을 넘어, 복음 공동체 간에 흐르는 영적 피를 공급하는 ‘순환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순환을 통해 교회는 지역적·문화적 한계를 넘어, 세계적 차원의 복음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

7. 복음의 현실화: 삶의 변혁과 사회적 증언

복음의 현실화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복음이 교회 공동체 내에서 헌신과 나눔의 형태로 분출될 때, 그 영향력은 필연적으로 교회 밖으로 흘러나간다. 헬라-로마 시대의 초기 교회는 당시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노예, 여성, 빈민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에게 구체적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복음적 대안문화를 제시했다. 이는 그리스-로마 윤리 체계에서 보기 드문 공동체적 윤리였으며,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교회 공동체에 주목하게 되었다.

교부들의 해석에서도 이러한 점은 강조되었다. 예를 들어, 2~3세기 교부들은 교회의 나눔 실천을 통해 복음이 단지 영혼 구원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전인적·사회적 회복을 포괄한다는 사실을 부각시켰다. 그들은 헌신적 나눔이 궁극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표지를 세상 속에 드러내는 길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장목사는 이러한 교부들의 시각을 현대 교회에 적용하여, 교회가 복음적 헌신을 통해 사회에서 신뢰를 회복하고 대안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소비주의와 물질주의, 극단적 이기심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교회의 헌신적 나눔은 낯선 풍경이지만, 바로 그 낯섦이 복음의 능력을 증언한다. 교회가 헌신을 통해 드러내는 대안적 공동체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왜 이들은 다르게 사는가?”라는 질문을 품게 하고, 그 질문이 복음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로 이어질 수 있다.

8. 현대 교회의 과제: 은혜 경험의 심화와 실천적 복음화 전략

장목사는 현대 교회가 복음적 헌신을 회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은혜 경험의 심화다. 헌신은 인간의 결단력이나 도덕성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은혜를 깊이 체험할 때, 성도들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감사로 자연스럽게 나눔과 섬김을 실천한다. 이를 위해 교회는 예배, 말씀 묵상, 기도훈련, 제자도 훈련 등을 통해 은혜 체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서로 배우는 공동체 형성이다. 마게도냐 교회들의 연보 정신을 고린도 교회에 소개한 바울처럼, 현대 교회도 다른 지역 교회의 헌신 사례를 배우고 적용할 수 있다. 국제 컨퍼런스나 교회 간 파트너십,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과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교회는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우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셋째, 실천적 복음화 전략 수립이다. 교회는 지역사회에 구체적인 사랑을 표현하는 전략적 사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 지원, 난민 지원, 환경 정화 활동,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교육 사역 등은 복음의 사랑이 ‘추상적 개념’이 아닌 ‘실제적 도움’임을 보여준다. 이 모든 사역이 은혜에 뿌리내린 헌신이라는 점이 강조될 때, 교회는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복음을 공적으로 증언할 수 있다.

넷째, 헌신은 한 번의 선행으로 끝나지 않고, 기도와 감사로 이어져 또 다른 헌신을 유발하는 선순환을 만든다. 교회는 이 순환 구조를 적극 활용해, 헌신자 간의 기도 모임, 정기적 간증 시간, 선교지 방문 등을 통해 헌신이 단순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 성숙 과정임을 체화할 수 있다.

9. 복음적 헌신과 정체성 회복

복음적 헌신은 교회 정체성을 재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현대 교회는 종종 ‘거대한 조직’ 혹은 ‘프로그램 제공자’로 인식되곤 한다. 그러나 헌신은 교회가 단지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체가 아니라, 은혜를 경험하고 그 은혜를 나누는 공동체라는 본질을 재확인시켜준다.

장목사는 여기서 교회 정체성의 재발견을 강조한다. 교회의 본질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복음을 살아내는 것이며, 이때 헌신은 단순한 선택적 사역이 아닌 정체성 자체에 속한 결과물이다. 교회는 프로그램을 넘어 관계로, 조직을 넘어 은혜와 사랑의 네트워크로 재정의되어야 한다. 복음적 헌신이 활성화될 때, 교회는 자신이 누구이며, 왜 존재하는지를 다시금 깨닫는다.

장재형목사의 해설과 적용은 현대 신학의 한 흐름인 실천신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실천신학은 교회가 어떻게 살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성찰하며, 복음을 이론적 틀에 가두지 않고 삶과 사역의 현장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장목사의 관점은 바로 이러한 실천적 신학적 관심을 공유하며, 복음적 헌신을 통해 신학과 생활, 교리와 행동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역할을 한다.

그는 바울 신학에 근거한 성서 해석을 통해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복음적 감수성을 되찾도록 돕는다. 이것은 단순히 새로운 프로그램 제안이나 교회 경영 전략이 아닌, 복음적 본질에 대한 신학적·목회적 갱신이다. 은혜에 기초한 헌신이야말로 교회의 사역을 공허한 외형이 아닌 영적 실체로 만들며, 교회가 복음을 전하는 유의미한 존재로 거듭나게 한다.

현대 사회는 정보화, 글로벌화, 세속화 등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회는 흔히 정체성과 역할 혼란을 겪는다. 물질주의와 개별주의 문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나눔과 헌신을 부담스럽게 만들고, 경쟁 논리는 교회마저 ‘성공’을 향해 질주하도록 유혹한다.

그러나 장목사가 강조하는 복음적 헌신은 이러한 세속적 흐름에 역행하는 대안적 삶의 형태를 제공한다. 복음적 헌신은 자신을 비우고 다른 이들을 섬김으로써 진정한 기쁨을 누리는 삶을 추구한다. 이는 현대 문화가 강조하는 ‘더 많이 소유하고, 더 높이 올라가야’ 한다는 논리를 뒤집으며, 오히려 자기 희생을 통해 충만한 삶을 누리는 기독교적 역설을 생생히 드러낸다.

교회는 이러한 대안적 공동체 문화를 통해 세상에 새로운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모두가 자기 이익만을 좇는 세상에서, 왜 이 공동체는 자신들이 가진 것을 기꺼이 나누는가?” 이러한 질문은 궁극적으로 복음을 탐구하게 만들고, 그리스도의 은혜를 만나도록 이끈다.

우리는 고린도후서 8-9장에 나타난 마게도냐 교회의 연보 정신이 단순히 교회 헌금 모금 행사 이상의 깊은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음을 확인했다. 바울은 그들의 헌신을 통해 복음의 실제적 능력, 곧 은혜에 기초한 헌신이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변화시키고, 다른 교회에 선한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영적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지 보여주었다.

빌립보 교회의 특별한 헌신 사례를 통해 우리는 복음이 추상적 이론이 아닌, 실제 삶에 적용될 때 어떤 형태를 띠는지 알 수 있었다. 헌신은 복음적 진실성과 순종을 입증하는 행동으로서, 교리적 정통성과 외형적 번영을 넘어 교회의 내면을 시험하고 형성하는 잣대가 된다.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바울 신학의 통찰을 현대 교회에 적용하면서, 복음적 헌신의 회복이야말로 교회가 본질로 돌아가는 길이라고 역설한다. 그는 헌신이 단순한 선행이나 자선사업이 아닌, 은혜에 기초한 영적 순환을 형성하는 행위임을 강조한다. 헌신을 통해 교회는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올리고, 성도들 간 기도의 끈을 강화하며, 복음적 연대를 전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한다.

이러한 복음적 헌신은 교회를 하나님의 나라를 예고하는 ‘대안 공동체’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 개별주의, 소비주의를 넘어서는 복음의 역설적 능력을 드러내며, 사람들로 하여금 그 출처와 동력을 궁금해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복음이 실제로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임을 증언하는 참된 교회의 모습을 다시금 회복하는 데 헌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복음의 현실화를 위한 헌신은 교회 내부를 강화하고, 교회 간 연대를 촉진하며, 사회에 복음의 빛을 비추는 총체적인 과정이다. 장목사는 이를 통해 교회가 프로그래밍과 외형적 성장 논리를 넘어, 은혜에 기초한 섬김과 나눔이라는 본질적 차원에 서게 됨을 환기한다. 복음적 헌신은 교회의 정체성을 새롭게 하고, 복음이 여전히 살아있는 능력임을 오늘날에도 확증하는 열매이다. 이로써 교회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비추는 거룩한 공동체로서, 복음을 말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살아내는’ 증인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복음이 현실 속에 뿌리내릴 때, 교회는 단순한 종교 단체나 도덕적 선행의 집합체를 넘어, 하나님의 은혜를 매개하는 영적 공동체로 자리매김한다. 마게도냐 지역 교회들과 빌립보 교회의 헌신은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본보기로, 그들의 연보는 교회가 은혜로 시작하여 은혜로 성장하는 복음 공동체임을 증명한다. 바울 사도를 통해 드러난 이 연보 정신과 의의 열매는 헌신이 단지 재물을 나누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성도들 간 깊은 영적 연결을 이뤄내는 ‘영적 순환’임을 일깨운다. 장재형목사의 통찰에 따르면, 현대 교회 역시 복음이 진정한 능력임을 보여주기 위해 교리나 프로그램을 뛰어넘어 은혜에 기초한 헌신적 삶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회는 복음의 진실성과 생명력을 세상 앞에 증언하며, 하나님의 사랑이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변혁을 일으키는지 입증하는 빛과 소금의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다. 결국 헌신은 교회의 본질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복음의 현실화를 이루는 핵심 경로임을 우리는 다시금 확인하게 된다.

삼위일체 – 장재형목사

서론

신약성경 고린도후서(2 Corinthians) 12장 후반부(12:11 이하)부터 13장 마지막 절(13:13)까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교회를 향해 남긴 매우 인상적인 결말 부분에 해당한다. 바울은 여기서 단순히 교훈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바로잡기 위해 자신이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을 폭로하고, 사도로서의 권위와 진정성을 재확인하며, 복음의 순수성과 교회 공동체의 성숙을 호소한다. 이 본문은 그가 고린도 교회와 오랜 시간 형성한 관계의 결실이자, 동시에 마지막으로 내놓는 경고의 호령이다.

장재형(장다윗, 올리벳대학교)목사는 이 본문을 주석하고 설교하면서, 고린도교회가 겪고 있는 문제들이 2천 년이 지난 현대 교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교회의 체질은 쉽게 변하지 않으며, 복음이 역사하는 현장에는 언제나 인간적 미성숙, 재물 문제, 권위 오해, 거짓 가르침 등이 변주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바울이 눈물로 쓴 편지(tearful letter)라고 알려진 고린도후서의 후반부는 단순한 시대적 기록이 아닌, 모든 시대의 교회와 신자들에게 전달되는 생생한 경고이자 소망의 메시지이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이 고린도교회 성도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권면과 책망을 통해, 현대 교회가 어떻게 복음에 굳게 서며, 공동체의 성숙을 이루고, 교회 지도자의 권위와 성도들의 순종, 그리고 성령 안에서의 신앙 점검과 사랑의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지 집중 조명한다. 또한 교회가 재정, 거짓 교사, 인격적 충돌, 죄의 방치 등의 복합적 문제를 어떻게 신앙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아래에서는 본문의 핵심 메시지를 5개의 주제로 재구성한다. 첫째, 바울의 단호한 책망과 고린도교회의 역사적 상황 이해. 둘째, 사도적 권위와 겸손의 역설. 셋째, 재물 문제와 거짓 교사에 대한 바울의 입장과 복음의 순수성 수호. 넷째, 사랑과 인내, 권징의 균형을 통한 공동체 세움. 다섯째, 삼위일체 하나님의 축도와 교회의 온전한 성장. 이 다섯 주제는 장재형목사의 목회적 통찰과 신학적 안목을 바탕으로, 고린도후서 본문을 현대 교회가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제 1: 바울의 단호한 책망과 고린도교회의 상황 이해

1. 역사적 배경과 바울의 상심
바울은 제2차 전도여행 중 고린도에 머물며(약 1년 반 정도) 교회를 개척하고 복음의 기초를 놓았다. 그 이후 그는 다른 지역으로 떠나 선교 사역을 계속했는데, 바울의 부재 중 고린도교회 안에 거짓 교사들이 침투하여 분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바울의 사도적 권위를 부정하고, 다른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성도들의 신앙을 흔들었다. 그 결과 바울은 서신을 통해 이 문제를 수습하려 했고, 직접 방문도 시도했지만,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장재형목사는 여기서 바울이 느꼈을 인간적 상심과 영적 고뇌를 강조한다. 한때 사랑으로 양육했던 교회가 지금은 사도를 의심하고, 그의 진실성을 훼손하는 상황은 바울에게 심각한 충격이었다. 그는 복음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했건만, 지금은 자기를 변호해야 하고, 심지어 자신을 자랑하기까지 해야 하는 난처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 ‘어리석은’ 자리로 몰린 사도는, 사실 복음을 수호하기 위해 침묵할 수 없었던 것이다.

2. 현대 교회와의 평행성
장재형목사는 이 점을 통해 오늘날 교회의 현실을 짚는다. 현대 교회도 다양하게 변질된 복음이나, 지도자의 권위를 흔드는 목소리, 재정 문제로 인한 의혹, 성도들 간의 갈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교회는 구원받은 죄인들의 공동체로, 완전한 상태로서 존재하지 않고 늘 성화의 과정에 있다. 따라서 고린도교회가 경험한 문제들은 오늘의 교회도 언제든 맞닥뜨릴 수 있는 현실적인 도전이다.

3. 침묵 대신 단호함을 택한 바울
원래 복음의 이상은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 곧 이사야 53장의 어린양처럼 묵묵히 고난을 견디는 모습을 따른다. 그러나 바울은 교회가 혼란 속에 휘말리고 복음의 본질이 훼손되는 상황에서 침묵이 오히려 해가 된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어리석게” 자신을 자랑하고 변호하며, 단호한 어조로 거짓 교사들을 책망한다. 이를 통해 장재형목사는 교회의 건강을 위해 때로는 단호한 대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랑은 단지 모든 것을 덮는 변명이 아니라, 죄와 거짓을 직면하고 그것을 교정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4. 바울의 책망 속 사랑의 동기
바울의 단호한 언어 뒤에는 깊은 사랑이 숨어 있다. 그는 고린도교회가 진리 위에 굳게 서기를 바란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책망하고 변호하며, 교회를 세우기 위한 선한 싸움을 멈추지 않는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현대 지도자들에게 적용한다. 교회 지도자는 혼란한 상황에서 사랑의 이름으로 죄를 방치하거나, 세상 논리에 순응하지 말고, 단호하면서도 겸손한 자세로 공동체를 진리로 인도해야 한다.

주제 2: 사도적 권위와 겸손의 역설

1. 사도적 표징과 참된 권위의 근거
바울은 고린도교회에서 사도적 표징을 충분히 보였다(고후 12:12 참조). 그는 기적과 표적을 행하고, 인내심을 갖고 성도들을 가르쳤다. 그러나 교회는 이를 당연히 여기고 감사하기보다, 오히려 그가 급료를 받지 않은 점을 기묘하게 생각하며 그의 동기를 의심했다. “왜 사도는 부유한 우리 교회에서 봉급을 받지 않는가? 속임수가 있는 것 아닌가?” 이러한 질문은 사도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배은망덕한 태도를 드러낸다.

장재형목사는 참된 사도적 권위는 기적이나 외적인 성과만으로 입증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권위는 복음에 대한 절대 충성, 자기 희생, 인내, 그리고 공동체를 세우려는 헌신을 통해 정당화된다. 바울은 바로 이러한 본질적 요소들을 모두 보여주었다.

2. 권위의 목적: 파괴 아닌 세움
바울은 고후 13:10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권위는 “파하려 하지 않고 세우려” 하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이는 교회 권위의 목적을 명확히 한다. 지도자의 권위는 공동체를 무너뜨리거나 성도를 억압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오직 세우고 성숙케 하는 수단일 뿐이다. 장재형목사는 현대 교회의 지도자들이 이 원리를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권위 남용은 교회를 상처입히고, 권위 경시도 교회를 해체시킨다. 그러므로 권위는 본래적 목적대로, 공동체 강화와 성숙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3. 약함 속 능력: 십자가 패러독스
바울은 그리스도의 모범에서 배우듯, 자기의 약함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난다고 역설한다(고후 13:4).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약해 보였으나 실상은 부활하심으로 권능을 나타내신 것처럼, 바울도 약할 때 하나님이 강하게 역사하신다고 말한다. 이는 지도자가 스스로를 과도하게 높이거나, 교회가 성공주의 논리에 갇히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와 같다. 장재형목사는 오늘날 지도자가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고, 오직 하나님 능력에 의존하는 모습이 참된 권위를 확립하는 길임을 강조한다.

4. 현대적 함의: 권위와 겸손의 긴장관리
오늘날 교회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무권위적 방임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의 사례를 통해, 진정한 지도자는 권위와 겸손을 동시에 품어야 하며, 이는 성령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권위는 진리 수호와 공동체 성장에 필수적이지만, 이는 인간적 독선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과 예수의 겸손을 통해 발휘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설은 교회 지도자들이 신중히 곱씹을 가치가 있다.

주제 3: 재물 문제, 거짓 교사, 그리고 복음의 순수성

1. 재물에 대한 오해와 갈등
고린도교회는 부유한 공동체였고, 이로 인해 재물 문제가 민감한 쟁점이었다. 바울은 일부러 고린도교회로부터 생활비나 사례비를 받지 않았다. 이는 그가 재물로 복음을 매매하거나 오해받지 않기 위한 조치였을 것이다. 그러나 교회는 이를 역으로 의심했다. “왜 사도가 우리에게선 돈을 안 받나? 무슨 꿍꿍이가 있는 건가?” 이런 식의 반응은 교회가 복음을 재정적 거래나 이해관계로 간주하는 왜곡된 사고를 반영한다.

장재형목사는 여기서 교훈을 이끌어낸다. 재물은 교회 안에서 중요한 자원이나, 복음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지도자의 헌신을 의심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금전적 문제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면 복음의 순수성이 훼손된다.

2. 거짓 교사들의 간교한 침투
거짓 교사들은 사도를 음해하고 교회를 분열시킨다. 그들은 사단이 하와를 유혹한 뱀처럼 간교하게 행동한다. 이들은 바울의 사도직을 폄하하고, 재물 문제를 부각시키며, 다른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공동체를 흔들었다. 장재형목사는 이런 사례를 들어, 현대 교회도 유사한 도전—이단적 흐름, 번영신학, 물질적 가치 우선—을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교회는 이러한 거짓된 흐름을 철저히 경계하고 진리를 지켜내야 한다.

3. 복음의 본질 수호
바울이 격정적으로 토해내는 언어의 본질은 복음의 순수성에 있다. “우리가 진리를 거스려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오직 진리를 위할 뿐이니”(고후 13:8)라는 선언은 사도의 심장소리이다. 진리는 복음이고,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은혜의 선물이다. 이것을 돈이나 인간적 이해득실로 재단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다.

장재형목사는 복음의 본질이란 “값없이 주어진 은혜”와 “희생적 사랑”임을 상기시키며, 교회가 이 본질을 훼손하는 어떠한 세속적 사고나 거짓 가르침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재물이 먼저 앞서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진실로 추구해야 할 것은 하나님 나라의 의와 진리이다.

4. 옥합 깨뜨린 여인과 거룩한 낭비의 영성
비싼 향유를 예수께 부은 여인을 비난한 유다의 태도는 재물을 근거로 복음을 판단하려는 고린도교회와 유사한 사고를 보여준다. 예수님은 그러한 ‘합리적 비판’을 책망하시며, 사랑의 낭비 자체가 복음의 속성임을 드러내신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들어, 교회는 때로는 세상 논리로 낭비처럼 보이는 헌신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증언하고, 복음의 진수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한다. 재물을 포함한 모든 자원은 복음의 도구이지 목적이 될 수 없다. 교회의 가치는 금전적 이득이 아닌, 십자가 사랑의 실천에 있다.

주제 4: 사랑, 인내, 권징: 교회 공동체를 세우는 사도의 원리

1. 사랑의 본질과 공동체 관계
바울은 고린도교회를 깊이 사랑했다. “내가 원하는 것은 여러분의 재물이 아니라, 바로 여러분입니다”(고후 12:14)는 고백은 이를 명확히 한다. 그는 영혼을 위해 헌신하고, 자신을 희생하겠다는 자세를 보인다. 그러나 교회는 그 사랑에 응답하기는커녕, 오히려 바울을 덜 사랑하고, 의심으로 대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참된 사랑이란 상대가 반드시 보답하지 않아도 기꺼이 베푸는 희생적 태도임을 강조한다.

2. 인내의 중요성
사랑은 오래 참고 기다린다(고전 13장). 바울은 이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도 인내하고 있다. 이 인내는 결코 약함이나 비겁함이 아니라, 공동체를 살리는 전략적 기다림이다. 장재형목사는 인내를 “가슴 찢어질 듯한 상황 속에서도, 옳은 일을 위해 기다리고 버티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현대 교회도 서로를 사랑하고 세우기 위해, 때로는 고통스러운 인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인내는 결코 죄나 거짓을 무기한 방치하는 수단이 아니다. 적절한 때에 권징과 책망을 통해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

3. 권징의 필요성과 목적
바울은 13장 초반부에서 “이번에 가면 죄지은 자를 그냥 두지 않겠다”(고후 13:2)고 선언한다. 이는 사랑으로 가린다고 무조건 모든 죄를 묵인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권징은 교회 공동체를 정화하고, 죄에 빠진 성도를 회개로 이끄는 과정이다. 장재형목사는 권징이 파괴적이고 가혹한 행위가 아니라, 회복과 세움을 위한 엄중한 사랑의 표현임을 역설한다. 현대 교회가 이 원리를 놓치면, 사랑과 관용의 이름으로 죄와 거짓이 만연하게 된다.

4. 사랑·인내·권징의 균형 추구
현대 교회는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죄를 방치하거나, 반대로 엄격한 권위로 성도를 짓누르는 극단을 피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의 모범을 들어, 사랑과 인내, 권징이 적절히 균형을 이룰 때 공동체는 건강하게 성장한다고 설명한다. 교회는 죄를 회개로 이끄는 단호한 태도와, 성도를 다시 일으키는 회복적 사랑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이런 균형을 통해 교회는 세상 속에서 진리와 사랑을 통합한 공동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주제 5: 삼위일체 축도(고후 13:13)와 교회의 온전한 성장

1. 축도의 의미
바울은 편지의 끝을 장식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 13:13)라고 축도한다. 이것은 단순한 인사말이 아니다. 장재형목사는 이 축도를 통해 바울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 사랑, 교통을 고린도교회에 선물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 축도는 교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신앙의 공간, 즉 성부·성자·성령의 친교 안에 머무르라는 초대이다.

2. 삼위일체적 공동체 이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의 흐름을 닮아야 한다. 성부의 사랑, 성자의 은혜, 성령의 친교 안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한다.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성도들이 한데 모여, 삼위일체적 조화를 이룰 수 있다면, 교회는 세상과 구별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교회 공동체가 편협한 인간적 이해관계를 초월하고 하나님 중심의 관계망을 형성해야 함을 촉구한다.

3. 신앙 점검과 성장의 필요성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스스로를 살피고 믿음을 점검하라”고 명한다(고후 13:5). 이는 삼위일체 축도 안에서 성도들이 자신들의 신앙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리스도께서 자신 안에 계심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이 점검에서 실패한다면, 성도는 이름뿐인 그리스도인이며, 공동체는 내부적으로 허약한 상태에 머문다.

장재형목사는 이 신앙 점검이 교회 성장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성도들이 각자 내면을 돌아보고, 진리 위에 견고히 서 있으며, 사랑과 성령의 교통 안에 있는지 확인할 때, 교회는 점차 성숙해간다. 이러한 정기적 자기성찰은 현대 교회에도 긴요하다. 세속화, 혼합주의, 물질주의가 난무하는 시대에 참된 믿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신앙 점검이 필요하다.

4. 현대 교회에 주는 축도의 메시지
오늘날에도 예배의 끝에는 축도가 선포된다. 장재형목사는 이 축도가 일상적으로 반복되지만 결코 형식적 요소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축도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이 성도의 삶, 교회의 삶 속에 현실화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영적 선언이다. 매주 축도를 통해 교회는 자신이 누구에게 속해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다시금 점검하고, 진리와 사랑 안에서 재무장하는 기회를 갖는다.

삼위일체 축도는 혼란한 세상 한복판에서 교회가 흔들리지 않고 복음 위에 서 있을 수 있는 근거이며, 진리의 중심점이다. 교회는 이 축도를 통해 십자가와 부활의 은혜를 재발견하고, 하나님의 사랑에 힘입어 서로 사랑하며, 성령의 교통하심으로 다양한 은사를 조화롭게 결합시켜 한 몸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공동체야말로 바울이 그토록 바라고, 장재형목사가 현대 교회에 제안하는 이상적 교회의 모습이다.

결론 및 현대적 적용

장재형목사는 고린도후서 12~13장을 통해 고대 교회와 현대 교회가 맞닥뜨린 문제들을 깊이 파헤치고, 바울의 가르침을 오늘날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이 본문이 드러내는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진리 수호와 복음의 순수성: 교회는 어떤 상황에서도 복음의 본질을 훼손하는 거짓 가르침과 타협해서는 안 된다. 재물, 세속적 지혜, 정치적 이해관계로 복음을 재단할 수 없다.
  2. 지도자의 권위와 겸손: 지도자의 권위는 공동체를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이며, 지도자는 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해야 한다. 권위남용이나 권위경시는 모두 공동체 파괴를 초래한다.
  3. 사랑과 인내, 그리고 권징의 조화: 교회 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랑으로 인내하되, 죄를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회개와 정화를 통해 공동체를 세우는 권징을 실시해야 한다. 사랑은 진리를 희생하지 않는다.
  4. 삼위일체 하나님의 임재와 성장: 축도를 통해 드러난 성부·성자·성령의 은혜, 사랑, 교통하심 안에서 교회는 신앙 점검과 성숙을 이룬다. 교회는 끊임없이 자기성찰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고, 세상을 향해 복음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5. 현대 교회의 도전과 소망: 2천 년 전 고린도교회의 문제는 오늘의 교회에도 반영된다. 그러나 바울의 가르침과 장재형목사의 해설은 현대 교회가 진리와 사랑, 권위와 겸손, 인내와 권징을 조화롭게 구현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이것은 교회가 시대를 초월해 갖추어야 할 근본적 영적 자질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오늘날 교회 안에 만연한 세속화, 상업화, 권위 남용, 오해와 다툼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신자들은 이 가르침을 통해 진리를 수호하고, 지도자의 권위를 존중하며, 사랑으로 서로를 세워나가는 선한 싸움을 이어갈 수 있다.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성령의 교통하심을 깊이 묵상하며, 교회가 단순한 조직이 아닌, 영적 공동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된다.

장재형목사 –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

서론: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과 초대 교회 사랑의 원형
바울 사도의 서신들 중 빌립보서는 특별히 사도와 교회 간의 긴밀한 사랑, 신뢰, 헌신적 관계를 진하게 드러낸다. 그 중 빌립보서 1:8에서 바울이 “내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너희 무리를 사모한다”고 고백하는 장면은, 교회 공동체가 어떠한 사랑의 기초 위에 서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 표현에서 바울은 단순한 인간적 호감이나 정서적 애착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비움과 희생적 사랑에 근거한 영적 관계를 강조한다. 장재형(장다윗, 올리벳대학교설립) 목사는 이러한 본문 해설을 통해, 초대 교회 공동체가 단순히 조직적·제도적 형식이나 교리적 합의 위에 서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며 결속된 “영적 가족”임을 상기시킨다.

본 글에서는 바울이 보여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 개념을 빌립보 교회뿐 아니라, 다른 바울 서신들에서 나타난 사랑과 공동체 이해와 연결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는 사랑, 헌신적 나눔, 복음적 가치관의 실천, 그리고 현대 교회 공동체가 되새겨야 할 사랑의 본질을 재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의 의미: 사랑의 신학적 토대
바울이 빌립보서 1:8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이라는 표현을 쓸 때, 이는 헬라·로마 문화권에서 감정과 애정을 내장(창자)으로 비유하는 관용적 표현을 넘어서, 복음의 핵심을 드러내는 신학적 선언이다.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 감정은 종종 내장으로 표현되었지만, 바울은 여기서 단순히 감정 차원을 넘는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특히 십자가에서 드러난 희생적 사랑을 언급함으로써, 인간적 차원의 애정을 초월하는 신적 차원의 사랑을 지향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은 곧 예수께서 보여주신 자기비움(kenosis), 즉 빌립보서 2:5-8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낮아지심과 희생을 그 원형으로 한다. 예수는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않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입고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순종하셨다. 그 사랑은 조건이나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 무조건적이며 희생적인 사랑이다. 바울은 바로 이 사랑을 빌립보 교회를 향한 자신의 사랑의 모델로 삼고 있다. 장재형 목사는 이 점을 강조하며, 교회 공동체의 사랑은 단순히 인간적 호감이 아닌, 그리스도의 구속사적 희생과 마음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성령의 역사임을 밝힌다.

II. 영적 가족으로서의 교회 공동체: 힘 논리의 대안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관계라면, 이는 교회 공동체가 세상의 힘 논리나 이해관계에 따라 구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세상은 혈연, 이익, 권력, 지위, 제도, 문화적 취향 등에 따라 인간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세속적 관계는 변하기 쉽고, 이해관계가 깨질 때 쉽게 붕괴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맺어진 교회 공동체는 전혀 다른 기초를 가진다.

장재형 목사는, 예수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하는 교회는 “영적 가족(spiritual family)”이라고 설명한다. 이 가족은 복음을 통해 거듭난 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에 의해 서로를 품는 관계이다. 혈연보다 깊고, 이익보다 튼튼하며, 문화적 차이조차 넘어서게 하는 이 사랑은, 성령의 역사로 인해 가능한 신적 결속력이다. 이러한 결속은 지리적 거리나 경제적 한계도 뛰어넘는다. 빌립보 교회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로마의 감옥에 갇힌 바울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이 사랑은 세속적 거래로 설명할 수 없는 복음적 관계의 증거다.

III.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는 사랑: 빌립보 교회와 바울의 예
바울의 옥중 상황은 교회 공동체의 사랑이 얼마나 순수하고 강인한지 시험하는 무대가 되었다. 만약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단순히 유능한 지도자로 여기고, 교리 지식을 전달해주는 선생 정도로만 생각했다면, 위험한 상황에서 그를 지원하는 일은 꺼렸을 것이다. 그러나 빌립보 교회는 바울을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했고, 이는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깊은 헌신을 가능케 했다.

바울의 다른 서신들도 이러한 고난 속 사랑의 역설을 잘 보여준다. 로마서 5:3-5에서 바울은 고난이 인내를, 인내가 연단을, 연단이 소망을 낳으며, 성령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진다고 말한다. 고난은 사랑을 약화하는 대신 오히려 정화하고 강화한다. 고린도후서 1:3-7에서는 바울이 환난 중에 받은 위로를 통해 다른 성도들을 위로하는 사랑의 순환을 보여준다. 이처럼 고난은 사랑을 시험하지만, 또한 사랑의 진가를 드러낸다. 장재형 목사는 이 과정을 “정화된 사랑의 여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

빌립보 교회의 사례에서, 고난은 결코 공동체의 약점을 드러내는 장벽이 아니었다. 오히려 사랑의 탄광 속에서 금광을 찾아내듯, 고난은 빌립보 성도들의 사랑을 더욱 순수하고 빛나게 만드는 촉매 역할을 했다.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는 외부적 역경 앞에서 주저앉지 않고, 오히려 결속력이 강화된다. 이것은 복음적 사랑의 특징이기도 하다.

IV. 복음으로 변화된 가치관: 사랑의 근본 동력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품은 사랑은 단순히 도덕적 아름다움이나 윤리적 훈계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복음이라는 실체에 뿌리내린 가치관 전환의 결과이다. 바울의 서신들에서 반복되는 메시지는, 우리가 복음을 믿을 때 단지 죄 사함을 받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삶 전체가 뒤집히는 변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에베소서에서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묘사하며, 각 지체가 사랑 안에서 함께 자라나도록 부름받았다고 말한다(엡 4:15-16). 사랑은 윤리적 명령이기 이전에, 교회의 존재 양식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은, 교회 안에서 개인주의나 경쟁 논리를 철저히 무너뜨리고, 상호 돌봄과 협력을 통해 공동체가 성장하게 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통해 사랑이란 단순히 느끼는 감정이 아니라, 복음이 부여한 새로운 정체성에 따라 움직이는 실천적 동력이라고 역설한다.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바울은 사랑을 정의하면서 사랑이 인내하고, 온유하며, 시기하거나 교만하지 않고,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고전 13:4-5). 이러한 사랑의 특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형성된 공동체가 어떤 행동양식을 보여야 하는지를 잘 나타낸다. 현대 교회가 세속적 가치관에 물들어 프로그램이나 규모, 재정, 영향력 등에 치중하기 쉽지만, 바울과 장재형 목사는 이 본문들을 통해 교회의 진정한 힘은 사랑에서 나온다고 경고한다.

V. 다른 바울 서신에 나타난 사랑의 확장: 위로와 공감, 상호부담의 관계
바울은 빌립보서뿐 아니라 다른 서신서에서도 사랑으로 결속된 공동체 관계를 거듭 강조한다. 데살로니가전후서에서 그는 환난 중에도 믿음, 사랑, 소망을 굳게 지키는 데살로니가 교회를 칭찬한다(살전 1:3, 살후 1:3-4). 이러한 공동체는 고난 속에서도 상호 위로와 지원을 통해 서로를 격려한다. 마치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감옥에서도 잊지 않고 돕듯, 데살로니가 성도들도 박해와 환난 중에 서로를 돌보며 견뎠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가진 교회는 환난 앞에서 흩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단단히 묶인다.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은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고(갈 5:13), 서로의 짐을 지라고 권고한다(갈 6:2). 이는 사랑이 단순한 선한 감정이 아니라 구체적 행위, 곧 서로의 부담을 함께 나누는 실천임을 보여준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는 필요한 곳에 기꺼이 손을 내밀며, 세상의 성취 지향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희생과 봉사를 기쁨으로 감당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사랑의 실천이야말로 교회를 단순한 종교 단체 이상으로 만들고, 복음의 생명력을 사회 속에 드러내는 통로라고 해설한다.

VI. 사랑의 지속성과 성장: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어지는 착한 일
바울은 빌립보서 1:6에서 “너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룰 줄을 확신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착한 일’은 빌립보 교회가 보여준 헌신과 사랑, 복음적 교제 모두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사랑은 한 순간의 열정으로 끝나지 않고, 종말론적 전망까지 이어지는 지속적 과정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성숙해간다. 로마서 8장에서 바울은 창조물이 탄식하는 가운데, 성도가 소망 중에 기다리는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자유를 언급한다(롬 8:18-25). 이 소망의 과정 속에서 사랑은 단순히 현세적 이익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님의 구원 역사 전체를 배경으로, 사랑은 종말론적인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공동체의 걸음걸이를 지탱한다. 이는 사랑이 감정적 소비재가 아니라, 영원한 가치에 뿌리를 두고 성장하는 유기체적 힘임을 시사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종말론적 시각을 통해, 현대 교회가 사랑을 단순한 이벤트나 캠페인으로 바라보는 한계를 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하는 공동체는,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계속 자라고 완성되어 갈 것이다. 이는 교회가 일시적 인기나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긴 안목을 가지고 복음적 사랑을 실천하도록 권면한다.

VII. 현대 교회에 주는 시사점: 제도·프로그램보다 앞서는 사랑의 회복
오늘날 교회는 종종 규모의 성장, 프로그램 다양화, 세련된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집중한다. 그러나 이런 외적 요소들이 결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대체할 수 없다. 장재형 목사는 빌립보서를 비롯한 바울 서신 해설을 통해, 현대 교회가 다시 복음의 본질인 사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한다는 것은, 교회 내 갈등이나 오해가 생겼을 때 이를 무관심이나 힘의 논리로 해결하지 않고, 십자가 사랑의 관점에서 풀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겸손과 희생, 용서와 화해를 전제로 한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서도, 교회가 단순히 봉사 활동을 행사처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지역을 품고, 진정한 관심과 돌봄으로 삶을 나누는 사랑을 실천해야 함을 뜻한다.

고난은 현대 교회에도 온다.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비난, 내부 분열, 신앙적 무관심 등 다양한 형태로 다가오는 고난 속에서 교회는 사랑이 시험받는다. 이때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공동체는, 문제를 단순히 조직 개편이나 제도 개선으로 풀지 않고, 복음적 사랑의 관점에서 서로를 붙들고 자라나게 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런 접근이 교회의 참된 회복과 성숙을 이끌 것이라 전망한다.

VIII. 고난은 사랑의 정화 과정: 21세기 교회가 배울 점
21세기 교회는 포스트모던 문화, 다원주의, 물질주의, 소비주의적 사고방식, 교회의 신뢰도 하락 등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가 단순히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것에 그친다면, 복음의 본질을 놓칠 우려가 크다. 반면 고난을 사랑의 정화 과정으로 수용한다면,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다시금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장재형 목사는, 고난이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형벌이 아니라, 사랑을 더 깊고 순수하게 만들기 위한 정련의 불일 수 있다고 말한다면 과장은 아닐 것이다. 빌립보 교회가 바울을 돕는 과정에서 보여준 사랑은, 고난을 만났을 때 교회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가 공동체의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진리를 말해준다. 만약 빌립보 교회가 편안함과 안전을 택했다면, 복음적 사랑의 진면목은 드러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바울에게 도움을 보냈고, 이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이 말뿐이 아니라 실제임을 증명했다.

이는 현대 교회에도 통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갈등, 환경 위기 등 오늘날의 고난은 교회가 사랑을 추상적 개념으로만 간직할 것이냐, 아니면 실질적 행동으로 옮겨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을 보여줄 것이냐를 시험한다. 사랑은 이익이 없는 곳에서 오히려 빛을 발한다. 사회가 교회를 향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느냐’고 묻는 상황에서,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이웃을 돌보고, 약자를 보호하며, 공동체적 치유를 위해 헌신한다면, 그 사랑은 고난 속에서 더 견고해질 것이다.

IX. 사랑의 결과: 하나님의 영광과 공동체 성숙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사랑은 단지 공동체 내부의 따뜻함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이 사랑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복음의 능력을 세상에 증언하는 통로가 된다. 빌립보서 1:11에서 바울은 의의 열매가 가득해 하나님께 영광과 찬송이 돌아간다고 했다. 이는 사랑의 실천이 단순히 윤리적 선행으로 끝나지 않고, 신학적·영적 완성을 지향한다는 뜻이다.

장재형 목사는 이런 영적 역학을 강조하며, 사랑이 단지 개인의 미덕이나 공동체의 내부 결속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 더 나아가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참여하는 핵심 동력임을 상기시킨다. 이 사랑은 공동체를 성숙하게 하고, 믿지 않는 이들에게 복음의 설득력을 부여한다. 현대 교회가 이 점을 회복한다면, 프로그램이나 수치적 성과에 치우치기보다 진정한 복음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다.

결론: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하는 교회, 희망의 원형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바울은 빌립보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이라는 표현을 통해 교회 사랑의 영적 본질을 선명히 제시했다. 이 사랑은 세상의 논리를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자기비움을 근간으로 하며, 고난 속에서 더욱 견고해지고, 공동체를 영적 가족으로 묶어주며, 하나님의 구원 역사 안에서 종말까지 지속적으로 자라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바울의 가르침을 해설하면서 현대 교회가 잃어버린 첫사랑, 즉 복음적 사랑을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랑할 때, 교회는 단순한 기관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을 체현하는 살아있는 공동체가 된다. 고난이 오더라도 이 사랑은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더 정결하고 빛나는 형태로 정련된다. 이러한 사랑은 세상에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며, 복음을 단지 말이나 이론이 아니라 삶으로 증명한다.

현대 교회가 제도와 프로그램, 전략적 사고나 권위주의적 구조에 매몰될 때, 복음의 본질인 사랑은 희미해진다. 그러나 바울의 옥중 편지와 빌립보 교회의 사례, 그리고 장재형 목사의 해설을 다시금 깊이 묵상한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사모하는 교회가 될 수 있다. 이는 교회가 단순히 ‘믿는 이들의 모임’ 수준을 넘어, 세상 가운데서 복음의 빛을 발하는 영적 가족이 되는 길을 열어준다.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사랑하는 교회야말로 희망의 원형이다. 세상은 변화무쌍하고, 문화와 가치관은 끊임없이 바뀌지만, 그리스도의 사랑은 영원히 변치 않는다. 이 사랑 안에서 교회는 고난을 통과하며 정화되고, 성도들은 서로를 돌보며 성장하며, 하나님께서는 그 사이에서 의의 열매를 맺게 하신다. 그 열매는 단지 교회 내부의 만족이 아닌, 온 세상 앞에 드러나는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다. 이것이 바울이 빌립보 교회에 바라고, 장재형 목사가 현대 교회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신학 학생들은 기독교 변증학 과정을 성찰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Olivet Theological College and Seminary(OTCS)는 샌프란시스코, 리버사이드,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 DC 등 다양한 캠퍼스에서 학사 및 석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변증학 과정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이 과정은 온라인으로도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비롯한 주제를 기반으로 하여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전달하는 방법 등을 다루었습니다. 기독교 변증학은 상대방에게 신앙을 옹호하면서도 긍정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증론(Apologetics)”은 그리스어 “변증론(Apologetics)”에서 유래하며, 이는 주장이나 주제를 최선의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정을 마친 학생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반성했습니다.

“하나님의 존재,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 성경의 권위 등이 내 신앙의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이 수업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가 명확하게 증명 가능한 방식으로 가르쳐졌습니다. 또한 성경은 참으로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라는 온라인 학생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한 학생은 “이 강좌를 공부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기다렸습니다. 최근 3주 동안 전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가을학기 내내 이 강좌를 이끌어주신 하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감사드리며, 신학 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원합니다.”라고 코스 강사인 Dr. Joseph J. Lee가 말했습니다.

OTCS는 학생들이 이 과정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선교와 사역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그들을 응원하고 기도합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포카다도키아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JCM 학생들은 14세기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연구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서양 음악사 세미나에서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주빌리 음대 학생들은 14세기 교회에 대한 태도 변화가 음악에 미친 영향에 대해 배웠습니다.

아르스 노바(Ars Nova)는 중세 후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음악 스타일입니다. 이 기간 동안 유럽 사회에서는 교회가 최고 권위자로 여겨지지 않았고, 정치적 권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작곡가들은 종교 음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리듬 방식을 벗어나 독자적인 음악을 작곡할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아이소리듬, 아이소리듬 모테트 등 새로운 음악 형식이 널리 퍼졌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로 종교 음악은 약화되었습니다.

이 세미나에서는 주목할 만한 작곡가인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와 프란체스코 란디니(Francesco Landini)의 음악을 사례로 활용했습니다. 학생들은 이 두 작곡가의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이 세미나는 또한 학생들이 음악사 지식을 현대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서양 음악사의 오선보와 스타일에서 유래한 현대 음악의 요소를 조사했습니다. 교회 음악의 영향을 받은 서양 음악사를 통해 종교적이고 세속적인 전문 음악가의 발자취를 쫓으며 음악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확립했습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포카다도키아